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적용 CuNx-Cu-CuNx 적층형 Metal Mesh 터치센서 전극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tal Mesh for CuNx-Cu-CuNx Multi-layer Touch Electrode by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7, 2016년, pp.414 - 423  

김현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양성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노경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성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he $CuN_x-Cu-CuN_x$ layer the partial pressure ratio Cu metal of Ar and $N_2$ gas using a DC magnetron sputtering device, was generated by the In-situ method. $CuN_x$ layer was able to obtain a surface reflectance reduction effect from the ad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의 3-layer층을 증착하였다. Ar 및 N2 gas의 분압비로 Cu 금속을 reactive sputtering을 통하여 CuNx를 생성시키는 건식 표면 흑화처리(black-oxide treatment)를 적용하였다. 외부 빛으로부터의 금속 표면 반사율 감소 효과를 보기 위하여 최상층의 CuNx layer를 N2 gas 분압, DC power, deposition time을 변수로 증착하여 두께 및 조성비에 따른 반사율과 표면 색차(명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 Cu 금속을 N2 gas를 통해 reactive sputtering시켜 제조한 CuNx 박막의 결정구조 조사는 X-ray diffraction (D/MAX-2200/PC. Rigaku Co.)을 이용하여 N2 gas 분압에 따른 결정 구조와 결정화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학적 조사는 박막 표면의 투과·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UV-Visible spectrophotometers (Helios Omega/SCINCO Co.
  • CuNx 산화 피막을 형성 시, DC power는 0.35 A, deposition time은 1 min 정도의 고정조건 하에서 Ar:N2 gas 분압을 조절하여 경향성을 관찰하였다. 10:10 sccm으로 N2 gas 분압이 증가할수록 L*(명도) 의 값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약 11.
  • DC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사용하여 Ar 및 N2 gas의 분압비로 Cu 금속을 reactive sputtering 공정을 통해 CuNx-Cu-CuNx 층을 In-situ 방법으로 일괄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공정상의 이점을 기대함과 동시에 외부 빛으로부터의 표면 반사율 감소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 0×10-5 Pa 범위에서 조절하였고, sputter target은 상부에 위치하고 기판이 하부에 위치한 하향식 증착 방식이며, rotation이 가능하다. DC power 인가 전력으로는 0.35 A, N2 gas의 분압은 Ar:N2 gas 10:0/2/4/6/8/10 sccm, deposition time 60/90/105/120/150 sec 변수로 두어 변화시키면서 증착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 N2 gas 분압 및 deposition time에 따른 박막 표면의 색차 값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써 색차계를 이용하여 비교적 정량적인 색영역으로 색차값을 나타내었다. 물리적인 측색인 색차계 (TES-135A/TES electrical electronic Co.
  • 36%로 가장 낮은 투과율을 보였다. N2 gas의 분압 비율이 증가할수록 투과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투과율 및 반사율 data를 이용하여 CuNx 박막의 광학적 밴드갭(optical band gap)을 계산하였다.
  • Photo-lithography process를 이용하여 Photo resist의 형상제어 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금속 Etching 공정 방법과는 달리 etching-free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 박막을 증착할 때마다 etching하는 것이 아닌, 한 번의 적층 후에 strip 공정으로 완료되는 공정으로 photo lithography의 번복을 피해 공정 단축률 및 각기 두께가 다른 이종 금속의 etching ratio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로써 금속 메쉬 미세 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고, 단순화된 공정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저감형 패터닝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7 A/600 sec의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Third layer로 CuNx 전극은 상기 실험을 토대로 한 광학적 밴드갭 최적조건에 따라 0.35 A/90 sec로 증착하여 5.01 inch 정도의 touch screen panel 시제작품 sample을 제작하였으며,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 그림 12는 TMS-1000(touch panel checking system)이라는 touch screen panel을 검사하기 위한 장비로써 측정 원리는 LC 공진주파수 변이차를 측정하여 TSP의 capacitance 값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검사 방법은 TMS-1000의 측정용 probe가 TSP의 단자 패드에 직접 접촉하여 TSP 내부의 capacitance를 측정하는 것이다 [16]. 측정된 frequency data를 계산하여 capacitance 값으로 변환시켜 raw data 값으로 산출해준다.
  • 그림 2는 Ar 대비 N2 gas의 분압을 조절하여 챔버 내에 주입하고 DC-reactive sputtering 방법으로 CuNx 산화 피막을 형성하여 N2 gas 주입비율에 따른 박막 표면의 색차를 수치로 나타냄으로써 경향성을 관찰하였다. 챔버 내의 Ar gas를 10 sccm으로 주입 및 고정 후, N2 gas를 2/4/6/8/10 sccm 단위로 주입하였다.
  • PR coating 두께는 약 4~5 ㎛ 정도의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PR의 유기용매 제거를 위해 110℃에서 1 min 동안 soft bake를 진행하였고, exposure은 20 mJ/sec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노광장비(MDA-400M/MIDAS Co)를 사용하여 2.5 sec 동안 UV를 가한 후 패턴의 결합력을 높이고 잔류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105℃에서 1 min 동안 PEB (post exposure bake)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undercut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약 50~60 sec 동안 현상 과정을 진행하였다.
  • 외부 빛으로부터의 금속 표면 반사율 감소 효과를 보기 위하여 최상층의 CuNx layer를 N2 gas 분압, DC power, deposition time을 변수로 증착하여 두께 및 조성비에 따른 반사율과 표면 색차(명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reactive sputtering 공정으로 플라즈마 표면처리 효과로 금속 표면의 roughness를 주어 표면 요철에 대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변수로 인한 투과·반사율로 Band-gap energy를 구한 뒤, 좁은광 eV 값을 도출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의 파장대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두께 및 공정 조건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 또한 광학적 조사는 박막 표면의 투과·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UV-Visible spectrophotometers (Helios Omega/SCINCO Co.)를 이용하여 200∼800 nm 파장대 구간에서 측정하였다.
  • 변수로 인한 투과·반사율로 Band-gap energy를 구한 뒤, 좁은광 eV 값을 도출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의 파장대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두께 및 공정 조건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photo lithography metal etching 방법과는 달리 PR (photo-resist)의 under-cut 형상제어를 통해 etching-free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 박막을 증착할 때마다 etching하는 것이 아닌, 한 번의 적층 후에 strip 공정으로 완료되어 photo lithography의 번복을 피해 공정 단축률 및 각기 두께가 다른 etching ratio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로써 금속 메쉬 미세 전극을 형성하였으며, 단순화된 공정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저감형 패터닝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gas 분압 및 deposition time에 따른 박막 표면의 색차 값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써 색차계를 이용하여 비교적 정량적인 색영역으로 색차값을 나타내었다. 물리적인 측색인 색차계 (TES-135A/TES electrical electronic Co.)를 이용하여 L*,a*,b*값 중, L*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색차계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지각적으로 균등한 간격을 가진 색 공간에 의한 색상모형으로 색상의 차이를 밝히는데 용이하다.
  • 35 A로 고정하고, deposition time을 60/90/105/120/140 sec로 달리하여 증착하였다. 박막 표면의 투과/반사율 및 증착된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광학적 밴드갭을 도출하였다. 증착한 박막의 두께 또한 변수로 각 증착시간마다 29.
  • 변수로 인한 투과·반사율로 Band-gap energy를 구한 뒤, 좁은광 eV 값을 도출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의 파장대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두께 및 공정 조건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C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N2 gas 분압의 변화를 통하여 In-situ process로 One 챔버 내에서 CuNx-Cu-CuNx의 3-layer층을 증착하였다. Ar 및 N2 gas의 분압비로 Cu 금속을 reactive sputtering을 통하여 CuNx를 생성시키는 건식 표면 흑화처리(black-oxide treatment)를 적용하였다.
  • Ar 및 N2 gas의 분압비로 Cu 금속을 reactive sputtering을 통하여 CuNx를 생성시키는 건식 표면 흑화처리(black-oxide treatment)를 적용하였다. 외부 빛으로부터의 금속 표면 반사율 감소 효과를 보기 위하여 최상층의 CuNx layer를 N2 gas 분압, DC power, deposition time을 변수로 증착하여 두께 및 조성비에 따른 반사율과 표면 색차(명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reactive sputtering 공정으로 플라즈마 표면처리 효과로 금속 표면의 roughness를 주어 표면 요철에 대한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4 eV 정도의 수치 값을 보였고, 이는 박막의 투과/반사율 보다 증착된 박막의 두께 조건 변수에 의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감소 결과와 같이 deposition time에 따른 증착된 박막의 두께 결과로 Cu 금속의 reactive sputtering의 deposition time을 통하여 생성시킨 CuNx 박막의 광학적 밴드갭 값의 경향성 변화를 도출하였다.
  • 01 inch로 제작한 touch panel의 △C(capacitance) 값을 도출하였으며, touch 및 non-touch 시, △C(capacitance) 값은 평균적으로 약 5~7 pF 값을 도출하였다. 이는 TSP의 도면상의 mesh 선폭 및 bezel line, 금속의 종류마다 각기 조금씩 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정전용량 방식으로 PET 기판 위에 reactive sputtering process 공정을 통한 In-situ 방식의 CuNx-Cu-CuNx 적층 구조로서 건식 표면처리 및 lift-off 공정을 통한 일체형 metal mesh sample을 제작하여 특성평가까지 진행하였다.
  • Photo-lithography process를 이용하여 Photo resist의 형상제어 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금속 Etching 공정 방법과는 달리 etching-free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 박막을 증착할 때마다 etching하는 것이 아닌, 한 번의 적층 후에 strip 공정으로 완료되는 공정으로 photo lithography의 번복을 피해 공정 단축률 및 각기 두께가 다른 이종 금속의 etching ratio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로써 금속 메쉬 미세 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고, 단순화된 공정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저감형 패터닝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Photo-resist는 UV에 의해 서로 결합력이 강해지는 N-type 용액인 AZ 사의 Az-nLoF 2035 series 제품을 사용하였다.
  • 또한 기존의 photo lithography metal etching 방법과는 달리 PR (photo-resist)의 under-cut 형상제어를 통해 etching-free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 박막을 증착할 때마다 etching하는 것이 아닌, 한 번의 적층 후에 strip 공정으로 완료되어 photo lithography의 번복을 피해 공정 단축률 및 각기 두께가 다른 etching ratio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로써 금속 메쉬 미세 전극을 형성하였으며, 단순화된 공정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저감형 패터닝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를 통해 박막 표면의 투과·반사율 및 박막의 두께 data를 이용한 Ambert-Beer-Bouguer 공식으로 흡수계수(α)를 도출하고, 흡수계수(α)와 입사광의 에너지(h)와의 관계식으로 N2 gas 및 deposition time에 따른 CuNx 박막의 energy band-gap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hoto-resist는 UV에 의해 서로 결합력이 강해지는 N-type 용액인 AZ 사의 Az-nLoF 2035 series 제품을 사용하였다. 증착할 기판은 0.7 T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유리(Gorilla glass)를 사용하였으며, Undercut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spin coating 장비를 사용하여 1,500 RPM, 30 sec의 조건으로 PR coating을 진행하였다. PR coating 두께는 약 4~5 ㎛ 정도의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CuNx 박막은 slide glass 기판(Corning 2948-75×25) 상부에 DC magnetron sputter 장비를 사용하여 증착하였다.
  • 이로써 금속 메쉬 미세 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고, 단순화된 공정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저감형 패터닝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Photo-resist는 UV에 의해 서로 결합력이 강해지는 N-type 용액인 AZ 사의 Az-nLoF 2035 series 제품을 사용하였다. 증착할 기판은 0.
  • 후에 hot plate를 사용하여 100°C, 1 min 정도 기판을 건조하였다. Reactive sputtering 시, Plasma gas로는 Ar(99.999%) gas를 사용하였고, reactive gas로는 N2(99.999%) gas를 사용하였다. 증착 전, 챔버 내 고진공 압력은 1.
  • 박막은 slide glass 기판(Corning 2948-75×25) 상부에 DC magnetron sputter 장비를 사용하여 증착하였다. Sputter target으로는 순도 99.99%의 Cu(99.99% purity, VTM) 3 inch target을 사용하였다. 기판의 크기는 75×25 mm2의 크기로 증착하기 전에 아세톤-에탄올 순서로 약 2 min 정도 초음파세척기를 통하여 세척하였고, D.
  • gas 주입비율에 따른 박막 표면의 색차를 수치로 나타냄으로써 경향성을 관찰하였다. 챔버 내의 Ar gas를 10 sccm으로 주입 및 고정 후, N2 gas를 2/4/6/8/10 sccm 단위로 주입하였다. DC power는 0.

이론/모형

  • Cu3N 입자 크기는 Scherrer에 의한 상수와 관련된 관계식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식 (1)에서 Κ는 Scherrer 상수, λ는 X-선 파장, θ는 회절 피크가 나타난 Bragg 각도, B는 회절 피크 폭 radian 값(FWHM:full with half maximum)이다 [8].
  • 광학적 밴드갭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Ambert-Beer-Bouguer 공식 (2)를 사용하여 증착된 박막의 흡수계수(α)를 먼저 도출한다 [9].
  • 마지막으로 undercut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약 50~60 sec 동안 현상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developer는 Az-nLoF 2035 series 전용 현상액인 MIF-300을 사용하여, non-puddle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터치 센서는 무엇을 기반으로 생산되는가? 현재 많은 IT 기기들의 터치 센서 부분은 투명전극인 ITO (indium tin oxide) 기반으로 생산되어지고 있다. 광투과율이 높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저항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지만, 대면적화 시 저항 증가 및 재료적으로 취성이 강하므로 유연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전자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Ag nanowire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광투과율이 높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저항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지만, 대면적화 시 저항 증가 및 재료적으로 취성이 강하므로 유연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전자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ITO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metal mesh, CNT, 그래핀, Ag nanowire 등이 있으나, 앞서 언급한 ITO 대체재 중에 현재 개발되고 있는 Ag nanowire의 경우는 sliver migration, 거친 표면, haze 등의 문제가 있고 CNT 및 graphene의 경우 고가의 소재가격, 소재 생산수율 및 생산량, 높은 저항 수치, 공정개발의 난제 등의 문제로서 해결과제가 많다. 현재 공정 및 상용화 단계까지 이른 기술은 금속 메쉬(metal mesh) 전극이다 [1].
ITO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많은 IT 기기들의 터치 센서 부분은 투명전극인 ITO (indium tin oxide) 기반으로 생산되어지고 있다. 광투과율이 높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저항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지만, 대면적화 시 저항 증가 및 재료적으로 취성이 강하므로 유연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전자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ITO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metal mesh, CNT, 그래핀, Ag nanowire 등이 있으나, 앞서 언급한 ITO 대체재 중에 현재 개발되고 있는 Ag nanowire의 경우는 sliver migration, 거친 표면, haze 등의 문제가 있고 CNT 및 graphene의 경우 고가의 소재가격, 소재 생산수율 및 생산량, 높은 저항 수치, 공정개발의 난제 등의 문제로서 해결과제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S. Jang, Thesis, 6, University of Ulsan, Ulsan (2008). 

  2. J. S. Kim and Y. B. Han, Thesis, 10,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010). 

  3. D. Dorranian, L. Dejam, and G. Mosayebia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Physics, 6, 13 (2012). [DOI: http://dx.doi.org/10.1186/2251-7235-6-13] 

  4. J. Xiao, Y. Li, and A. Jiang, J. Mater. Sci. Technol., 27, 403 (2011). [DOI: http://dx.doi.org/10.1016/S1005-0302(11)60082-0] 

  5. Y. Fang, J. Persson, C. Zha, J. Willman, C. W. Miller, and J. Akerman, J. Appl. Phys., 111, 073912 (2012). [DOI: http://dx.doi.org/10.1063/1.3703067] 

  6. M. Ghoohestani, M. Karimipour, and Z. Javdani,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Phys. Scr., 89, 7 (2014). 

  7. P. Klumdoung, S. Chaiyakun, and P. Limsuwan, As. J. Energy Env., 60 (2010). 

  8. K. I. Kim and S. D. Hong, J. SSF, 35, 77 (2002). 

  9. Y. S. Park and H. S Shin, J. KSCS, 29 (2015). 

  10. A. Rahmati, H. Bidadi, K. Ahmadi, and F. Hadian, J. Coat. Technol. Res., 8, 289 (2011). [DOI: http://dx.doi.org/10.1007/s11998-010-9279-9] 

  11. S. F. Wang, H. C. Lin, H. Y. Bor, Y. L. Tsai, and C. N. Wei, J. Alloy. Compd., 509, 10110 (2011). [DOI:http://dx.doi.org/10.1016/j.jallcom.2011.08.052] 

  12. L. R. Cruz, C. Legnani, I. G. Matoso, C. L. Ferreira, and H. R. Moutinho, Materials Research Bulletin, 39, 99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materresbull.2004.03.008] 

  13. M. Mikula, D. Bucacta, and E. Pincik, Physica Slovaca, 51, 35 (2001). 

  14. S. Y. Choi, S. J. Chun, Y. H Jung, S. H. Lee, S. H. Bae, S. J. Tark, J. H. Kim, and D. H. Kim, Kor. J. Mater. Res., 21 (2011). 

  15. H. M. Kim, D. Y. Ma, and K. C. Park,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5, 984 (2012). 

  16. J. Y. Lee, S. H. Ryu, M. H. Sung, and S. E. Lee, J. IEEE, 25, 65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