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가공 해조류와 미가공 김의 중금속 함량 및 식품 안전성평가
Heavy Metal Contents and Food Safety Assessment of Processed Seaweeds and Cultured Laver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9 no.3, 2016년, pp.203 - 210  

양원호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이효진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이상용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 ,  김성길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수질팀) ,  김기범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와 양식장에서 채취한 미가공 김에서 9종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식품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가공된 해조류에서의 중금속 함량은 Fe>As>Zn>Cu>Cd>Pb>Cr>Ni>H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가공 김과 가공 김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가공 김이 가공된 김보다 Cd과 Zn을 제외한 7종의 중금속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해조류에서 검출된 중금속 성분간 상관관계는 미가공 김에서 Cr-Fe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가공된 김에서 Cu-Cd, Cu-Zn, Cd-Zn, Pb-Ni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다시마에서 Cu-Cr, Cu-Zn, Cd-Cr, Ni-F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미역에서는 Cu-Cd, Cu-Pb, Cd-Ni, Cr-Zn, Cr-Fe, Zn-F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미가공 김과 가공 김에서 중금속의 농도차이나 중금속간에 상관관계의 양상이 다른 것을 고려하면 가공과정 중에 중금속에 따라 제거효율이 다른 것으로 예상되어졌다. 해조류를 통한 Cu, Cd, Zn, Fe, Hg의 주간섭취량은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의 0.1~7.6%에 해당되므로 해조류 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농도수준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ine heavy metals were analyzed in seaweeds collected from market and laver culture farm of Korea and a food safety assessment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se heavy metals. The level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aweeds was in the following order: Fe>As>Zn>Cu>Cd>Pb>Cr>Ni>Hg. Ex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 가장 높은 식품 공급량을 차지하는 김(Porphyra sp.), 다시마(Laminaria sp.), 미역(Undaria sp.)을 대상으로 9종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해조류의 가공과정 중 오염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김의 경우 가공된 제품과 양식장에서 채취한 미가공 김에 대하여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해조류의 안정성 기준 및 섭취 허용량을 이용해 해조류 섭취에 따른 인체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가공된 해조류의 경우 2014년 8월 해조류 주요 생산지인 태안, 서천, 대천, 부안, 신안, 고흥, 장흥, 완도, 해남, 진도, 통영지역에서 생산 및 유통되는 건조 김(Laver, Porphyra sp.), 다시마(Sea tangle, Laminaria sp.), 미역(Sea mustard, Undaria sp.)을 각 지역의 전통시장에서 직접 구매하였다. 미가공 김의 경우 2014년 4월 군산, 무안, 부안, 신안, 해남에 위치한 양식장에서 채집한 김을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로부터 제공받았다.
  • 분해용 시약으로는 질산(Supra-pure grade, Merck, Germany) 및 과염소산(Supra-pure grade, Merck, Germany)을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되는 이온교환수는 초순수 여과장치(Direct-Q 3, Millipore, France)를 이용하여 18.2 MΩ 이상 수준으로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희석용 시약으로는 질산(Ultra-pure grade, Merck, Germany)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중금속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StatisticalPackage For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중금속함량 간의 유의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Kolmogorov-Smirnova검정 및 Shapiro-Wilk 검정을 실시하여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비모수검정 중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된 해조류에서의 중금속 함량은 어떤 순서로 높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와 양식장에서 채취한 미가공 김에서 9종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식품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가공된 해조류에서의 중금속 함량은 Fe>As>Zn>Cu>Cd>Pb>Cr>Ni>H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가공 김과 가공 김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가공 김이 가공된 김보다 Cd과 Zn을 제외한 7종의 중금속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태계에 중대한 위험요소인 이유는? 중금속은 지각운동, 지반의 침식작용, 화산활동 등에 의해 공기, 물, 토양 및 식품 등에 포함되어 자연환경 중에 일정 농도로 존재하여, 인간에게 쉽게 노출되고 있다(Khlifi and Hamza-Chaffai[2010]).현대 사회의 활발한 산업활동으로 인해 중금속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및 육상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으로 중금속이 유입되고 있으며, 해양으로 유입된 중금속은 생지화학적 과정을 거쳐 퇴적물에 축적되거나 수중으로 재용해되어 해양 생물에 축적된다. 또한 해양생물에서의 먹이연쇄와 생물농축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먹이 사슬의 최상위단계인 인간에 농축되어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Förstnerand Wittmann[1981]; Kim et al.[2015]).
미가공 김과 가공 김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하면 결과는 어떻게 나오는가? 가공된 해조류에서의 중금속 함량은 Fe>As>Zn>Cu>Cd>Pb>Cr>Ni>H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가공 김과 가공 김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가공 김이 가공된 김보다 Cd과 Zn을 제외한 7종의 중금속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해조류에서 검출된 중금속 성분간 상관관계는 미가공 김에서 Cr-Fe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가공된 김에서 Cu-Cd, Cu-Zn, Cd-Zn, Pb-Ni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다시마에서 Cu-Cr, Cu-Zn, Cd-Cr, Ni-F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미역에서는 Cu-Cd, Cu-Pb, Cd-Ni, Cr-Zn, Cr-Fe, Zn-F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lmela, C., Clemente, M.J., Velez, D. and Montoro, R., 2006, "Total arsenic, inorganic arsenic, lead and cadmium contents in edible seaweed sold in Spain", Food Chem. Toxicol., Vol. 44, 1901-1908. 

  2. Besada, V., Andrade, J.M., Schultze, F. and Gonzalez, J.J., 2009, "Heavy metals in edible seaweeds commercialised for human consumption", J. of Marine Syst., Vol. 75, 305-313. 

  3. Bocanegra, A., Bastida, S., Benedi, J., Rodenas, S. and Sanchez-Muniz, F.J., 2009,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and cardiovascular-health properties of seaweeds", J. of Medicinal Food, Vol. 12, No. 2, 236-258. 

  4. Burtin, P., 2003, "Nutritional value of seaweeds", Electron. J. Environ., Agric. Food Chem., Vol. 2, No. 4, 498-503. 

  5. Caliceti, M., Argese, E., Sfriso, A. and Pavoni, B., 2002,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seaweeds of the Venice lagoon", Chemosphere, Vol. 47, No. 4, 443-454. 

  6. Chen, L., Lin, L., Yu, Q., Yan, X., Hang, W., He, J. and Huang, B., 2009, "Semiquantitative multielemental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by a laser ionization orthogonal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J. Am. Soc. Mass Spectrom., Vol. 20, No. 7, 1355-1358. 

  7. Choi, S.N., Lee, S.U., Chung, K.H. and Ko, W.B., 1998, "A Study of Heavy Metals Contents of the Seaweeds at Various Area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 14, No. 1, 58-32. 

  8. Davis, T.A., Volesky, B. and Mucci, A., 2003, "A review of the biochemistry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brown algae", Water Res., Vol. 37, No. 18, 4311-4330. 

  9. FAO, Food and Agriculture Orhanization, 2013,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10. Forstner, U. and Wittmann, G.T.W., 1981,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Springer-Verlag, New York, 486. 

  11. Fuge, R. and James, K.H., 1973,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brown seaweeds, Cardigan Bay, Wales", Mar. Chem., Vol. 1 No. 4, 281-293. 

  12. Garcia-Sartal, C., del Carmen Barciela-Alonso, M., Moreda-Pineiro, A. and Bermejo-Barrera, P., 2013, "Study of cooking on the bioavailability of As, Co, Cr, Cu, Fe, Ni, Se and Zn from edible seaweed", Microchem. J., Vol. 108, 92-99. 

  13. Ho, Y.B., 1987, "Metals in 19 intertidal macroalgae in Hong Kong waters", Mar. Pollut. Bull., Vol. 18, No. 10, 564-566. 

  14. Hsieh, Y.J. and Jiang, S.J., 2012, "Application of HPLC-ICP-MS and HPLC-ESI-MS procedures for arsenic speciation in seaweeds", J. Agric. Food Chem., Vol. 60, No. 9, 2083-2089. 

  15. Hwang, E.S., 2013, "Composition of Amino Acids, Minerals, and Heavy Metals in Differently Cooked Laver (Porphyra tenera)", Prev. Nutr. Food Sci., Vol. 42, No. 8, 1270-1276. 

  16. Hwang, Y.O., Kim, M.S., Park, S.G. and Kim, S.J., 2007, "Content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in seaweeds collected in coastal area of Korea", Anal. Sci. Technol., Vol. 20, No. 3, 227-236. 

  17.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014, http://apps.who.int/food-additives-contaminants-jecfa-database/search.aspx. 

  18. Jeong, W.G., Cho, S.M. and Lee, S.J., 2014,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rine Shellfish Farming Waters in Anjung Bay, Korea", Korean J. Malacol., Vol. 30, No. 4, 421-428. 

  19. Jimenez-Escrig, A. and Sanchez-Muniz, F.J., 2000, "Dietary fibre from edible seaweeds: Chemical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s on cholesterol metabolism", Nutrition Research, Vol. 20, No. 4, 585-598. 

  20. Kang, J.H., Lee, S.J., Jeong, W.G. and Cho, S.M., 2012,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Oyster Farms in Goseong Bay, Korea", Korean J. Malacol., Vol. 28, No. 3, 233-244. 

  21. Khan, N., Ryu, K.Y., Choi, J.Y., Nho, E.Y., Habte, G., Choi, H. and Kim, K.S., 2015, "Determination of toxic heavy metals and speciation of arsenic in seaweeds from South Korea", Food Chem., Vol. 169, 464-470. 

  22. Khlifi, R. and Hamza-Chaffai, A., 2010, "Head and neck cancer due to heavy metal exposure via tobacco smoking and professional exposure: a review", Toxicol. Appl. Pharmacol., Vol. 248, No. 2, 71-88. 

  23. Kim, D.G., Park, J.B. and Lee, T.K., 2013, "Analysis of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3, No. 8, 1004-1009. 

  24. Kim, J.H., Mok, J.S. and Park, H.Y., 2005, "Trace Metal Contents in Sea weeds from Korean Coastal Area", Prev. Nutr. Food Sci., Vol. 34, No. 7, 1041-1051. 

  25. Kim, K.T., Ra, K.T., Kim, J.K., Kim, E.S., Kim, C.K. and Shim, W.J., 2015, "Distribution of Dissolved Heavy Metals in Surface Seawaters Around a Shipyard in Gohyun Bay,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Vol. 18, No. 1, 36-44. 

  26. Kim, S.Y., Sidharthan, M., Yoo, Y.H., Lim, C.Y., Joo, J.H., Yoo, J.S. and Shin, H.W., 2003,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Korean Marine Seaweeds", Algae, Vol. 18, No. 4, 349-354. 

  27.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6. 

  28.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3, Food Balance Sheet, pp. 12. 

  29. Kuyucak, N. and Volesky, B., 1989, "Accumulation of cobalt by marine alga", Biotechnol. Bioeng., Vol. 33 No. 7, 809-814. 

  30. Larrea-Marin, M.T., Pomares-Alfonso, M.S., Gomez-Juaristi, M., Sanchez-Muniz, F.J., and De La Rocha, S.R., 2010, "Validation of an ICP-OES method for macro and trace element determination in Laminaria and Porphyra seaweeds from four different countries", J. Food Compos. Anal., Vol. 23, No. 8, 814-820. 

  31. Lee, H.J. and Kim, G.B., 2010,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Octopus minor in Seosan, Chungnam and Food Safety Assessment", Fish Aquatic Sci., Vol. 43, No. 3, 270-276. 

  32. Lee, J.H. and Sung, N.J.,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Prev. Nutr. Food Sci., Vol. 9, No. 1, 51-58. 

  33. Lobban, C.S. and Harrison, P.J.,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6. 

  34. Maehre, H.K., Malde, M.K., Eilertsen, K.E. and Elvevoll, E.O., 2014, "Characterization of protein, lipid and mineral contents in common Norwegian seaweeds and evaluation of their potential as food and feed", J. Sci. Food Agric., Vol. 94, No. 15, 3281-3290. 

  35. Marzocchi, M., Badocco, D., Piovan, A., Pastore, P., Marco, V.D., Filippini, R. and Caniato, R., 2016, "Metals in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and Sargassum muticum (Yendo) Fensholt edible seaweeds growing around Venice(Italy)", J. Appl. Phycol., (In press). 

  36. MOHW,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5, Korea Health Statistics (II) 2014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Korea, 105 pp. 

  37. Mok, J.S., Park, G.Y. and Kim, J.H., 2005, "Trace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Major Edible Seaweeds from Korean Coast", Prev. Nutr. Food Sci., Vol. 34, No. 9, 1464-1470. 

  38. Mok, J.S., Shim, K.B., Lee, T.S., Song, K.C., Lee, K.J., Kim, S.G. and Kim, J.H., 2009, "Heavy Metal Contents in Wild and Cultured Fishes from the Korean Coasts", Fish Aquatic Sci., Vol. 42, No. 6, 561-568. 

  39. Otte, M.L., 2006, "Environmental Toxicology-Biological and Health Effects of Pollutants by Ming-Ho Yu", Geogr J., Vol. 172, No. 2, 180-180. 

  40. Park, C.S., Wi, M.Y. and Hwang, E.K., 2008,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awater, sediment and Seaweed in Mokpo Coastal Regi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Ecol. Environ., Vol. 26, No. 4, 303-310. 

  41. Perez, A.A., Farias, S.S., Strobl, A.M., Perez, L.B., Lopez, C.M., Pineiro, A., Roses, O. and Fajardo, M.A., 2007, "Levels of essential and toxic elements in Porphyra columbina and Ulva sp. from San Jorge Gulf, Patagonia Argentina", Sci. Total Environ., Vol. 376, No. 1, 51-59. 

  42. Ratcliff, J.J., Wan, A.H. L., Edwards, M.D., Soler-Vila, A., Johnson, M.P., Abreu, M.H., and Morrison, L., 2016, "Metal content of kelp (Laminaria digitata) co-cultivated with Atlantic salmon in an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 Aquaculture, Vol. 450, 234-243. 

  43. Ryu, K.Y., 2014, "Application of HPLC-ICP-MS for Arsenic Speciation in Seaweeds from South Korea", Ph.D. Thesis, chosun university, Korea. 

  44. Ryu, K.Y., Shim, S.L., Hwang, I.M., Jung, M.S., Jun, S.N., Seo, H.Y., Park, J.S., Kim, H.Y., Om, A.S., Park, K.S. and Kim, K.S., 2009, "Arsenic Speciation and Risk Assesment of Hijiki (Hizikia fusiforme) by HPLC-ICP-M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1, No. 1, 1-6. 

  45. Sharp, G.J., Samant, H.S. and Vaidya, O.C., 1988, "Selected metal levels of commercially valuable seaweeds adjacent to and distant from point sources of contamination in Nova Scotia and New Brunswick", Bull. Environ. Contam. Toxicol., Vol. 40, No. 5, 724-730. 

  46. Size Korea, 2010, http://sizekorea.kats.go.kr. 

  47. Smith, J.L., Summers, G., and Wong, R., 2010, "Nutrient and heavy metal content of edible seaweeds in New Zealand", N. Z. J. Crop Hortic. Sci., Vol. 38, No. 1, 19-28. 

  48. Sun, C.I., Lee, Y.J., An, J.H. and Lee, Y.W., 2014,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J. Oceanol. Soc. Korea, Vol. 19, No. 2, 155-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