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이용한 심한 마모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Oral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zirconia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4 no.3, 2016년, pp.273 - 279  

박준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 보철학교실) ,  류재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치수의 병적 변화, 교합 불균형과 기능 및 심미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수직고경의 변화를 동반한 전악보철수복의 경우, 악관절 및 저작근의 통증이나 이상기능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 및 분석, 그리고 단계적인 치료접근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34세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와 부식으로 인해 기능적, 심미적 치아외형 상실을 가지고 있었다. 진단 평가결과 수직고경의 거상을 동반한 전악 보철 수복이 필요한 상태로 진단되었다. 치료계획에 의해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안정화시킨 뒤 중심위를 채득하고, 거상된 수직고경 상에서 임시치아로 수복하여 경과 관찰하였다. 그 후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er)을 이용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 수복 후 환자는 기능 및 형태적으로 매우 만족했으며, 더불어 심미적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e tooth wear may lead to pathological changes of pulp, imbalance in occlusion as well as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In this case, 34-year-old male came to the hospital because of generally worn dentition due to attrition and erosion. After evaluation, a full mouth restoration with elev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증례의 환자는 전반적인 마모와 부식으로 저작 기능 및 심미성 회복을 위해 내원한 환자로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를 사용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시행하였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를 탈회시키는 산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치아를 탈회시키는 산은 음료나 식품 같은 외부적인 요인과, 위산이나 치태와 같은 내부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외부적인 요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산성 음료의 섭취이다.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무엇을 야기할 수 있는가? 과도한 치아의 마모는 치수의 병적 변화, 교합 불균형과 기능 및 심미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수직고경의 변화를 동반한 전악보철수복의 경우, 악관절 및 저작근의 통증이나 이상기능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 및 분석, 그리고 단계적인 치료접근이 요구된다.
치아를 탈회시키는 산의 외부적 요인에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치아를 탈회시키는 산은 음료나 식품 같은 외부적인 요인과, 위산이나 치태와 같은 내부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외부적인 요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산성 음료의 섭취이다.1 산성 음료를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특히 어린 아이나 젊은 성인들에서 상아질을 부식시킬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oung WG. The oral medicine of tooth wear. Aust Dent J 2001;46:236-50. 

  2. ten Cate JM, Imfeld T. Dental erosion, summary. Eur J Oral Sci 1996;104:241-4. 

  3. Khan F, Young WG, Daley TJ. Dental erosion and bruxism. A tooth wear analysis from south east Queensland. Aust Dent J 1998;43:117-27. 

  4. Murphy T. Compensatory mechanisms in face height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 Dent J 2009;4:312-23. 

  5. Berry DC, Poole DF. Attrition: possible mechanisms of compensation. J Oral Rehabil 1976;3:201-6. 

  6. Faigenblum M. Removable prostheses. Br Dent J 1999;186:273-6. 

  7.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8. Ibbetson RJ, Setchell DJ. Treatment of the worn dentition: 2. Dent Update 1989;16:300-2, 305-7. 

  9. Ganss C, Lussi A. Diagnosis of erosive tooth wear. Monogr Oral Sci 2006;20:32-43. 

  10. Khan F, Young WG, Law V, Priest J, Daley TJ. Cupped lesions of early onset dental erosion in young southeast Queensland adults. Aust Dent J 2001;46:100-7. 

  11. Young WG, Khan F. Sites of dental erosion are saliva-dependent. J Oral Rehabil 2002;29:35-43. 

  12. Brunton PA, McCord JF. An analysis of nasolabial angles and their relevance to tooth position in the edentulous patient.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1993;2:53-6. 

  13.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Elsevier inc.; 2007. p. 430-52. 

  14.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15. Tinschert J, Natt G, Mautsch W, Augthun M, Spiekermann H. Fracture resistance of lithium disilicate-, alumina-, and zirconiabased three-unit fixed partial dentures: a laboratory study. Int J Prosthodont 2001;14:231-8. 

  16. Christel P, Meunier A, Heller M, Torre JP, Peille CN. Mechanical properties and short-term in-vivo evaluation of yttrium-oxide-partially-stabilized zirconia. J Biomed Mater Res 1989;23:45-61. 

  17. Miyazaki T, Nakamura T, Matsumura H, Ban S, Kobayashi T. Current status of zirconia restoration. J Prosthodont Res 2013;57:236-61. 

  18. Baldissara P, Llukacej A, Ciocca L, Valandro FL, Scotti R. Translucency of zirconia copings made with different CAD/CAM systems. J Prosthet Dent 2010;104:6-12. 

  19. Rojas-Vizcaya F. Full zirconia fixed detachable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manufactured from monolithic zirconia: clinical report after two years in service. J Prosthodont 2011;20:570-6. 

  20. Limmer B, Sanders AE, Reside G, Cooper LF. Complications and patient-centered outcomes with an implant-supported monolithic zirconia fixed dental prosthesis: 1 year results. J Prosthodont 2014;23:267-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