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affect their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3, 2016년, pp.251 - 279  

김채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신재홍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studies on 'how' students solve mathematical problems, but few of them sufficiently explained 'why' they hav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ir own different ways. As quantitative reasoning is the basis for algebraic reasoning, to scrutinize a student's way of dealing with quantities i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정가능성이란? 측정가능성이란 대상의 속성에 대해 적절한 단위의 수치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그 측정과정이 분명히 드러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이나 상상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대상의 질을 수학적으로 조직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측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양적 추론이란? 양적 추론은 인간이 인식한 상황에 대해 양을 구성하고 구성된 양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여 제 3의 양을 생성하고 관련짓는 정신적 행동을 의미한다(Moore, Carlson, & Oehrtman, 2009). Thompson(1990)은 양적 추론에 대해 인간이 인식한 상황을 자신의 양적 구조, 즉 양적 관계들의 네트워크로 분석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양에 기반한 공변 추론이 어려운 이유는? 양에 기반한 공변 추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양과 그들 값의 변화에 대한 이미지를 구성한 다음, 머릿속에서 두 양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곱셈적 대상을 개념화하고 그 결합을 지속하면서 상황에 대한 변화의 이미지 또한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Thompson, 2011). 이것은 단순히 두 양이 함께 변화하는 장면을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고등 사고를 요하므로 많은 학생들이 공변 추론에 어려움을 겪는다(Carlson, 1998; Thompson, 1994; Weber &Thompson, 2014). 공변적 접근은 수학을 양들 사이의 종속, 인과, 상호작용, 상관의 관계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바라보도록 하기 때문에 수학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Chaza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Vol. 8]) 

  2. 김지은, 신재홍 (2013). 유추 사상의 명료화를 통한 문장제 해결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7(4), 429-448.(Kim, J., & Shin, J. (2013). A study on solving word problems through the articulation of analogical mapp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429-448.) 

  3. 김진호, 김인경 (2011). 수학적 문제 해결 연구에 있어서 미래 연구 주제: 델파이 기법. 初等數學敎育14(2), 187-206.(Kim, J., & Kim, I. (2011). Future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sing delphi method.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2), 187-206.) 

  4. 박현정 (2007). 유사성 구성과 어포던스(affordance)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46(4), 371-388.(Park, H. (2007). The case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similarities and affordance.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371-388.) 

  5. 박현정, 이종희 (2006). 중학생들이 수학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구성하는 유사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15-138.(Park, H., & Lee, J. (2006). An analysis of similarities that students construct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2), 115-138.) 

  6. 반은섭, 신재홍 (2012).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해결 효과.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15(3), 535-563.(Ban, E., & Shin, J. (2012). The effect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depending on analogical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3), 535-563.) 

  7. 장윤영 (2008). 문제중심학습(PBL)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 행동 사례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Jang, Y. (2008).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behavior through PBL in problem solving. Doctoral dissertation. Dan Kook University.) 

  8. 전영배, 노은환, 강정기 (2011). 유사 문제 해결에서 구조적 유사성의 인식. 수학교육 50(1), 1-12.(Jun, Y., Roh, E., & Kang, J. (2011). Insight into an structural similarity in stage of simila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1), 1-12.) 

  9. Carlson, M. P. (1998).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 concept. In J. J. Kaput, A. H. Schoenfeld, & E. Dubinsky (Eds.), Research i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3,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7, pp. 114-162).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0. Carlson, M. P., Jacobs, S., Coe, E., Larsen, S., & Hsu, E. (2002). Applying covariational reasoning while modeling dynamic events: A framework and a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 352-378. 

  11. Carlson, M. P., & Bloom, I. (2005). The cyclic nature of problem solving: An emergent multidimensional problem-solving framewor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8(1), 45-75. 

  12. Castillo-Garsow, C. C. (2010). Teaching the Verhulst model: A teaching experiment in covariational reasoning and exponential growth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AZ. Retrieved from http://goo.gl/9Jq6RB 

  13. Castillo-Garsow, C. C. (2012). Continuous quantitative reasoning. In R. Mayes, R. Bonillia, L. L. Hatfield, & S. Belbase (Eds.), Quantitative reasoning: Current state of understanding, WISDOMe Monographs (Vol. 2, pp. 55-73). Laramie, WY: University of Wyoming. 

  14. Castillo-Garsow, C. C., Johnson, H. L., & Moore, K. C. (2013). Chunky and smooth images of change.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3, 31-37. 

  15. Chazan, D. (2000). Beyond Formulas in Mathematics and Teaching: Dynamics of the High School Algebra Classroom.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6. Confrey, J., & Smith, E. (1995). Splitting, covariation and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exponential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 66-86. 

  17. Ellis, A. B. (2011). Algebra in the middle school: Developing functional relationships through quantitative reasoning. In Early Algebraization (pp. 215-238). Springer Berlin Heidelberg. 

  18. Hackenberg, A. J. (2010). Students' reasoning with rev ersibl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Cognition and In struction 28(4), 383-432. doi:10.1080/07370008.2010.511565 

  19. Lesh, R., & Zawojewski, J. (2007). Problem solving and modeling.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2, (pp. 763-804). IAP. 

  20. Maturana, H. R., & Varela, F. J. (2007).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최호영 역). 서울: 갈무리. (원저 1987년 출판) 

  21. Merriam (2007).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고상숙, 권오남, 류희찬, 박만구, 방정숙,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98년 출판) 

  22. Moore, K. C., Carlson, M. P., & Oehrtman, M. (2009). The role of quantitative reasoning in solving applied precalculus problems. In Conference on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CRUME). Raleigh, NC. 

  23. Saldanha, L. A., & Thompson, P. W. (1998). Re-thinking co-variation from a quantitative perspective: Simultaneous continuous variation. In S. B. Berenson & W. N. Coulombe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North America (Vol. 1, pp. 298-304). Raleigh, NC: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bit.ly/1b4sjQE. 

  24. Schoenfeld, A. H. (1992). Learning to think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sense-making in mathematics.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334-370). New York: MacMillan. 

  25. Schoenfeld, A. H. (2013). Reflections on problem solving theory and practice. The Mathematics Enthusiast 10(1/2), 9-34. 

  26. Schroeder, T. L. & Lester, F. K. (1989). Understanding mathematics via problem solving. In P. Trafton (Ed.),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p. 31-4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7. Smith, J., & Thompson, P. W. (2008). Quantitative reasoning and the development of algebraic reasoning. Algebra in the early grades, 95-132. 

  28. Steffe, L., & Izsak, A. (2002). Pre-service middle-school teachers' construction of linear equation concepts through quantitative reasoning. In D. Mewborn, P. Sztajn, D. White, H. Wiegel, R. Bryant, & K. Noony (Eds.), Proceedings of the Twenty-Four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1163-1172).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9. Steffe, L. P., & Thompson, P. W. (2000). 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 Underlying principles and essential elements. In R. Lesh & A. E. Kelly (Eds.),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 267-307). Mahwah, NJ: Erlbaum. 

  30. Thompson, P. W. (1990). A theoretical model of quantity-based reasoning in arithmetic and algebra. San Diego State University, Center for Research in Mathematics & Science Education. 

  31. Thompson, P. W. (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ship to concepts of rate.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 179-234). Albany, NY: SUNY Press. 

  32. Thompson, P. W. (2008). Conceptual analysis of mathematical ideas: Some spadework at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 Figueras, J. L.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1, pp. 31-49). Morelia, Mexico: PME. Retrieved from http://bit.ly/10YE9al. 

  33. Thompson, P. W. (2011). Quantitative reasoning and mathematical modeling. In L. L. Hatfield, S. Chamberlain, & S. Belbase (Eds.),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or collaborative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ISDOMe Monographs (Vol. 1, pp. 33-57). Laramie, WY: University of Wyoming. 

  34. Thompson, P. W., & Carlson, M. P. (2016). Variation, covariation, and functions: Foundational ways of thinking in mathematics. In J. Cai (Ed.),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5. Weber, E., & Thompson, P. W. (2014). Students' images of two-variable functions and their graph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7(1), 6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