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MCP 처리 및 에틸렌 흡착제가 '백가하' 매실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and ethylene-absorbent treatments on quality changes of Prunus mume fruit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4, 2016년, pp.479 - 487  

김대현 (한국식품연구원) ,  배정미 (한국식품연구원) ,  박진주 (한국식품연구원) ,  최정희 (한국식품연구원) ,  구경형 (한국식품연구원) ,  임정호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숙과 '백가하' 매실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1-MCP에틸렌 흡착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매실을 선별 후 Plastic-box(Cont), LDPE 필름포장(Cont-P) 및 에틸렌 흡착제(Cont-PE)를 첨가 후 포장하였으며, 1-MCP 처리구는 1.0 ppm 농도를 24시간 처리 후 동일한 방법(MCP-P, MCP-PE)으로 포장하여 $1^{\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며 2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중량감소율의 경우 포장처리구는 저장 중 중량감소율이 1% 이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가 후 감소하였으나, 총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부패율은 저장 4주차에 80%를 나타내었으나, 포장구들은 6주차까지 10%이하를 나타내었다. 저장 8주차 MCP-P구는 5%를 나타낸 반면, 이외 처리구들은 46%이상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으며, 과피 및 과육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호흡률은 저장 중 증가하였으나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에틸렌 발생량은 1-MCP처리 직후 $0.02{\mu}L/kg/h$을 나타내어 대조구 $0.05{\mu}L/kg/h$h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 4주차까지 1-MCP처리구의 에틸렌 발생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의 경우 저장 중 oxalic acid 및 malic acid는 감소하는 반면 citr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 sucrose는 저장 중 증가 후 8주차에 감소하는 반면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미숙과 '백가하' 매실을 1-MCP 처리 후 밀봉하여 $1^{\circ}C$에서 저장 할 경우 8주 동안 선도유지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and ethylene-absorbent on the qualities of Prunus mume fruit. Prunus mume fruits were stored without film packaging (Cont), packed in LDPE film (Cont-P), and packed with ethylene-absorbent (Cont-PE). Fruits were tr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후숙의 진행속도가 빠르며 수확시기별 선도유지기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매실에 1-MCP 처리 및 에틸렌 흡착제를 첨가하여 매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선도유지기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숙과 '백가하' 매실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1-MCP 및 에틸렌 흡착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a-e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A-E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 생과 유통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이는 매실 장아찌 및 절임 등을 직접 만들어 섭취하는 소비자가늘어나면서 가공품 소비보다 생과용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어 있다(10). 매실은 사과, 바나나, 복숭아 등과 같이 성숙기에 도달하면 호흡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climacteric형 과실로 후숙이 빠르게 진행되고 호흡열이 높아 상온에서 3~4일 내에 황변하고 조직이 급격히 연화되는 선도유지가 어려워 생과 유통의 어려움이 있다(4,11). 매실의 선도유지를 위한 선행연구로는 저온저장, CA저장 및 포장필름에 따른 연구(12-14)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기간이 한 달 이내로 짧게 이루어졌다.
매실 생산량 대비 가공 비율이 높게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매실의 생산량 대비 가공 비율은 1990년대 후반40%였으나, 최근 10%안팎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매실 장아찌 및 절임 등을 직접 만들어 섭취하는 소비자가늘어나면서 가공품 소비보다 생과용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어 있다(10). 매실은 사과, 바나나, 복숭아 등과 같이 성숙기에 도달하면 호흡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climacteric형 과실로 후숙이 빠르게 진행되고 호흡열이 높아 상온에서 3~4일 내에 황변하고 조직이 급격히 연화되는 선도유지가 어려워 생과 유통의 어려움이 있다(4,11).
어떤 기작을 통해 1-MCP은 저장성을 증진시키는가? Climacteric형 과실의 선도유지 연장을 위하여 1-methyl-cyclopropene(1-MCP) 및 에틸렌 흡착제는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수확시기, 처리농도, 처리시간 및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1-MCP는 과실에 침투하여 에틸렌 수용체와 수용체단백질과 결합하여 호흡률 및 에틸렌 발생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16,17) 에틸렌 흡착제는 MA포장과 함께 첨가 할 경우 포장 내 에틸렌을 제거하여 후숙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 HS, Pack YK, Park JS, Park MW, Jo JS (1999)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 (Prunus mume seib. et Zucc) fruit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8-494 

  2. Kang MY, Jeong YH, Eun J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ei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3. Park LY, Chae MH, Lee SH (2007)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Prunus mume and Prunus mume liqueur byproduct. J Fd Hyg Saf 22, 77-81 

  4.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8, 101-108 

  5. Kameoka H, Kitagawa C (1976) The constituents of the fruits of Prunus mume Sieb. et Zucc. Nippon Nog Kag Kaish, 50, 389-393 

  6. Sheo HJ, Lee MY, Chung DL (1990)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and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9, 21-26 

  7. Bae JH, Kim KJ (1999)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containing beverages on the proliferation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Soc Diet Life, 9, 214-222 

  8. Han JT, Lee SY, Kim KN, Baek NI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9. Dogasaki C, Murakami H, Nisjima M, Yamamoto K, Miyazaki T (1992)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exane extracts of the fruit extract and the kernels of Prunus mume Sieb. et Zucc. Yakugaku Zasshi, 112, 577-584 

  10. Lee YS, Park MS, Shim MH, Park HW, Park JW (2015) Economic trend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1, p92 

  11.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Jo JS Lee GP, Kim JK (2006)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12. Choi SY, Cho MA, Hong YP, Hwang IK, Chung DS, Yun SK (2011) Suppression of chilling injury and maintenance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Prunus mume fruits stored under controlled atmosphere. Korean J Food Preserv, 18, 143-148 

  13. Cha HS, Chung MS (2002)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a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packaging film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21-628 

  14. Cha HS, Hong SI, Chung MS (2002) Effect of gas absorbents on quality attributes and 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Korea J Food Sci Technol, 34, 1036-1042 

  15. Blankenship SM, Dole JM (2003) 1-Methylclopropene: a review. Postharvest Biol Technol, 28, 1-25 

  16. Choi SJ (2005) Comparison of the change in quality and ethylene production between apple and peach fruits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Korean J Food Preserv, 12, 511-515 

  17. Sisler EC, Serek M (1997) Inhibitors of ethylene responses in plants at the receptor level: Recent developments. Physiol Plant, 100, 577-582 

  18. Cha JH, Lee GP, Hwang BH, Kim JK, Lee EJ (2006)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on quality and ethylene production of muskmelon (Cucumins melo L cv Reticulatus) fruit. Kor J Hor Sci Technol, 24, 452-458 

  19. Cho MA (2014) Set up of cold-chain and quality control system after harvest on horticultural crop in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center. Final Report of NIHHS, NIHHS PJ006477 

  20. Golding JB, Shearer D, Wyllie SG, Mcglasson WB (1998) Application of 1-MCP and propylene to identify ethylene-dependent ripening processes in mature banana fruit. Postharvest Biol Tech, 14, 87-98 

  21. Iwata T, Kinoshita M (1978) Studies on storage and chilling injury of japanese apricot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II Chilling injury in relation to storage temperature, cultivar, maturity, and polyethylene packaging. J Japan Soc Hort Sci, 47, 97-104 

  22. Zhang S, Chachin K, Iwata T (1991) Effects of polyethylene packaging and ethylene absorbent on storage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eib. et Zucc.) fruits at ambient temperature. J Jpn Soc Hortic Sci, 60, 183-190 

  23. Zhang S, Chachin K, Ueda Y, Iwata T (1993) Firmness and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fruits packaged with polyethylene bags and ethylene absorbent.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0, 163-169 

  24. Watkins CB (2006) The use of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ruits and vegetables. Biotech Adv, 24, 389-409 

  25. Soury M, Breuils L, Reich M, Roggi A (1976) The acidity of apricots. Fruit, 31, 755 

  26. Fujita K, Hasegawa M, Fujita M, Kobayashi I, Ozasa K, Watanabe Y (2002) Anti-Helicobacter pylori effects of Bainiku-ekisu (concentrate of Japanese apricot juice). Jpn J Gastroenterol, 99, 379-385 

  27. Kubo M, Yamazaki M, Matsuda H, Gato N, Kotani T (2005) Effect of fruit-juice concentrate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eib. et Zucc.) on improving blood fluidity. Nat Med, 59, 22-27 

  28. Shin SC (1995) Changes in components of mume fruit during development and maturation. J Oriental Bot Res, 8, 259-264 

  29. Son YA, Shin SR, Kim KS (2002) Change of flavor components and organic acids during maturation of Korean apricot.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 40-44 

  30. Kim HR, Kim ID, Dhungana SK, Kim MO, Shin DH (2014) Comparative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ripe peach (Prunus persica) and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Asian Pac J Trop Biomed, 4, 97-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