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CPR Educa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121 - 128  

정은영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  노지영 (한국국제대학교) ,  공정현 (한국국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S시에 소재한 직업훈련센터에 등록된 중년여성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으로 총 5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에게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총 4회기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카이제곱검정, t-test, 가설검증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4주동안 총 4회기를 실시한 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t=10.39, p<.001),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t=8.94, p<.001)에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향상과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맞춤형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CPR education program on middle-aged women'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CPR. It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58 middle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a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in S city were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년 여성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이 가정 내에서 예상치 못한 응급상황에서 적절하고 빠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절차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 따라서 중년 여성은 지역사회 내 중년 남성에게 흔하게 일어날 수 있는 심정지의 응급상황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높으나 교육기회가 적어 중년 여성은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히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기회가 부족한 중년여성에게 맞춤형 심폐소생 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중년여성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 2. 중년여성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가 더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으로 2010년 이후 암과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 심혈관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의 62%는 심정지의 원인이 되며 이러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율은 최초 목격자에 의한 빠르고 정확한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2].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으로 2010년 이후 암과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 심혈관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의 62%는 심정지의 원인이 되며 이러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율은 최초 목격자에 의한 빠르고 정확한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2]. 2013년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가정에서의 심정지 발생률이 57.
국가차원의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대부분의 국가차원의 심폐소생술 교육은 불특정 다수나 대규모 이론 강의, 보수교육, 의무 교육의 형태로 시행되고 있어 그 효과가 매우 미비하여 오인지율이 높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도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6]. 그 결과 2011년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조사 결과 심폐소생술 인지도 비율이 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tatistics Korea.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4 [Ienternet]. Daejeon: Author; 2014 [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http://kostat.go.kr/%20portal/korea/kor_nw/2/1/inde x.board?bmoderead&aSeq308559. 

  2. H. S. Kim, D. C. Uhm, S. W. Hong, "Factors influen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on a stranger",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pp. 339-346,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2.339 

  3. Ministry of health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Seoul, 2013. 

  4. S. J. Kim, K. O. Ahn, S. E. Kim, S. P. Chung, "Case reports: resuscitation; successful linkage of 'chain of survival'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wo cases of dispatcher-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6(2), pp. 201-207, 2015. 

  5. S. H. Park.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asic life support of the spouses of heart diseas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2. 

  6. M. J. Lee, K. N. Park, H. Kim, J. H. Shin, H. J. Yang, T. H. Rho,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reluctance and attitude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community",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1), pp. 31-36, 2008. DOI: http://dx.doi.org/10.3346/jkms.2008.23.1.31 

  7. Y. S. Jung, K. O. An, Y. S. Yoon, Y. S. Jo, "Development and activation scheme of custom training modules for home in first ai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8. E. Platz, M. D. Scheatzle , P. E. Pepe, S. R. Dearwater, "Attitudes towards CPR training and performance in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heart disease, Resuscitation, 47(3), pp. 273-280,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300-9572(00)00245-8 

  9. J. A. Choi, "Survival of out-of-hospital sudden cardiac arrest in korea, 2010-201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7(39), pp. 870-872, 2014. 

  10. E. K. Lee, O. H. Kim, E. M. Kim, "The effect of CPR educatio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pp. 121-128,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1.121 

  11. S. H. Choi, "Effec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self efficac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9(1), pp. 18-28, 2015.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1.18 

  12. J. M. Koh, T. M. Kim, "CPR training effect for civilian",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6(1), pp. 19-29, 2012. 

  13. M. H. Lee, S. H. Choi, M. J. Park, "Effect of CPR tr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2), pp. 198-203, 2007. 

  14. S. H. Park, H. J. Choi, B. S. Kang, T. H. Im, S. R. Yeom,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7(6), pp. 545-558, 2006. 

  15. W. W. Lee, G. C. Cho, S. H. Choi, J. Y. Ryu, J. Y. You, K. C. You,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persons'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20(5), pp. 505-509, 2009. 

  16. G. S. Jung, H. M. Oh, S. Y. Jeong,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ttitude of health-care student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pp. 2271-228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5.2271 

  17. K. J. Song, D. J, Oh, "Current status of CPR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43(1), pp. 4-10, 2007. 

  18. J. M. Lee, K. S. Paek,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0), pp. 4927-4934,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4927 

  19. H. S. Kim, E. Y. Choi, "Continuity of BLS Training Effec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8(1), pp. 101-109,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102 

  20. M. O. Yoon,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CPR Knowledge and Attitude of Undergradu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4(1), pp. 1-11, 2011. 

  21. M. S. Kwon,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s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pp. 5943-5949,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59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