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7, 2016년, pp.566 - 574  

손은경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iewing trends in eco-childhood education. Analyte is analyzed, such as from 10 March 2008 and 2015 annual target of 97 pieces of thesis until March trends,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first, the ecological childhood education sub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발표된 생태유아교육 관련 우리나라 석· 박사 학위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논문 편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에 대해 고찰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연구과제 및 연구 방향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학문이 학문 공동체 내에서 그 동안 축적된 연구를 되돌아보고 연구물의 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통찰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일은 전공분야 구성원의 필수적이고도 주기적인 과제이며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의미 있는 기초가 된다[2]. 이에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 중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석 박사 논문을 분석하여 생태유아교육을 연도 별로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교육의 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생태유아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결과 주요 발견 내용은 무엇인가?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기의 생태교육은 어디에 집중되어야 하는가? 생태유아교육은 자연과 인간의 만남은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일생동안 이루어져야 하며, 환경에 대한 행동, 가치, 태도, 감각 등이 완전히 형성되기 이전인 유아기 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33][37]. 유아기의 생태교육은 보다 구체적 경험, 놀이 체험활동 등을 통해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길러 주며 생태윤리적 가치 형성과 더불어 자연보전을 위한 실천력을 키우는데 집중되어야 한다[14].
생태유아교육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생태유아교육은 기존은 유아 교육현장에서 기존의 교과영역의 교육과는 다른 자연의 현장에서 구현되는 교육활동이다.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으로는 삶, 땀, 관계, 감각, 앎, 감성, 영성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교육이념인 생명 중심, 공동체 중심의 몸·마음·영혼의 교육과정으로 자연, 놀이,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는 교육과정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3. 

  2. 김영욱, 동아시아 한문교육 국제학술대회 - 한자 문화권과 한문교육, "중국에서의 한자교육 현황 -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 교수, 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한문교육연구, 제21권, pp.77-103, 2003. 

  3. 김주영, 초등학생 생태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 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5호, pp.167-186, 2004. 

  6. 김성옥,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형미, 백효영, 나은숙, "생태유아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91-117, 2009. 

  8. 남효창, "체험환경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8권, 제2호, pp.17-25, 2004. 

  9. 민광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10. 민정아, 한국 생태유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문순홍, 생태교육철학, 서울: 아르케, 2006. 

  12.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유아교육연구, 제 24권 3호, 2004. 

  13. 윤진주,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47-66, 2007. 

  14. 이미영, 성소영,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인식," 유아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47-170, 2011. 

  15. 이일주, 장인영,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pp.301-321, 2012. 

  16. 이항명, "프뢰벨의 자연교육에 대한 기독교 생태 교육적 고찰," 한국 기독교신학논총, 제30집, pp.449-471, 2003. 

  17. 임재택, "아이들의 삶과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32. 12월 7일, 부산; 부산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2002. 

  18. 양서원, 생태유아교육개론 [제3판], 서울, 2011. 

  19. 임재택,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형성배경 및 개념 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137-158, 2003. 

  20. 임재택,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381-404, 2007. 

  21. 임재택, 김은주, 하정연, 권미량, 조채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서울: 공동체, 2006. 

  22. 장미연, 임재택, "생태유아교육 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81-108, 2010. 

  23. 장희익, "자연.인간.교육" 어린이와 자연," 어린이육영회 창립 20주년 기념 유아교육학술대회 자료집, pp.1-12, 2001. 

  24. 조용개, 생태학적위기극복을위한환경교육체계화 방안 연구, 환경윤리교육의 모형정립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25.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유아기 자연친화교육, 서울: 창지사, 2007. 

  26. 최미연, 생태학적 유아교육의 기본프레임 워크 탐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7. 최양미,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접근 방안 모색,"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103-118, 2002. 

  28. 하정연,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을 사례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29. 하정연, 이연주, 월별로 살펴보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서울: 공동체, 2009. 

  30.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2005. 

  31. 현온강, 유아환경교육 : 활동프로그램, 동문사, 2002. 

  32. 홍은주,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3. 황지애,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4. 강선우, 생태주의적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황해익, 아동연구방법 (제2판), 경기: 정민사, 2011. 

  36. L. Bower, Why teach enviro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very Child, 4, pp.16-17, 1998. 

  37. K. M. kemple and C. A. Johnson, "From the insidew out; Nurturing aesthetic response to nature in the primary grades," Childhood Education, Vol.78, No.4, 210-218, 2002. 

  38. koysasu Michico, 슈타이너 학교의 참교육이야기(임영희, 이연현 역), 서울 ; 밝은누리, 1996. 

  39. D. Tilbury, The critical learning years for enviromental education. In R. A. Wilson (Ed.), Enviromental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pp.11-13), Washington, DC; North American Associaition for Enviromental education,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