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Inventory of Students Satisfaction in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8, 2016년, pp.556 - 567  

송홍준 (건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의 교육서비스 개선을 위한 학생대상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연구원모임을 진행하고,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안면 타당도 검증을 마친 후 설문문항을 완성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충청남도소재 K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고, 결과를 활용 하였다. 요인분석결과를 통해 4개의 측정요인과 12개의 하위영역을 구성하였다. 측정요인은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성과이이다. 교육방법은 수업활동의 적절성 및 공정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수의 열정으로 구성했고 교육내용은 교육내용의 체계성,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질, 교육내용의 효과성으로 구성했다. 교육환경은 교육시설 및 환경, 교육지원 서비스, 행정서비스로 구성했고, 교육성과는 학교를 통한 다양한 자기개발, 교육적 자아성취감. 학교에 대한 자긍심으로 구성했다. 척도 수준 내용타당도의 평균값(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averaging, [S-CVI/Ave])이 문제가 없는 기준인 .90 이상으로 채택하였다.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48개문항을 대상으로 적합도 검증을 실시했다. 검사결과 신뢰도 Crombach'${\alpha}$는 .984으로 높게 나왔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GFI, CFL, TLI, RMSEA, NFI값의 지수가 모두 양호하여, 본 대학교육만족도 평가도구는 측정도구로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n education satisfaction assessment tool in university. For this, the related study, researchers meeting were conducted and 20 university students were involved in checking items, and then inventory items were completed.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at universit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교육 만족도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기 위해 우선 포괄적인 접근에서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33]은 교육의 질, 교수와의 관계, 학우관계, 교육과정, 행정, 시설 등의 지각을 통한 만족도와 학생에 대한 교수들의 관심정도, 행정직원과의 관계, 학생 지원 서비스의 우선순위 등 교육훈련 주변 요인의 내용을 교육 만족도의 조사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관련 문헌연구, 연구원모임, 전문가 자문을 거처 합당한 타당도, 신뢰도 및 적합도를 갖춘 대학교육 만족도 도구개발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교육 만족도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고 신입생을 위한 차별화된 결과를 얻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고 전문가 자문을 실시했다.
  • 본 연구는 타당도 신뢰도 및 적합도를 갖춘 신입생 대상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고등교육으로서 대학교육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연구는 많이 있지만 대학생들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심도 있게 접근한 사례는 한정되어 있고, 심지어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결여되어 있어, 이를 고려한 대학교육 만족도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8]는 지적에 근거한 것이다.
  • 고등교육으로서 대학교육의 타당성을 외치는 연구는 많이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생들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심도 깊게 접근한 연구는 한정되어 있고, 심지어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결여되어 있어, 이를 고려한 대학교육 만족도 도구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1][41]. 본 연구는 타당도, 신뢰도 및 적합도를 갖추고 신입생만을 대상으로 대학교육 만족도를 측정하기위한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위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의 공급자인 대학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고 경쟁체제에서 생존하기 위해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고 본 이유는? 이때 대학이 제공하는 유·무형의 서비스와 물질적·정신적 지원은 교육의 목적 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면 대학의 교육적 성과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즉, 대학이 대학교육의 전반적 만족도를 향상시키면 학생들의 높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취업률을 이끌어낼 수 있고, 높은 취업률은 대학의 경쟁력과 이미지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곧 우수한 재원을 신입생으로 모집하여 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게 하여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함께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의 공급자인 대학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고 경쟁체제에서 생존하기 위해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대학교육 만족도는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가? 대학교육 만족도는 학생이 받은 교육서비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28]는 대학교육 만족도란 대학교육과 관련된 학생의 모든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교육의 공급자인 대학이 제공한 유·무형의 서비스와 물질적·정신적 지원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를 뜻한다라고 했다.
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면 대학의 교육적 성과도 높아진다고 본 이유는? 그들의 주장은 대학 당국은 학생의 만족도 정도에 따라 다양한 교육적, 환경적 지원을 계획하고 실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대학이 제공하는 유·무형의 서비스와 물질적·정신적 지원은 교육의 목적 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면 대학의 교육적 성과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즉, 대학이 대학교육의 전반적 만족도를 향상시키면 학생들의 높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취업률을 이끌어낼 수 있고, 높은 취업률은 대학의 경쟁력과 이미지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권대봉, 오영재, 박행모, 손준종, 송선희,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농의," 교육학연구, 제40권, 제3호, pp.181-202, 2002. 

  2.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 한나라출판사, 2013. 

  3. 김경희,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621-630, 2015. 

  4. 김의근, "한.중 관광전공 학생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태 관광연구, 제7권, pp.95-108, 2001. 

  5. 신소영,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pp.107-132, 2013. 

  6. 신효정, 민혜리,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교육학연구, 제47권, 제3호, pp.49-72, 2009. 

  7. 이기환, "한.일 관광전공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태관광연구, 제7권, pp.109-124, 2001. 

  8. 이상준, 윤관호, 김성윤,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 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11호, pp.511-521, 2013. 

  9. 정은이,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식,"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3호, pp.25-44, 2010. 

  10. 최영준,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6권, 제93호, pp.61-83, 2013. 

  11. 한은숙, 김종두, "사범대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Vol.20, No.3, pp.313-335, 2003. 

  12. 함영림, 오두남, 박미경,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 만족도 정도 및 상관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27-337, 2012. 

  13. A. Gaskell, "Student satisfaction and retention: are they connected?," Open Learning, Vol.24, pp.193-196, 2009. 

  14. C. Aldemir,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Management & Policy, Vol.16, pp.109-122, 2004. 

  15. D. D. Gremler and M. A. McCollough, "Student satisfaction guarante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ttitud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Vol.24, pp.150-160, 2010. 

  16. D. F. Beck and S. V. Owen,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30, pp.459-467, 2007. 

  17. D. F. Polit and C. T. Beck,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9, pp.489-497, 2006. 

  18. E. C. Chumney and K. R. Ragucci,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Dual Pharm D/MBA Degree Program,"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70, pp.1-4, 2006. 

  19. F. Abdullah, "The development of HEDPERF: A New Measuring Instru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0, No.6, pp.463-484, 2006. 

  20. F.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 :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F: Jossey-Bass Publishers, 1993. 

  21. H. Kanno and G. F. Koeske, "MSW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ield Placements; The Role of Preparedness and Supervision Quality," Journey of Society Work Education, Vol.46, pp.23-38, 2010. 

  22. J. A. Marin-Garcia, "Martinez-Gomez, M.. Enhanc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in Three Subjects of Industrial Engineering," WSEAS Transaction on Advances in Engineering Education, Vol.6, pp.11-21, 2009. 

  23. J. Douglas, A. Douglas and B. Barnes," Measuring Student Satisfaction at a UK University," Quality Assurance in Dducaton, Vol.14, pp.251-267, 2006. 

  24. J. E. Havranek and M. G. Brodwin, "Restructuring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student-focused paradigm. Education, Vol.111, No.1, pp.115-119, 2000. 

  25. J. H. Willson, "Instructor Attitudes Toward Students: Job Satisfaction and Student Outcomes," College Teaching, Vol.56, No.4, pp.225-229, 2008. 

  26. J. J. Lawrence and M. A. McCollough, "Implementing Total Quality Management in the Classroom by Means of Student Satisfaction Quarantees," Total Quality Management, Vol.15, pp.235-254, 2003. 

  27. J. T. Richardson, "Instruments for Obtaining Student Feedback: A Review of the Literature,"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Vol.30, No.4, pp.387-415, 2005. 

  28. K. M. Elliott and D. Shin, "Student Satisfaction: A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this important concept,"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Vol.24, No.2, 197-2-9, 2002. 

  29. L. C. Duque and J. R. Weeks, "Towards a Model and Methodology for Assess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18, pp.84-105, 2010. 

  30. L. Harvey, L, Plimmer, S. Moon, and V. Geall, "Student satisfaction manual,"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Management, Vol.21. No.2, pp.126-143, 2007. 

  31. L. Harvey, UCE Student Satisfaction 2000, University of Central Birmingham, 2000. 

  32. M. C. Hill and K. K. Epps, "The Impact of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on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Academy of Educational Leadership Journal, Vol.14, pp.65-79, 2010. 

  33. M. Marozzi, "A Composite Indicator Dimension Reduction Procedure with Application to University Student Satisfaction," Statistical Neerlandica, Vol.63, pp.258-268, 2009. 

  34. M. L. Endres and S. Chowdhury, "The multifaceted nature of online MBA student satisfaction and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Vol.84, pp.304-312, 2009. 

  35.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Beverly Hills, CA:Sage, 1993. 

  36. N. K. French and R. V. Chopra, "Teachers as executives," Theory into practice, Vol.45, pp.230-238, 2006. 

  37. O. W. DeShields, A. Kara, and E. Kaynak, "Determinants of Business Student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 Higher Education," Applying Herzberg's Two-factor Theory, International, Vol.19, pp.128-139, 2005. 

  38. P. Cooper, "Knowing Your Lemons' : Quality Uncertainty in UK Higher Educati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3, No1. pp.19-29, 2007. 

  39. P. Kotler and F. A. Fox, Strategic Marketing for Educational Institution 2nd Ed, NJ : Prentice Hall, Inc, 1995. 

  40. R. Beecham, "Teaching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Nexus or Simulacrum?," London Review of Education, Vol.7, pp.135-146, 2009. 

  41. R. L. Oliver,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Y: McGraw-Hill, 1997. 

  42. R. L. Oliver and W. S. DeSarbo, "Processing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in Consumption: a Suggested Framework and Research Proposition,"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Vol.2, pp.1-16, 2008. 

  43. R. W. Adler and R. Stablein, "Situation Motivation: An Empirical test in an Accounting course,"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 Vol.18, pp.101-115, 2001. 

  44. S. Babbar, "Applying Total Quality Management to Educational Instruction-A Case Study from a US Public University," Quality Press, Vol.29, No.1, pp.87-91, 1995. 

  45. S. F. Tang and H. Sufea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 Variety of Stakeholder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Vol.1, No.2, July, 2011. 

  46. T. Gruber, E. Fuss, and R. Foss,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higher education service," Using a new measurement tool,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Vol.23, pp.105-123, 2010. 

  47. U. Ahgren-Lang and M. Kogan, "Strategies for University Planning: Meeting the Needs of New Clientele," Higher Education Management, Vol.4, No.1, pp.7-27, 1992. 

  48. V. A. Zeithml, "Service Quality, Profitability, and the Economic Worth of Customers: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Lear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1, pp.67-85,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