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소 회로 대사 이상은 요소 합성에 관련된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ornithine과 carbamylphosphate로부터 citrulline을 생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OTC 결핍증이 가장 흔하다. OTC 결핍증은 ammonia, glutamate, glutamine, alanine 등의 축적되면서 고암모니아 혈증 및 고글루타민 혈증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근긴장 저하, 호흡 부전, 경련, 기면, 혼수로 진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저자들은 생후 4일 경부터 구토와 함께 의식의 저하를 보인 환자에서 직열 질량 분석법을 통해 OTC 결핍증을 진단하였고, 증상 발생 31시간 만인 생후 118시간 째에 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CVVH)을 적용하여 고암모니아 혈증을 치료하였다. 또한 직접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780번과 781번 염기 사이에 CAGGCAGTGT가 삽입되는 변이(c.780_781insCAGGCAGTGT (p.Ile261Glnfs*35))를 발견하였다. 환자는 4일 간의 CVVH 이후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의식이 호전되어 생후 53일 째 퇴원하였으나, 생후 12개월 경 좌측 대퇴골의 골절과 골수염이 발생하였고, 이후 패혈증 쇼크, 고혈당,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OTC 결핍증 환자에서 CVVH 치료 및 패혈증과 당뇨를 경험하였고, 유전자 검사에서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변이를 확인하였기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urea cycle disorder is a condition caused by a defect of the enzymes in the urea cycle, and deficiency of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which converts carbamoyl phosphate and ornithine into citrulline, is the most common type of the disorder. OTC deficiency induces the accumulation of precur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는 4일 간의 CVVH 이후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의식이 호전되어 생후 53일 째 퇴원하였으나, 생후 12개월 경 좌측 대퇴골의 골절과 골수염이 발생하였고, 이후 패혈증 쇼크, 고혈당,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OTC 결핍증 환자에서 CVVH 치료 및 패혈증과 당뇨를 경험하였고, 유전자 검사에서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변이를 확인하였기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저자들은 OTC 결핍증 환자에서 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CVVH)치료 및 패혈증과 당뇨를 경험하였고, 유전자 검사에서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변이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TC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 OTC는 요소 대사 회로 중 ornithine과 carbamylphosphate로부터 citrulline을 생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결핍 시에는 혈중 citrulline이 감소하며, carbamylphosphate 및 그 전구 물질, 즉 ammonia, glutamate, glutamine, alanine 등의 축적되게 된다5,6). 이로 인하여 고암모니아 혈증(hyperammonemia) 및 고글루타민 혈증(hyperglutamainemia)을 보이게 되고, 오심, 구토, 두통, 경련, 의식 상태의 변화 및 행동 변화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3,7). OTC 결핍증은 반성 유전(X-linked) 질환으로 이형접합자(heterozygote)인 여아에서는 그 증상이 경미하게 나타나나, 반접합자(hemizygote)인 남아에서는 중한 경과를 보이며, 대부분이 신생아기 초기에 심한 구토 및 수유 곤란, 기면, 경련 등의 증세를 보이게 된다3,7,8).
요소 회로 대사 이상이란 무엇인가? 요소 회로 대사 이상(Urea cycle defect)은 요소(urea) 합성에 관련된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암모니아혈증을 유발하여 중추신경계의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1,2).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결핍증은 요소 회로 대사 질환 중 61% 차지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유병률은 신생아 14,000명당 1명의 빈도로 알려져 있으나, 증상이 경하여 진단이 쉽게 되지 않는 지발형까지 고려하면 실제 유병율은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3,4).
OTC 결핍증은 여아와 남아에게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이로 인하여 고암모니아 혈증(hyperammonemia) 및 고글루타민 혈증(hyperglutamainemia)을 보이게 되고, 오심, 구토, 두통, 경련, 의식 상태의 변화 및 행동 변화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3,7). OTC 결핍증은 반성 유전(X-linked) 질환으로 이형접합자(heterozygote)인 여아에서는 그 증상이 경미하게 나타나나, 반접합자(hemizygote)인 남아에서는 중한 경과를 보이며, 대부분이 신생아기 초기에 심한 구토 및 수유 곤란, 기면, 경련 등의 증세를 보이게 된다3,7,8). 또한 돌연변이의 종류에 따라 효소활성도에 대한 영향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임상 증상 및 경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ordon N.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 urea cycle defect. Eur J Paediatr Neurol 2003;7:115-21. 

  2. Enns GM, Berry SA, Berry GT, Rhead WJ, Brusilow SW, Hamosh A. Survival after treatment with phenylacetate and benzoate for urea-cycle disorders. N Engl J Med 2007;356:2282-92. 

  3. Brusilow SW, Horwich AL. Urea cycle enzymes. In: Scriver CR, Beaudet AL, Sly WS, Valle D, editors. The metabolic and molecular bases of inherited disease. 8th ed. New York: McGraw-Hill, 2001:1909-63. 

  4. Brusilow SW, Maestri NE. Urea cycle disorders: diagnosis, pathophysiology, and therapy. Adv Pediatr 1996;43:127-70. 

  5. Maestri NE, Clissold D, Brusilow SW. Neonatal 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 retrospective analysis. J Pediatr 1999;134:268-72. 

  6. Kim JA, Kim JS, Huh R, Cho SY, Jin DK. A Case of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in 11-monthold Female who Presented Periodic Vomiting and Intermittent Consciousness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15;15:165-70. 

  7. McCullough BA, Yudkoff M, Batshaw ML, Wilson JM, Raper SE, Tuchman M. Genotype spectrum of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phenotype. Am J Med Genet 2000;93:313-9. 

  8. Schultz RE, Salo MK. Under recognition of late 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rch Dis Child 2000;82:390-1. 

  9. Kim G-H, Yoo H-W. Molecular Characteriz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Inborn Error of Urea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05;5:88-93. 

  10. Choi JH, Lee BH, Kim JH, Kim GH, Kim YM, Cho J, et al. Clinical outcomes and the mutation spectrum of the OTC gene in patients with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J Hum Genet 2015;60:501-7. 

  11. Auron A, Brophy PD. Hyperammonemia in review: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Pediatr Nephrol 2012;27:207-22. 

  12. Cagnon L, Braissant O. Hyperammonemia-induced toxicity for the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Brain Res Rev 2007;56:183-97. 

  13. Filippi L, Gozzini E, Cavicchi C, Morrone A, Fiorini P, Donzelli G, et al. Insulin-resistant hyperglycaemia complicating neonatal onset of methylmalonic and propionic acidaemias. J Inherit Metab Dis 2009;32 Suppl 1:S179-86. 

  14. Dweikat IM, Naser EN, Abu Libdeh AI, Naser OJ, Abu Gharbieh NN, Maraqa NF, et al. Propionic acidemia mimicking diabetic ketoacidosis. Brain Dev 2011;33:428-31. 

  15. Matsuda I, Nagata N, Matsuura T, Oyanagi K, Tada K, Narisawa K, et al. Retrospective survey of urea cycle disorders: Part 1. Clinical and laboratory observations of thirty-two Japanese male patients with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m J Med Genet 1991;38:85-9. 

  16. Myers JH, Shook JE. Vomiting, ataxia, and altered mental status in an adolescent: late-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m J Emerg Med 1996;14:553-7. 

  17. Tuchman M, Holzknecht RA. Heterogeneity of patients with late 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Clin Invest Med 1991;14:320-4. 

  18. Legras A, Labarthe F, Maillot F, Garrigue MA, Kouatchet A, Ogier de Baulny H. Late diagnosis of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ect in three related female patients: polymorphic presentations. Crit Care Med 2002;30:241-4. 

  19. Msall M, Batshaw ML, Suss R, Brusilow SW, Mellits ED. Neurologic outcome in children with inborn errors of urea synthesis. Outcome of urea-cycle enzymopathies. N Engl J Med 1984;310:1500-5. 

  20. Caldovic L, Abdikarim I, Narain S, Tuchman M, Morizono H.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 Mutation Update. J Genet Genomics 2015;42:181-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