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서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집단 일반화가능도 분석
Multigroup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Creative Attitude Scale-Korea for Mathemat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 Schoo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1 no.1, 2017년, pp.49 - 70  

김성연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측정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수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에서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오차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과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하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09명의 중등 수학영재와 125명의 일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 결과에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는 신뢰도를 기준으로는 일반학생 집단에서, 조건부 측정 오차를 기준으로는 수학영재 집단에서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집단에서 모두 시행할 수 있는 신뢰로운 측정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학영재 집단의 경우 수렴적 태도를 높게. 반면에 일반학생 집단의 경우 발산적 태도와 문제해결 태도를 높게 반영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영재 집단의 경우 발산적 태도, 문제해결 태도, 수렴적 태도의 다차원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경우, 그리고 일반학생 집단의 경우 발산적 태도만으로도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 활용 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multiple error sources and to find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that obtain a desired level of reliability of a creative attitude test in mathematical creativity.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the Creative Attitude Scale-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Brennan(2001a, 2009, 2013), Li와 Brennan(2007), Powers와 Brennan(2009), 그리고 Yin(2005)은 일반화가능도 분석 결과를 해석할 때, 신뢰도인 일반화가능도계수뿐만 아니라 측정치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측정 오차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뢰도와 측정 오차를 동시에 고려하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 결과를 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적 태도 검사는 일반학생과 수학영재 집단 사이에 구별이 필요한 지, 그리고 집단 별 최적의 측정 조건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검사들은 검사 대상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자에 따라 중학생부터 성인인 교사까지 시행 가능하다는, 학교 급별에 따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해야 한다는, 또는 영재성에 따라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구분 여부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행 구분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뢰도와 조건부 측정 오차를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 시행 시 수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구별이 필요한지, 집단에 따라 채점 결과에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과 최적의 측정 조건들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이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고 있는지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화가능도 이론에 대한 연구는 Briesch 외(2014)가 발표한 것처럼 많은 강점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조차 연구자들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동시에 시행하도록 개발된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이지성, 2006)에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수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구분이 필요한지, 집단에 따라 검사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집단별 최적의 측정 조건들을 일반화가능도계수와 조건부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실질 가중치는 고정국면이 실제 합성 전집정수 분산 및 오차 분산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의 구성 요소별 상대 가치를 문항 수에 비례하게 두었다. G-연구에서는 추정된 오차 분산 성분을 활용하여 각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탐색하며, D-연구에서는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하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들을 탐색한다(Brennan(2001a).

가설 설정

  • 구체적으로 CAS-K의 요소(c) 국면은 발산적 태도, 문제해결 태도, 그리고 수렴적 태도로 고정되어 있으며, 발산적 태도에는 유창성과 적절성, 문제해결 태도에는 적극성, 독자성, 집중성, 그리고 수렴적 태도에는 수렴성과 정밀성 영역(d)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 33개의 문항(i)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소 국면이 고정인 반면에 피험자, 영역, 그리고 문항은 모두 무선 국면으로 가정하였다.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서 영역과 문항은 가능한 모든 영역과 문항의 전집으로부터 표집된 것이며, 이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 태도를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과에서 창의·융합적 사고란 무엇인가? 수학적 창의성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 하나로 합의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학교수학과 관련하여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9)에서 수학적 창의성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제를 탐구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한혜정 외, 2012).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추구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수학 지식을 바탕으로 새롭고 의미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내고 수학을 내적·외적 상황과 연결시켜 적용하는 능력’인 창의·융합적 사고를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수학적 창의성은 2009개정 수학 교육과정에서의 의미를 계승하는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고 독창적인 해결 방법을 산출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과제를 탐구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황선욱 외, 2011).
창의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창의성은 개인적인 삶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경쟁력을 높이고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미래를 보장해줄 것이라는 믿음과 기대가 커지면서 창의성에 대한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이선영, 2014; Davila, Epstein, & Shelton, 2006; Florida, 2002, 2006; Livingston, 1999; Makel & Plucker, 2008; Webb, 1995).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교육의 본질이자 궁극적인 목표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창의·인성 기본 교육 방안을 교육과학기술부(2009)가 발표하면서 학년과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과정에서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Mann이 사용한 수학태도척도의 8가지 요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Mann(2005)은 수학태도척도(Mathematics Attitude Scales(MAS), Fennema & Sherman, 1976)를 활용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를 수학적 창의성 태도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MAS의 요인에는 수학학습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유용성, 수학의 성역할 적합성, 학습자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 교사 태도,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인 8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박수연, 1999). 또한 Mann(2005)은 수학적으로 창의적인 사람의 특징을 언급한 연구로 Balka(1974a, 1974b)의 준거와 Carlton(1959)이 얻은 21가지 창의적인 사람의 특성을 비교하면서 깊게 생각하고자 하는 태도, 일반화하고 구조를 개선하려는 욕구, 남과 다르게 생각하는 것에서의 즐거움, 그리고 관련된 것을 찾고자 하는 태도 등을 창의적 태도에 포함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개정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4). The main particular of 2015 National Curriculum draft for an integration of Arts and Scienc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 권유선.하대현 (2015).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 투입 국면에 따른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9(4), 817-844. (Kwon, Y. S., & Ha, D. H. (2015). The relationship of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creativity measuring contents and O/I model.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9(4), 817-844.) 

  4. 김미숙.이정규.이희권.김언주.맹희주.이상천.정경아.최호진.한수연 (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Kim, M. S., Lee, J. K., Lee, H. K., Kim, E. J., Meng, H. J., Lee, S. C., Jung, K. A., Choi, H. J., & Han, S. Y. (2007). A study for evaluation and long term prospects of the 1st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5. 김부윤.김철언.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고찰 (II).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1), 241-251. (Kim, B. Y., Kim, C. E., & Lee, J.-S. (2005). A study about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1), 241-251.) 

  6. 김부윤, 이지성(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5(1), 25-34. (Kim, B. Y., & Lee, J. S. (2006).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of the CAS-K in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5(1), 25-34.) 

  7. 김성숙.김양분 (2001). 일반화가능도 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Kim, S. S. & Kim, Y. B. (2001). Generalizability theory. Seoul: Kyoyookgwahaksa.) 

  8. 김성연 (2016). 수학적 창의성 검사의 채점 영역별 가중치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2), 147-169. (Kim, S. Y. (2016). Analysis of weights depending on scoring domains of the mathematical creativity tes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2), 147-169.) 

  9. 김성연.최원 (2016). 과학 창의성 검사의 효율적인 측정 조건 탐색. 중등교육연구, 64(1), 49-75. (Kim, S. Y., & Choi. W. (2016). An investigation of efficient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test.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4(1), 49-75.) 

  10. 김성연.한기순 (2013). 관찰.추천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평가에대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활용. 영재교육연구, 23(5), 671-698. (Kim, S. Y., & Han, K. S. (2013). An application of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s and self-introduction letters used in selec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5), 671-698.) 

  11.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Kim, Y. C. (1999). Creative problem solving: Theory, development, and teaching of creativity. Seoul: Kyoyookgwahaksa.) 

  12. 문정화.하종덕 (2003).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Moon, J. H., & Ha, J. D. (2003). Another education, creativity. Seoul: Hakjisa.) 

  13.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3), 803-822. (Park, M. (2009).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enhanc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3), 803-822.) 

  14. 박문정 (2008). 수학적 창의성 태도 측정도구의 개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rk, M. J. (2008).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attitudes towards mathematical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l, Korea).) 

  15. 박문정.김판수 (2011).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적 창의성 태도 측정 도구 개발. 과학영재교육, 3(3), 29-48. (Park, M. J., & Kim, P. S. (2011). Comparing two scales measuring attitudes towards mathematical creativity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3(3), 29-48.) 

  16. 박병기 (1998). 창의성 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Park, B. K. (1998). The basis of creativity education. Seoul: Kyoyookbook.) 

  17. 박성훈 (2014). 수학영재의 창의성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rk, S. H. (2014).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reativity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8. 박수연 (1999). 성취수준에 따른 남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rk, S. W. (1999). A study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ccording to achievement gra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서예원.이재분.유경재.정영옥.박지은.이경숙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Seo, Y. W., Lee, J. B., Yoo, K. J., Jung, Y. O., Park, J. E., & Lee, K. S. (2012). A study for estabilishment of the 3rd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 신문승 (2010).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3(3), 267-291. (Shin, M. S.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3), 267-291.) 

  21. 이광우 (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교육부 워크숍 자료. (Lee, K. (2014). A direction of developing subject curriculum. Ministriy of Education Workshop.) 

  22. 이규민.황경현 (2007). 초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방식에 대한 일반화가능도 분석. 아동교육, 16(4), 169-184. (Lee, G, M., & Hwang, K. H. (2007). A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toward investigating the generalizability of scores from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methods in performance assessments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169-184.) 

  23. 이동희.김판수 (2010). 수학적 창의성과 태도 및 학업에 미치는 등산학습법의 적용과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23-41. (Lee, D. H., & Kim, P. S. (2010). The effect of climbing learning method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al creativity.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1), 23-41.) 

  24. 이선영 (2014).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 간의 관계를 통해서 본 영재성과 창의성. 영재와 영재교육, 13(1), 107-127. (Lee, S.-Y. (2014). Are the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creativity homogeneous or heterogenous in nature?: Based on analyses of their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3(1), 107-127.) 

  25. 이선영.김성연.김정하.백근찬.이병윤 (2015).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창의성 예비검사의 신뢰도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15(3), 83-107. (Lee, S.-Y., Kim, S. Y., Kim, J. H., Baek, K, C., & Lee, B. Y. (2015). Analyses of the reliability of a preliminary creativity test using the multivariate geveralizability theory.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5(3), 83-107.) 

  26. 이영식.신상근 (2004).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에 의한 말하기 시험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외국어교육, 11(2), 249-265. (Lee, Y. S., & Shin, S. K. (2004). An investigation into the dependability of ratings in a German speaking test using the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1(2), 249-265.) 

  27. 이종희.김기연 (2007). 창의적 생산력 신장의 교육목표 이해를 위한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개념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4), 445-464. (Lee, J. H., & Kim, K. Y. (2007). A study on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mathematically gifted aspect.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445-464.) 

  28. 이주현 (2005). 창의성 측정의 신뢰도: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응용.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Lee, J. H. (2005).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to the reliability issue of creativity measur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9. 이지성 (2006). 수학적 창의성의 창의적 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Lee, J. S. (2006). Creative attitud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30. 정희선 (2012). 수학에서 창의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 과학영재교육, 4(1), 13-27. (Jung, H. S. (2012).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attitud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athemat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4(1), 13-27.) 

  31. 최병훈.방정숙 (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97-215. (Choi, B. H., & Bang, J. S. (201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1), 197-215.) 

  32. 최은선 (2010). 초등수학 영재교육을위한 수학적 창의성 개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hoi, E. S. (2010). A study of the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for the educa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33. 한혜정.박순경.이근호.이승미 (2012). 시.도 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지침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an, H. J., Park, S. K., Lee, K. H., & Lee, S. M.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POE curriculum organization & implementation guideline through analyzing its current situa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4. 허경철.김홍원.임선하.김명숙.양미경 (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V).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uh, K. C., Kim, H. W., Im, S. H., Kim, M. S., & Yang, M. K. (1991). A study of think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V) .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5. 황선욱 외 32인 (2011).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Hwang, S. et al. (2011). Draft of the creativity-focu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future.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36. 황혜정, 김홍원, 박경미, 김수환, 김신영, 채선희(1997).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수학과 학습 평가 방법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wang, H. J., Kim, H. W., Park, K. M., Kim, S. H., Kim, S. Y., & Chae, S. H. (1997).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o improve the mathematical creativenes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7. 齋藤昇(1999). 數學敎育における創造性に關する態度尺度の開發, 全國數學敎育學會誌數學敎育學硏究, 5, 35-46. 

  38.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997-1013. 

  39.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Colorado: Westview. 

  40. Balka, D. S. (1974a).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41. Balka, D. S. (1974b).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 633-636. 

  42. Brennan, R. L. (2001a). Generalizability Theory. New York: Springer. 

  43. Brennan, R. L. (2001b). Manual for mGENOVA Version 2.1. Iowa City, IA: Center for Advanced Studies in Measurement and Assessment, The University of Iowa. 

  44. Brennan, R. L. (2009). Notes about nominal weights in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CASMA Technical Note, (4). 

  45. Brennan, R. L. (2013).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portfolio assessments in dental education (No. 34). CASMA Research Report Series. 

  46. Briesch, A. M., Swaminathan, H., Welsh, M., & Chafouleas, S. M. (2014). Generalizability theory: A practical guide to study design,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1), 13-35. 

  47. Carlton, V. L. (1959).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ncepts of fourteen outstanding mathematicians, 1790-1940, in the areas of mental growth and development, creative thinking, and symbolism and mea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48. Cattell, R. B., & Butcher, H. J. (1968). The prediction of achievement and creativity. Indianapolis, IN: Bobbs-Merrill. 

  49.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50. Costa, P. T., & McCrae, R. R. (1992).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6), 653-665. 

  51. Cronbach, L. J., Gleser, G. C., & Nanda, H. Rajaratnam. N. (1972). The dependability of behavioral measurements: theory of generalizability for scores and profiles. New York: Wiley. 

  52.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New York: Harper Collins. 

  53. Davila, T., Epstein, M. J., & Shelton, R. (2006). Making innovation work: How to manage it. Measure It, and Profit from It. Upper Saddle River, NJ: Wharton School Publishing. 

  54. Davis, G., & Rimm, S. (199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3r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55. Domino, G. (1970). Identification of potentially creative persons from the Adjective Check Lis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 48-51. 

  56. Domino, G. (1994). Assessment of creativity with the ACL: An empirical comparison of four scal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7(1), 21-33. 

  57. Dunbar, S. B., Koretz, D. M., & Hoover, H. D. (1991). Quality control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4(4), 289-303. 

  58. Feingold, A. (1992). Gender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bilities: A new look at an old controversy. Reveiw of Educational Research, 62(1), 61-84. 

  59. Fenna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7(5), 324-326. 

  60.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The Washington Monthly, 34(5), 15-25. 

  61. Florida, R. (2006). The flight of the creative class: The new global competition for talent. New York.: HaperBusiness. 

  62. Hocevar, D. (1979).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behavior invento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Rocky Mountain Psychological Association. 

  63. Hu, W. (2003). Adolescent scientific creativity development and training. Beijing: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64.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Lakin, J. M., & Lai, E. R. (2012). Multigroup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verbal, quantitative, and nonverbal ability tests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2(1), 139-158. 

  66. Lee, G., Brennan, R. L., & Frisbie, D. A. (2000). Incorporating the Testlet Concept in Test Score Analyse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9(4), 9-15. 

  67. Lee, G., & Frisbie, D. A. (1999). Estimating reliability under a generalizability theory model for test scores composed of testle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2(3), 237-255. 

  68. Lee, S., Lee, J., & Youn, C. Y. (2005). A variation of CAT for measuring creativity in business produ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5(2), 143-153. 

  69. Li, D., & Brennan, R. L. (2007). A multigroup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a large-scale reading comprehension test. CASMA Research Report, 25. Iowa City, IA: Center for Advanced Studies in Measurement and Assessment, University of Iowa. 

  70. Livingston, J. A. (1999). Something old and something new: Love, creativity, and the enduring relationship.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63(1), 40-52. 

  71. Makel, M. C., & Plucker, J. A. (2008). Creativity.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pp. 247-270). New York: Springer. 

  72. Mann, E. L. (2005).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chool mathematics: indica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nnecticut University). 

  73. Powers, S., & Brennan, R. L. (2009).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es of mixedformat exams. In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San Diego, CA. 

  74. Renzulli, J. S., & Hartman, R. K. (1971).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SRBCSS). Exceptional Children, 38, 243-248. 

  75. Rimm, S. B. (1976). GIFT: Group Inventory for Finding Creative Talent.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76. Runco, M. A. (2008). Commentary: Divergent thinking is not synonymous with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2(2), 93-96. 

  77. Shavelson, R. J., Baxter, G. P., & Gao, X. (1993). Sampling vari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0(3), 215-232. 

  78. Shavelson, R. J., & Webb, N. M. (1991). Generalizability theory: A primer . London: Sage Publications. 

  79. Silvia, P. J. (2008). Discernment and creativity: How well can people identify their most creative idea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2(3), 139. 

  80. Silvia, P. J., Winterstein, B. P., Willse, J. T., Barona, C. M., Cram, J. T., Hess, K. I., Martinez, J. L., & Richard, C. A. (2008). Assessing creativity with divergent thinking tasks: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ew subjective scoring method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2(2), 68. 

  81. Sternberg, R. J. (2003). Wisdom, intelligence, and creativity synthesiz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83. VanTassel-Baska, J. (1989). Factors that characterize the developmental path of eminent individuals. In J. VanTassel-Baska & P. Olszewski-Kubilius (Eds.), Patterns of influence: The home, the self, and the school (pp. 146-162).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84. Wang, J., & Yu, J. (2011). Scientific creativity research based on generalizability theory and BP_Adaboost RT. Procedia Engineering, 15, 4178-4182. 

  85. Webb, N. M., Shavelson, R. J., & Maddahian, E. (1983).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In I. J. Pyans, Jr.(Ed.), Generalizability theory: Inference and practical applications (pp.67-81).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6. Webb, S. B. (1995). A solution-oriented approach to conflict resolution in a work system.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23(3), 409-419. 

  87. Wieczerkowski, W., & Prado, T. (1993).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talents/gifts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443-451. 

  88. Yin, P. (2005).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he Multistate Bar Examin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5(4), 668-6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