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평생 흡연 및 현재 흡연 영향요인: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Lifetime Smoking and Current Smoking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10th (2014)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52 - 561  

권석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밀워키캠퍼스 간호대학) ,  정수용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lifetime smoking and current smoking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based on complex sample analysis using statistics from the 10th (2014) Korea Youth Risk Behavior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16개 시도의 청소년 72,060명을 조사하여 대표성이 높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 영향 요인을 개인적 요인, 대인관계 요인, 학교 및 도시 요인 등 다양한 수준에서 위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연구, 정책 개발, 흡연 예방 중재 프로그램 실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제 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자료를 이용한 이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가설 설정

  • 첫째, 아직 담배를 피워보지 않은 청소년들의 흡연 예방을 위한 중재를 위해서는 가정의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 그리고 이미 흡연을 시작하고 현재 흡연 중인 청소년들의 금연을 위한 중재를 위해서는 가정의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 뿐만 아니라 상인 경우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가정의 경제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이 무엇인가에대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한 가정의 경제수준이 청소년의 평생 흡연 및 현재 흡연의 영향요인이라는 것은 이전의 연구 결과 들과 맥을 같이 한다[11,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어떻게 되는가? 다행히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2005년 11.8%였던 것이 2007년 13.3%로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 기준으로 9.2%(남자 14%, 여자 4%)를 나타내고 있다[4].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율은 뉴질랜드(6.
평생 흡연은 무엇인가? 평생 흡연은 일생에 단 한번이라도 흡연을 해본 경험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에 따라 과거 흡연[16], 흡연 경험[11] 등으로도 불린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에서 이용된 평생 흡연에 대한 정의인 ‘지금까지 담배를 한 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경험’을 그대로 사용하였다[4].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수준의 변수는 무엇인가? 개인적인 수준에서는 남자 청소년일수록[7,8], 학년이 올라갈수록[9,10],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7,11], 그리고 용돈이 많을수록[11,12] 평생 흡연 또는 현재 흡연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사회적 수준에서는 부모 양쪽과 비동거 또는 한쪽과 비 동거[8,13], 부모·친구·형제자매 흡연[9,11], 어머니의 경제활동[8], 가정의 경제상태[11,14] 등이 청소년의 평생 흡연 또는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거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학교 내 교사의 흡연을 목격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흡연을 더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youth and young adult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Internet].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12[cited 2015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www.surgeongeneral.gov/library/reports/preventing-youth-tobacco- use/full-report.pdf. 

  2. Ko SJ, Jung YH. Estimating smoking-attributable deaths on adolescent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198:18-26. 

  3. Cho KS. Prevalence of hardcore smoking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1):603-628. 

  4.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5. World Health Organization. Tobacco control country profiles[Internet]. Geneva, CH: Author; 2015[cited 2015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bacco/surveillance/policy/country_profile/en.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plan 2020. Seoul: Author; 2011. 

  7. Kim W.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in Korean male and female youth.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4;11(2):63-85. 

  8. Kim JK, Kim GH. Determinants of smoke and smoking frequenc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um for Youth Culture. 2013;33:88-117. 

  9. Kang LJ, Kim H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2005;8(4):121-142. 

  10. Kim KH, Chung H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experience of smoking in middle school girl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1):14-22. 

  11. Kim JE, Cho BH. The impa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Studies on Korean Youth. 2012;23(1):57-87. 

  12. Park SH, June KJ. Predictors affecting smoking initiation and an increase in smoking frequency among Korean middle schoolers. Studies on Korean Youth. 2007;18(1):5-27. 

  13. Yang KH, Kim YH, Lee JR.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smoking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5;16(1):40-48. 

  14. Cho SH, Eom AY, Jeon GS.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rinking and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4):13-25. 

  15. Yu JO, Jung HY, Kim YM, Kwon SJ. Urban-rural disparities and related factors in rates of smoking by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2013;8(1):33-41. 

  1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 guide-Health topics. Smoking status[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6 [cited 2016 April 18]. Available from: http://dhds.cdc.gov/guides/healthtopics/indicator?Ismokingstatus. 

  17. Bewick V, Cheek L, Ball J. Statistics review 14: Logistic regression. Critical Care. 2005;9(1):112-118. http://dx.doi.org/10.1186/cc3045 

  18. Paavola M, Vartiainen E, Haukkala A. Smoking, alcohol use, and physical activity: A 13-year longitudinal study ranging from adolescence into adulthood.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4;35(3):238-244.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03.12.004 

  19. Park MB, Kim CB, Nam EW, Hong KS. Does South Korea have hidden female smokers: Discrepancies in smoking rates between self-reports and urinary cotinine level. BMC Women's Health. 2014;14:156. http://dx.doi.org/10.1186/s12905-014-0156-z 

  20. Park SH, Kang JH, Chun JS, Oh HJ. A longitudinal comparative study of mental health between adolescent smokers and adolescent nonsmoker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0;12(2):75-94. 

  21. Kim HO, Jeon MS.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th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7;21(2):217-229. 

  22. Goodman E, Huang B. Socioeconomic status, depressive symptoms,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2002;156(5):448-453. 

  23. Ryu SY.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behavioral adjustm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05;16(1):255-281. 

  24. Huver RME, Engels RCME, Van Breukelen G, de Vries H.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 smoking cognitions and behaviour. Psychology & Health. 2007;22(5):575-593. http://dx.doi.org/10.1080/14768320600976182 

  25. Brown BB. Visibility, vulnerability, development, and context: Ingredients for a fuller understanding of peer rejection in adolescenc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96;16(1):27-36. http://dx.doi.org/10.1177/0272431696016001002 

  26. Berndt TJ, Keefe K. Friends’ influence of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Child Development. 1995;66(5):1312-1329. 

  27. Lim YS. Peer relationship in adolescence. I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ditor. Adolescent psychology. 2nd ed. Paju: Kyoyookbook; 2014. p. 383-413. 

  28. Fleming CB, White HR, Oesterle S, Haggerty KP, Catalano RF. Romantic relationship status changes and substance use among 18- to 20-year-old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2010;71 (6):847-856. http://dx.doi.org/10.15288/jsad.2010.71.847 

  29. McCarthy WJ, Mistry R, Lu Y, Patel M, Zheng H, Dietsch B. Density of tobacco retailers near schools: Effects on tobacco use among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99(11):2006-2013. http://dx.doi.org/10.2105/ajph.2008.145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