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계획법에 의한 복합영농의 최적화 방안 - 충남 서산시 A농가를 대상으로 -
Analyzing Optimal Farming System Using Linear Programming - Case of Rice Farm in Seosan County, Chungnam -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3 no.2, 2016년, pp.123 - 133  

김창환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김성록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김소윤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increasing the number of rice farm households, it is important to find optimal farm scale, farm crops, and labour constraints depending on growth time.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optimal farming system using the linear programming in Seosan county, Chungnam. The survey was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r).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 전업농이면서 2개 이상의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복합농가를 대상으로 현재의 토지와 노동 제약하에서 효율적인 작목의 선택과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복합영농을 하는 개별농가에서 주어진 토지와 노동 제약하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으면서도 농가의 수익을 극대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의 농업여건에서의 작목의 선정이 과연 효율적인지에 대해 점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 전업농이면서 쌀 이외의 작목을 함께 생산하는 복합영농 농가를 대상으로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개별농가에서는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과 노동력 부족 등의 원인으로 더 이상 생산을 확대하지 못하였다.
  • 개별농가에서 주어진 토지와 노동 제약하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으면서도 농가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작목구성이 과연 효율적인지에 대해 점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서 쌀 생산량이 가장 높은 충남지역에서 쌀 전업농이면서 복합농인 농가를 대상으로 현재의 영농환경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적정재배 규모를 도출하고, 작목의 선정과 시기별 노동제약을 분석하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투입요소는 노동, 토지, 자본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본의 조달에는 제약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토지와 노동에 대한 제약조건만을 설정하였다. 벼를 재배하는 논의 면적은 1020a이고, 생강, 감자, 마늘, 씀바귀를 재배하는 밭의 면적은 463a로 이것을 조건식으로 나타내 토지제약조건을 설정하였다.
  •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해 여성의 농업참여율이 증가되면서 여성은 농업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남성과 비슷한 수준의 농업노동 투하율을 나타내고 있다(농림부, 2010; 유소이 & 김경미,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제 노동력은 남편과 부인 두 사람의 노동력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조사대상 농가의 영농현황은 <표 4>와 같다.
  • 토지의 경우 논과 밭의 형질변동이 없는 한 논은 기존의 재배면적 1020a를 모두 사용하였기에 소득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밭의 경우에는 생강, 감자, 마늘, 씀바귀를 재배하고 있는 현재의 작목구성이 소득증대에 효과적이며, 농가에 농기계를 임대하는 경우에도 기존과 같이 트랙터(75마력, 50마력)와 콤바인을 임대하는 것 보다 75마력 트랙터 1대만 집중적으로 임대하는 것이 대상 농가의 소득증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정일. (2003). 농업기계화사업의 전망과 정책과제. 농업생명과학연구, 37(4), 51-67. 

  2. 강혜정. (2005). 농가특징이 농업생산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농가단위의 패널자료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2(3), 495-507. 

  3. 강혜정. (2013). 복합영농의 범위 경제성 및 생산 효율성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6(4): 73-92. 

  4. 국립농업과학원. (2011). 농업기계 이용실태 및 농작업 기계화율. 수원: 농촌진흥청. 

  5. 권태진. (1985). 미곡생산의 규모경제성과 대체탄력성 계측. 농촌경제, 8(4), 123-136. 

  6. 김건수, & 유병서. (1986). 농업경영규모별 생산기술 분석. 농업경제연구, 27(1), 163-179. 

  7. 김성용. (2004). 농가소득 불균형의 변화 추이와 소득원천별 분해. 농업경제연구, 45(4), 98-99. 

  8. 김세헌. (2014). 현대경영과학. 서울: 무역경영사. 

  9. 김제안, & 채종훈. (2009). 농가유형별 소득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2(4), 1641-1658. 

  10. 김철규. (2006).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거시 역사적 접근. 농촌사회, 16(2), 183-211. 

  11. 김학규, 정창주, & 정선옥. (1996). 대형 농기계의 효율적 이용을 고려한 포장구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1(3), 343-356. 

  12. 농림부. (2005). 일반경지정리사업 백서 .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13. 농림부. (2010). 농업총조사. www.maf.go.kr. 

  14. 농림축산식품부. (2014).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5. 농림축산식품부. (2015). 우리는 어디를 바라보면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가.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6.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5). 2014년 귀농.귀촌, 44,586가구, 전년대비 1.4배 증가.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7. 농촌진흥청. (2015a). 2014 농축산물소득자료집. 전주:농촌진흥청. 

  18. 농촌진흥청. (2016b). 2014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전주: 농촌진흥청. 

  19.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www.rda.go.kr. 

  20. 박원규. (1998). 농업기계의 효율적 이용. 한국농업기계학회 심포지엄 자료집, 97-130. 

  21. 박진도. (2010). 한국농촌사회경제의 장기변동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농촌사회, 20(2), 47-80. 

  22. 서산시 농업기술센터. http://www.ss5959.kr/html/seosan/. 

  23. 임정빈. (2014). 2014년 미국 신농업법의 농가소득지원 정책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6(3), 210-218. 

  24. 유병서. (2000). 도농간 소득격차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27, 89-93. 

  25. 유소이, & 김경미. (2003). 여성농업인의 농업노동과 가사노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농촌사회, 13(2), 245-270. 

  26. 조영숙, 이덕재, 황대용, 박은식, & 고정숙. (2006). 전업.겸업농가의 가정 내 경제문제 인지의 변화. 한국농촌지도학회, 13(2), 256-276. 

  27. 통계청. (2010). 농림어업총조사. 

  28. 통계청 보도자료. (2015). 2015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29. 통계청 홈페이지. (2015). www.kostat.go.kr. 

  30. 통계청 e-나라지표 홈페이지. (2015.11). www.index.go.kr. 

  31. 한국농업기계학회. (2013). 농업기계연감 . 

  32. 황의식, & 강혜정. (2006). FTA 추진에 따른 농가유형별 소득변동 분석. 농촌경제, 29(2), 1-10. 

  33. Chaplin, H., Davidova, S., & Gorton, M. (2004). Agricultural adjust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farm households and corporate farms in central europe. Journal of Rural Studies, 20, 61-77. 

  34. Coelli, T, & Fleming, E. (2004). Diversification economies and specialisation efficiencies in a mixed food and coffee smallholder farming system in papua new guinea. Agricultural Economics, 31, 229-239. 

  35. Fleming, E, & Hardaker, J. B. (1994). Strategies for melanesian agriculture for 2010-tough choices. National Centre for Development Studies, Canberra. 

  36. Kwon, O-S, & Lee, H. (2004). Productivity improvement in korean rice farming-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nalysis.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48(2), 323-346. 

  37. Livanis, G., Moss, C. B., Breneman, V. E. Breneman, & nehring, R. F. (2006). Urban sprawl and farmland pric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4), 915-929. 

  38. Lu, Q., & Miao. (2006). Farmer income differential in regions.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16(3), 199-2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