$\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은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성이 입증된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우울장애의 주요한 우울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을 제작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와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DSM-IV의 진단기준에 근거한 MINI를 사용하여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48명의 환자군과 48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 우울증 선별척도, 단축형 우울증상 평가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포함한 척도검사를 시행하여 교차 검증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 상관계수, 주성분 분석,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곡선, 최적 절단점 산출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0.98이었으며,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총점은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던 다른 우울 및 불안척도의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두 요인이 전체 분산의 76.29%를 설명하였으며, ROC 곡선을 이용하였을 때,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최적 절단점은 13점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표준화를 위한 첫 번째 연구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는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또한 이 척도가 진료 및 역학 연구에서 유용한 선별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is a recently revised scale which has been reported as a valid tool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ve symptoms. It encompasses cardinal symptoms of depression described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ESD-R 역시 역학연구 및 임상현장에서 우울증의 선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현재까지 국내 상황에 맞게 번역되어 표준화된 CESD-R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K-CESD-R)을 제작하여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우울증 선별을 위한 최적의 절단점수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은 어떠한 질환인가? 우울증은 임상 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주요 정신질환 중 하나로, 환자 개인의 고통을 초래할 뿐 아니라 생산성의 저하, 의료비용의 상승, 자살 등으로 인하여 사회 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2000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우울증으로 인한 부담이 모든 질병 중에서 네 번째로 높았고, 2020년에 이르면 두 번째로 그 순위가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국내 우울증에 대한 임상가에 의한 평가 척도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해 개발되어 있는 척도들은 우울증상의 선별, 증상 심각도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결과에 대한 평가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임상가에 의한 평가 척도와 자가보고식 척도로 분류할 수 있다.9) 현재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임상가에 의한 평가 척도로는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Montgomery-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MADRS),10) 해밀턴 우울 평가 척도(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11) 등이 있으며, 자가보고식 척도로는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CESD-R),12)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13)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14) 단축형 우울증상 평가척도(Quick Inventory for Depressive Symptomatology, QIDS)15)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CESD-R과 같은 자가 보고식 척도인 BDI의 경우 BDIII16)로 개정 작업을 거치면서 2주 동안이라는 증상 지속 기간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여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Fourth Edition, DSM-IV)’17)의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과 일치시켜 우울증 선별에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척도의 개정 이후에는 사용시 저작권 비용이 발생하여 우울증 선별을 위해 일차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우울증 조기 선별 방법을 통해 우울증 의심환자가 정신과 치료에 쉽게 연계되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2,3) 이와 같이 우울증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우울증과 자살 사이의 연관성이 높으며, 2013년 자료 기준 11년 연속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우울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4) 그럼에도 우울증에 대한 오해, 정신과 진료에 대한 편견 및 항우울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우울증 치료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5-7)2013년 OECD 28개국 통계에서 한국의 항우울제 소비량이 두 번째로 적다는 사실은 높은 자살률을 고려하였을 때 우울증의 발생률이 낮은 것이 아니라 도리어 우울증에 대한 치료적 접근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8) 따라서 좀더 용이한 우울증 조기 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우울증 의심환자가 정신과 치료에 보다 쉽게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The World Health Report 2001: Geneva; 2001. p.29-30. 

  2.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0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2007. 

  3.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2012. 

  4.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2015. p.56-57. 

  5. Barney LJ, Griffiths KM, Christensen H, Jorm AF. Exploring the nature of stigmatising beliefs about depression and help-seeking: implications for reducing stigma. BMC Public Health 2009;9:61. 

  6. Lee SS, Seo JS, Moon SW, Nam BW. Comparison of Attitude Toward Antidepressants Between Medical and Surgical Group Outpatients in a Korean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Psychosom Med 2008;16:52-58. 

  7. Jung SJ, Lee SS, Lee KE, Lee BK, Gwak H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antidepressants in Koreans. Kor J Clin Pharm 2012;22:65-72. 

  8.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2015. p.184-185. 

  9.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8;14:201-212. 

  10. Montgomery SA, Asberg M.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Br J Psychiatry 1979;134:382-389. 

  11.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0;23:56-62. 

  12.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13.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0. 

  14.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18-223. 

  15. Yoon JH, Jon DI, Hong HJ, Hong N, Seok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ventory for Depressive Symptomatology. J of Kor Soc for Dep and Bip Disorders 2012;10:131-151. 

  16. Beck AT, Steer RA, Brown GK. BDI-II, Beck depression inventory: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1996.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IV. 4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1994. p.320-327. 

  18. Zuithoff NP, Vergouwe Y, King M, Nazareth I, van Wezep MJ, Moons KG, Geerlings MI.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for detecti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primary care: consequences of current thresholds in a crosssectional study. BMC Fam Pract 2010;11:98. 

  19.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977; 1:385-401. 

  20. Demirchyan A, Petrosyan V, Thompson ME. Psychometric valu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for screening of depressive symptoms in Armenian population. J Affect Disord 2011;133:489-498. 

  21. Olvera RL, Williamson DE, Fisher-Hoch SP, Vatcheva KP, McCormick JB. Depressi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risks of comorbidity in a population-based representative sample of Mexican Americans. J Clin Psychiatry 2015;76:e1300-1305. 

  22. Kim YS.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575-583. 

  23. Kim YS, Kim EJ, Lim SW, Shin DW, Oh KS, Shin YC. Association of Self-Reported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xiety Mood 2015;11:38-46. 

  24. Eaton WW, Smith C, Ybarra M, Muntaner C, Tien A.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ew and revision(CESD and CESD-R). In Maruish ME, editor.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s Assessment, 3rd ed. Lawrence Erlbaum: Mahwah, NJ;2004. p.363-377. 

  25. Eaton WW, Ybarra M, Schwab J. The CESD-R is available on the web. Psychiatry Res 2012;196:161. 

  26. Van Dam NT, Earleywine M. Validat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CESD-R): pragmatic depression assessm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iatry Res 2011;186:128-132. 

  27. Santor DA, Zuroff DC, Ramsay J, Cervantes P, Palacios J. Examining scale discriminability in the BDI and CES-D as a function of depressive severity. Psychological Assessment 1995;7:131. 

  28.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s J, Weiller E, Hergueta T, Baker R, Dunbar GC.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 1998; 59 Suppl 20:22-33;quiz 34-57. 

  29. Yoo SW, Kim Y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Chae JH, Lee GC, Jeon SI, Min KJ, Oh DJ, Joo EJ, Park HJ, Choi YH, Kim SJ.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Mood 2006;2:50-55. 

  30. Yoon SY, Lim JH, Han C. Rating scales for measurementbased clinical practice of depression. Korean J Psychopharmacol 2012;23:136-146. 

  31. Ahn YM, Lee KY, Yi JS, Kang MH, Kim DH, Kim JL, Shin J, Shin HK, Yeon BK, Lee JH.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66-476. 

  32.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1999;282:1737-1744. 

  33. Park SJ, Choi HR, Choi JH, Kim KW, Hong J, 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Anxiety Mood 2010;6:119-124. 

  34. Rush AJ, Trivedi MH, Ibrahim HM, Carmody TJ, Arnow B, Klein DN, Markowitz JC, Ninan PT, Kornstein S, Manber R, Thase ME, Kocsis JH, Keller MB. The 16-Item Quick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QIDS), clinician rating (QIDS-C), and self-report(QIDS-SR): a psychometric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major depression. Biol Psychiatry 2003;54:573-583. 

  35.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RE.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elf-evaluation questionnaire").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lif.;1970. p.1-24. 

  36.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ical Journal 1978;21:69-75. 

  37. Moore MJ, Moore PB, Shaw PJ. Mood disturbances in motor neurone disease. J Neurol Sci 1998;160 Suppl 1:S53-56. 

  38. Axelson DA, Birmaher B.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Depress Anxiety 2001;14:67-78. 

  39. Hettema JM. What is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Am J Med Genet C Semin Med Genet 2008;148C:140-146. 

  40. Benazzi F. The Montgomery 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in bipolar II and unipolar out-patients: a 405-patient case study. Psychiatry Clin Neurosci 1999;53:429-431. 

  41. An JY, Seo ER, Lim KH, Shin JH, Kim JB.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3;19:47-56. 

  42. Bowling A. Mode of questionnaire administration can have serious effects on data quality. J Public Health(Oxf) 2005;27:281-291. 

  43. Jang Y, Kim G, Chiriboga D. Acculturation and manifestation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American older adults. Aging Ment Health 2005;9:500-507. 

  44. Jeon HJ, Walker RS, Inamori A, Hong JP, Cho MJ, Baer L, Clain A, Fava M, Mischoulon D.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out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 Clin Psychopharmacol 2014;29:150-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