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말초정맥관 삽입 부위 관찰창 확보가 침윤조기감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bservation Window at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Site on Early Recognition of Infiltra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34 - 541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순미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  박경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observation window (OW) at peripheral intravenous (IV) catheter sites on early detection of IV infiltra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history control group design.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즉, 정맥관 삽입 부위는 전체적으로 투명드레싱을 하여 관찰창을 확보한 후, 정맥관 허브 부위 등 관찰창을 제외한 부위는 거즈와 반창고를 대어 정맥관 고정이 잘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재의 변화를 감안하여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아동의 말초정맥관 삽입 후 투명드레싱으로 고정하고 삽입 부위에 관찰창을 남겨둠으로써 주기적인 관찰이 좀 더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침윤조기감지에 도움이 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초정맥관 삽입의 문제점은? 말초정맥관 삽입은 급성기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의 약 70%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빈번하고 기본적인 간호실무중 하나이다[1,2]. 그러나 말초정맥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성공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시술[3]이며, 혈류감염, 정맥염, 침윤, 폐색 등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4]. 이 중 침윤은 피하지방내 정맥으로 삽입된 정맥관의 부적절한 관리나 물리적 손상으로 정맥관이 혈관벽을 찢어 수액이 혈관밖으로 유출(fluidescape events)되어 조직에 차있는 상태로[5,6], 비교적 빈번히 발생하는 말초정맥관 삽입 관련 합병증이다[5,7,8].
말초정맥관 삽입은 무엇인가? 말초정맥관 삽입은 급성기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의 약 70%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빈번하고 기본적인 간호실무중 하나이다[1,2]. 그러나 말초정맥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성공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시술[3]이며, 혈류감염, 정맥염, 침윤, 폐색 등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4].
침윤이란? 그러나 말초정맥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성공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시술[3]이며, 혈류감염, 정맥염, 침윤, 폐색 등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4]. 이 중 침윤은 피하지방내 정맥으로 삽입된 정맥관의 부적절한 관리나 물리적 손상으로 정맥관이 혈관벽을 찢어 수액이 혈관밖으로 유출(fluidescape events)되어 조직에 차있는 상태로[5,6], 비교적 빈번히 발생하는 말초정맥관 삽입 관련 합병증이다[5,7,8]. 침윤은 의료기관 내 안전사고로 간주될 수 있어 제대로 보고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률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 따르면 입원 아동의 침윤발생률은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adaway L. Short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and infections.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2;35(4):230-240. http://dx.doi.org/10.1097/NAN.0b013e31825af099 

  2. Rickard CM, Webster J, Wallis MC, Marsh N, McGrail MR, French V, et al. Routine versus clinically indicated replacement of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A randomised controlled equivalence trial. Lancet. 2012;380(9847):1066-1074. http://dx.doi.org/10.1016/s0140-6736(12)61082-4 

  3. Thomas J. Standard practice and evolving trends in pediatric intravenous access. Air Medical Journal. 2007;26(1):8-11. http://dx.doi.org/10.1016/j.amj.2006.10.006 

  4. Webster J, Osborne S, Rickard CM, New K. Clinically-indicated replacement versus routine replacement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8): CD007798.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798.pub4 

  5. Pettit J. Assessment of the infant with a peripheral intravenous device. Advances in Neonatal Care. 2003;3(5):230-240. 

  6. Thigpen JL. Peripheral intravenous extravasation: Nursing procedure for initial treatment. Neonatal Network. 2007;26(6):379-384. http://dx.doi.org/10.1891/0730-0832.26.6.379 

  7. Doellman D, Hadaway L, Bowe-Geddes LA, Franklin M, LeDonne J, Papke-O'Donnell L, et al.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Update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09;32(4):203-211. http://dx.doi.org/10.1097/NAN.0b013e3181aac042 

  8. Hadaway L.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07;107(8):64-72. http://dx.doi.org/10.1097/01.NAJ.0000282299.03441.c7 

  9. Hetzler R, Wilson M, Hill EK, Hollenback C. Securing pediatric peripheral IV. catheters-application of an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1;26(2):143-148. http://dx.doi.org/10.1016/j.pedn.2010.12.008 

  10. de Lima Jacinto AK, Avelar AF, Pedreira ML. Predisposing factors for infiltration in children submitted to peripheral venous catheterization.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1;34(6):391-398. http://dx.doi.org/10.1097/NAN.0b013e3182306491 

  11. Kim JS, Lee YR, Kim NS. Effects of the structured nursing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n maintenance of intravenous infusions in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 ;18(3):135-142.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35 

  12. Jung JH. A study of peripheral intravenous cannulation & intravenou injection pain in hospitalized children[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09. p. 1-84. 

  13. McCullen KL, Pieper B.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risk factors for extravasation among neonates receiving peripheral intravascular fluid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06;33(2):133-139. 

  14. Fang L, Fang SH, Chung YH. Factors affecting the unplanned peripheral reinsertion in pediatric patients from a teaching hospital in Taiwan.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1;34(6):366-372. http://dx.doi.org/10.1097/NAN.0b013e31823061c1 

  15. Talbot SG, Rogers GF. Pediatric compartment syndrome caused by intravenous infiltration. Annals of Plastic Surgery. 2011;67(5) :531-533. http://dx.doi.org/10.1097/SAP.0b013e3182085915 

  16. Lamagne P, McPhee M. Troubleshooting pediatric peripheral IVs: Phlebitis and infiltration. Nursing Spectrum. 2004;8(13):18-20. 

  17. Amjad I, Murphy T, Nylander-Housholder L, Ranft A. A new approach to management of intravenous infiltration in pediatric patients: Pathophysiology,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1;34(4):242-249. http://dx.doi.org/10.1097/NAN.0b013e31821da1b3 

  18. Woody G, Davis BA. Increasing nurse competence in peripheral intravenous therapy.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13;36(6):413-419. http://dx.doi.org/10.1097/nan.0000000000000013 

  19. Clifton-Koeppel R. Wound care after peripheral intravenous extravasation: What is the evidence?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06;6(4):202-211. http://dx.doi.org/10.1053/j.nainr.2006.10.001 

  20. Roth D. Pediatric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Vascular Access. 2006;11(1):14. http://dx.doi.org/10.2309/java.11-1-5 

  21. Park SM, Jeong IS, Kim KL, Park KJ, Jung MJ, Jun SS. The effect of intravenous infiltration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6;31(2):172-178. http://dx.doi.org/10.1016/j.pedn.2015.10.013 

  22. Flemmer L, Chan JS. A pediatric protocol for management of extravasation injuries. Pediatric Nursing. 1993;19(4):355-358, 424. 

  23. Park SM.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and development of a risk prediction model for infiltra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4. p. 1-62. 

  24. Infusion Nurses Society. Infusion nursing standards of practice.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006;29(1 Suppl):S1-S92. 

  25. Sauerland C, Engelking C, Wickham R, Corbi D. Vesicant extravasation part I: Mechanisms, pathogenesis, and nursing care to reduce risk. Oncology Nursing Forum. 2006;33(6):1134-1141. http://dx.doi.org/10.1188/06.onf.1134-1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