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및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3, 2016년, pp.260 - 269  

나병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  김은정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nurses'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and demonstrat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Methods: The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장-가정 갈등에 의한 매개 및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의 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직의도, 직장-가정 갈등 또한 높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주요 결과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와 직장-가정갈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의 기본 자료 및 조직의 인적관리,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둘째,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 모델에서는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가 직장-가정 갈등에, 직장-가정 갈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으로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직장-가정 갈등은 증가되고, 증가된 직장-가정 갈등은 이직의도를 증가시킨다고 보는 것이다. 즉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이 인과경로로 사이에 높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가정 갈등이란? 이와 동시에 기혼여성은 가정에서 육아와 가사 등 다양한 역할들로 인하여 갈등을 겪고 있으며, 미혼여성은 기혼여성에 비하여 가사활동은 적지만 밤근무 수, 타 의료진과의 갈등, 대인관계, 업무량 과중 등으로 정서적 탈진이나 소진이 기혼보다 높고 직무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나 가정에서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7]. 역할 양립 갈등을 유발하며 직장과 가정 영역 간에 요구가 서로 양립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역할 가등의 한 형태로 직장-가정 갈등이라고 한다 [9]. 직장-가정 갈등은 양방향성이며 ‘직장의 가정역할 방해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와 ‘가정의 직장역할 방해(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로 구분된다[9].
간호사는 직장에서 어떠한 역할을 요구 받고 있는가? 간호사는 대부분 여성이며 직장에서는 완벽한 간호수행을 위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와 동시에 기혼여성은 가정에서 육아와 가사 등 다양한 역할들로 인하여 갈등을 겪고 있으며, 미혼여성은 기혼여성에 비하여 가사활동은 적지만 밤근무 수, 타 의료진과의 갈등, 대인관계, 업무량 과중 등으로 정서적 탈진이나 소진이 기혼보다 높고 직무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나 가정에서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7].
직장-가정 갈등은 어떠한 형태로 갈등이 일어나는가? 직장-가정 갈등은 양방향성이며 ‘직장의 가정역할 방해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와 ‘가정의 직장역할 방해(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로 구분된다[9]. 이는 직장생활이 가정생활에 지장을 주게 되면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다시 조직 내에도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상호순환적인 과정으로 서로 갈등을 유발한다. 직장-가정 갈등은 잘 대처하지 못하면 직장 내 문제가 가정불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가정 내의 문제가 직장의 조직 생산성 감소, 구성원의 사기저 하를 초래해 결국 이직에 이를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SA. An bioethics reflection on the clinical nurses' service education. Journal of Personalism Bioethics, 2013;3(2):109-129. 

  2. Yoon S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04;7(3):451-466. 

  3. Hochschild A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79;85(3):551-575. http://dx.doi.org/10.1086/227049 

  4. Lee HS, Kim JK.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88-496.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488 

  5.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7(2):158-16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6. Hyun SI. Emotional labor, emotional competence and customer-orientation in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7. Kang JS, Lim JY.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Korean Contents Society. 2015;15(11): 263-273.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1.263 

  8. O'Brien-Pallas L, Murphy GT, Shamian J, Li X, Hayes LJ.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Canad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8):1073-1086.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67.x 

  9. Greenhaus JH, Beutell JN.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5; 10(1):76-88. http://dx.doi.org/10.2307/258214 

  10. You MA, Son YJ. The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married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4):515-523. 

  11. Kim OS, Kim HS. Hospital workers' work-family interface: Demand and resource approach.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012;36(2):85-120. 

  12. Carlson DS, Kacmar KM, Williams LJ.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0;56:249-276. http://dx.doi.org/10.1006/jvbe.1999.1713 

  13. Jun JH. The effect of wor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rporate family-supportive polici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14.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dx.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5. Kim MJ.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between korea and U.S.A: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and their job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y. 2006;15(1):35-57. 

  16. Gu MO, Kim MJ.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5; 15(3):39-49. 

  17. Ju JH. ER Nurses's job stress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ersity; 2009. 

  18. Lawler EE. Satisfaction and behavior, New York: McGrow Hill; 1985. p. 287-301. 

  19.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20. Kim SH,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33-342.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21. Kim JH, Kim IK.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1653-1667. 

  22. Oh YJ, Choi YH.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on somatization in nurse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0):415-424.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0.415 

  23. Go HM. A study on differences of burnout, job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3;13(1):337-353. 

  24. Shin MK, Kang HI.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25. Ki MR, Seomun GA.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93-101.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93 

  26. Kim YN, Jang IS.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4;20(5):525-534.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25 

  27. Son YJ, Park SK, Kong SS.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y, emotional labor and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 18(3):329-340. 

  28. Yoon KS, Kim SY.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0;16(4):507-5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507 

  29. Tewksbury R. Examining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among correctional staff. Criminal Justice Policy Review. 2006;17(3):290-301. http://dx.doi.org/10.1177/0887403405282961 

  30. Lee HJ. Job stress among call center workers in travel agencies: Mediating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job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y. 2012;27(1):23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