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여성의 패션제품이미지 선호도가 브랜드이미지 중요도 및 광고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brand image importanc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of working wome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4 no.3, 2016년, pp.324 - 335  

이현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복이나 화장품 등 패션제품 구매 시 제품이미지 선호가 브랜드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향과 광고물 평가 시 광고 구성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측면을 직장여성들의 선호이미지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직장여성들의 선호이미지를 중심으로 의복이나 화장품 등 패션제품 구매 시 제품이미지 선호가 브랜드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향과 광고물 평가 시 광고 구성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패션 브랜드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패션광고의 요소 중 직접적인 요소와 그 이외의 맥락적 요소 즉 간접적인 요소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광고, 특히 이미지 중심의 광고 요소를 직접적인 광고요소와 간접적인 광고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패션광고의 직접표현요소는 모델, 제품이나 제품의 용기, 브랜드로고 등이 될 수 있으며 간접적인 요소는 색채, 배경이나 화장방법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해, 의복브랜드와 화장품 확장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들 중 한국 내에서 시판 중인 브랜드들을 사전조사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그 중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2개 브랜드(C, D)를 조사대상 브랜드로 선정하였다. 의복과 화장품을 같은 브랜드로 선정하였는데, 특정 브랜드 선호로 인한 의복과 화장품 브랜드 자극물 평가 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 20~30대 직장여성들의 선호이미지를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세련된 이미지, 여성적 이미지, 개성적 이미지로 분류되었으며, Paired t-test 결과, 세련된 이미지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세련된 이미지 선호를 중심으로 선호이미지 요인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의복이나 화장품 등 패션제품 구매 시 제품이미지 선호가 브랜드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향과 광고물 평가 시 광고 구성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측면을 직장여성들의 선호이미지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5a. 의복 구매에 있어서 이미지선호 정도는 간접 광고 구성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H1b.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이미지선호 정도는 브랜드이미지 중시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H4b.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이미지선호 정도는 직접 광고 구성요소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호이미지란 무엇인가요? 선호이미지란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 되기를 원하는 이미지 또는 다른 사람의 눈에 비춰지기를 바라는 이미지로, 이상적이면서 실제적인 자기 이미지 사이에 존재하며, 개인이 바라는 통상의 자기인 동시에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 되기를 원하거나 타인의 눈에 비춰지기를 바라는 자기이미지를 가리킨다(Kim, 2009).
브랜드이미지란 무엇인가요? 브랜드이미지는 소비자의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브랜드와 관련되어 있는 것들의 집합으로(Keller, 1993), 제품의 물질적 속성과 상징적 속성을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호의적이고 독특한 브랜드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Jang & Kim, 2007). 최근의 패션산업은 브랜드에 따라 제품 품질의 차별화를 이룰 수 없을 정도로 발달하여, 브랜드이미지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Lee, 2005).
기업들이 브랜드 이미지 구축 시 자신들이 타켓팅으로 하는소비자들의 선호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0~30대 직장여성들은 세련된 이미지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세련된 이미지 선호는 의복과 화장품 구매시 모두 브랜드이미지 중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실현하기 위해 의복과 화장품 구매 시, 제품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브랜드이미지 구축 시 자신들이 타케팅으로 하는 소비자들의 선호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doi:10.2307/3151897 

  2. Ahn, C. Y. (2014). Influences of pre-preference of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ity on brand attitude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49, 160-167. 

  3. An, S.-J., & Kuh, J.-M. (2004). A study on the model images and makeup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advertisements of imported cosmetics brand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5(2), 267-284. 

  4. Ansari, A., & Riasi, A. (2016).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Brand Advertising Success and Effectiveness.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9(4), 20. doi:10.5539/ibr.v9n4p20 

  5. Cho, E., Fiore, A. M., & Russell, D. W. (2015). Validation of a fashion brand image scale capturing cognitive, sensory, and affective associations: Testing its role in an extended brand equity model. Psychology & Marketing, 32(1), 28-48. doi:10.1002/mar.20762 

  6. Choi, S. M., Kim, I., & Hwang, S. J.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ercial model in functional outdoor brand.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2(4), 63-78. 

  7. Dolich, I. J. (1969). Congruence relationships between self images and product bran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6(1), 80-84. doi:10.2307/3150001 

  8. Hong, J.-P., & Choi, S.-H. (2006). Analysis of fashion advertising expression types according to brand concepts: Centering around Gucci and Burberry. Journal of Human Science, 26(1), 25-43. 

  9. Jang, N. S., & Kim, S. B. (2007). The influence of brand mark types on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Journal of Digital Design, 7(3), 57-66. 

  10. Jeon, Y. J. (2000). Content analysis on the print ads of the fashion goods.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 19, 75-82. 

  11.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doi:10.2307/1252054 

  12. Kim, H.-Y., Hahn, S.-W., Hong, Y.-J., & Kim, Y.-I. (2014).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3), 142-154. doi:10.7233/jksc.2014.64.3.142 

  13. Kim, K. H. (2009). Men's purchase pattern of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ursued self-image and fashion life 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14. Kotler, P., & Armstrong, G. (2012). Principles of marketing (14th Global ed.). London: Pearson Higher Education. 

  15. Kwon, H. K., & Kim, M. Y. (2013). A study on the brand image that appeared in the national young casual brand advertis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4), 143-157. doi:10.7233/jksc.2013.63.4.143 

  16. Lee, H. J., & Kim, M. Y. (2006). Make-up preference image differences depending on clothing preference image gro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4), 655-661. 

  17. Lee, H-.J., Lee, J.-Y., & Lee, K.-H. (2013, October). Brand image and evaluation factors of fashion product advertisement.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Textile and Apparel Association (ITAA) 2013 Annual Conference, New Orleans, LA. Abstract retrieved from http://cdm16001.contentdm.oclc.org/cdm/compoundobject/collection/p16001coll5/id/16969/rec/155 

  18. Lee, J.-M., & Lee, S.-J. (2002). The study regarding involvement of fashion consumers and clothing advertising effect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3), 99-109. 

  19. Lee, S.-H. (2005). Congruence between brand image and advertisement model on fashion advertisement effec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9(4), 161-169. 

  20. Lee, S.-H., Chang, Y.-K., & Park, S. K. (2008). A study on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of fashion products on brand equity: Focused on mediate role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659-1668. 

  21. Mehta, A. (1999). Using self-concept to assess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1), 81-89. 

  22. Park, E. Y. (2004). The effect of the congruence between advertising image and self-image on consumer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23. Rha, S.-I. (1998). A study on signification of components in fashion advertis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2), 355-368. 

  24. Reynolds, T. J., & Gutman, J. (1984). Advertising is image manag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1), 27-37. 

  25. Rhee, E. Y. (1997). Fashion marketing (2nd ed.). Seoul: Kyomunsa. 

  26. Seo, H. W. (2003).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s' self-images on clothing behavior and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7. Shin, C.-Y., & Lee, S.-H. (2003). A study on brand images and consumers' buying intentions by fashion leaflet advertise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5), 475-484. 

  28. Shin, H. B., & Lim, S. J. (2004). A study on advertising effects by advertising evaluation and advertising involvement: Focused on casual wear advertisements of fashion magazi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66-75. 

  29. Xiao, W. W.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image up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brand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Gyeonggi-do, Korea. 

  30. Yu, J. P.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Amos 4.0-20.0 공용 [(Professor Jong-Pil Y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and understanding: Amos 4.0-20.0 common]. Seoul: Hannarae Academ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