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4, 2016년, pp.131 - 149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potentially relevant to the teaching practice in his/her classroom. The research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urriculum' via conceptual metaphors. The participants (N=348) completed a prompt, "Curriculum is like A because B" and then t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란? | 교사가 가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은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얻은 이론적 지식과 실제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경험하면서 형성한 지식이 종합된 것으로, 실천적인 지식에 해당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지식을 자신이 관계하는 실제적인 상황에 맞도록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바탕으로 종합하고 재구성한 지식으로, 반성과 재구성을 통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김민정, 2012; 이부미, 2011).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 자신의 교육행위를 이끌 뿐 아니라 외부자가 교사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도구적 역할을 한다(Connelly & Clandinin, 2007; Chou, 2008). | |
교사의 주관적인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교사와 학생의 개별 주체의 해석에 따라 가르침과 배움이 다르게 구성되고 재현되므로, 교사의 주관적인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은 매우 중요하다(Hyun & Marshall, 2003). 외부로부터 주어진 교육내용이라 하더라도 교사의 신념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아와의 상호작용 속에 그대로 재연되며 유아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아교사는 주어진 교육과정과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공간 모두를 오가며 다양한 유아들의 목소리와 정체성 그리고 그들의 성장과 변화, 문화, 요구, 흥미와 호기심 등에 관심을 가지고 그 의미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교실에서 만나게 되는 두 개의 교육과정 세계, 즉 주어진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과 만들 어가는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생생한 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이라는 두 공간에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Aoki, 1991). | |
개념적 메타포란? | Lakoff(1987)는 메타포를 문학적 기법으로서가 아닌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창조적으로 만드는 인지적 기제라고 간주하면서, 개념적 메타포(conceptual metaphor)라는 용어를 통해 일상적인 개념 체계가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메타포적 특성을 강조하였다(한은미, 이경화, 2014, 재인용). 개념적 메타포는 인간의 일상적이고 일반적인 개념체계를 조직하는 방식으로 익숙한 것을 통해서 익숙하지 않은 것을 이해하고 경험하게 하는 연결 방식이다. 우리에게 친숙하고 익숙한 영역을 활용하여 추상적이고 새로운 영역을 구성하고 개념화하는 일종의 인지적 전략인 것이다(임지룡, 2006). |
김두정 (2009). 교유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 혼합적 연구방법을 통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탐구. 교육과정연구, 27(3), 127-157.
김민정 (2012). 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해: 구조와 내러티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191-206.
김영천, 주재홍 (2009).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와 연구영역들. 교육과정연구, 27(2), 1-31.
김윤희, 황해익 (2015).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유아교육논집, 19(4), 339-364.
김은미 (2014).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실천적 지식 및 교사 효능감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2010).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7-46.
김현수 (2016). 교육실습과정 중 예비유아교사가 형성한 실천적 지식과 그 형성과정에 관한 탐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역할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4(1), 275-302.
박민정 (2005).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교육과정연구, 23(4), 37-57.
배소연 (1993).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교육학연구, 31(5), 153-171.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유영옥 (2008). 유아교사의 미술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경화 (2014).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 41(2), 107-137.
이경화, 손유진 (2014).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가르침의 순간"의 의미 분석. 유아교육연구, 34(3), 175-196.
이부미 (2011). 다문화 교육의 혼돈과 이해의 과정: 안산 '원곡동'현장 연구. 유아교육논집, 15(5), 103-127.
이성희, 박은혜 (2012).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319-353.
이정욱 (2000). 교사의 지식과 유아교사 교육. 한국교원교육연구, 17(1), 355-378.
이진경 (2002). 철학과 굴뚝청소부. 서울: 그린비.
임승렬, 이은정 (2014). "예측하지 못한 수업상황"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2), 495-518.
임지룡 (2006).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 29, 29-60.
최성운 (2014). 유아수학교육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2005).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 8개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4), 5-32.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한은미, 이경화 (2014).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신념.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22.
허미애 (2007).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oki, T. (1991). Teaching as Indwelling between two curriculum worlds. In W. F. Pinar & R. L. Irwin (Eds.),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Aoki (pp. 159-165).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Apple, M. (1979). Ideology and curriculum.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Berliner, D. (1990). If the metaphor fits why not wear it? The teacher as executive. Theory into Practice, 29(2), 85-93.
Cherryhomes, C. H. (1988). Power and criticism: Poststructural investigation in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Chou, C. (2008). Explori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 case study of EFL teachers in Taiwa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9(4), 529-541.
Connelly, F. M., & Clandinin, D. J. (2007).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강현석, 박민정, 소경희, 조덕주, 홍은숙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1988).
Doll, Jr. W. E. (1993).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NY: Teachers College Press.
Hiebert, J., Gallimore, R., & Stigler, J. W. (2002). A knowledge ba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would it look like and how can we get one? Educational Researcher, 31(5), 3-15.
Hyun, E. (2006). Teachable moments: Re-Conceptualizing curricula understandings. NY: Peter Lang Pub.
Hyun, E., & Marshall, J. D. (2003). Teachable moment-oriented curriculum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1), 111-127.
Inbar, D. (1996). The free educational prison: Metaphors and images. Educational Research, 38(1), 77-92.
Kincheloe, J., Slattery, P., & Steinberg, S. (2000). Contextualizing teaching. NY: Longman.
Meijer, P. C., Zanting, A., & Verloop, N. (2002). How can student teachers elicit experience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ols,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5), 406-419.
Moser, K. S. (2000).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 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On-line journal], 1(2).
Pinar, W. (2005). What is curriculum theory?, 교육과정 이론이란 무엇인가?(김영천 옮김). 서울: 문음사(원판 2004).
Pinar, W.,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NY: Peter Lang.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