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의 개발
A Development on Learning Progressions about Concepts of the Properties of Light in the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6년, pp.326 - 335  

이경란 (부산대학교) ,  박종호 (진주교육대학교) ,  백남권 (진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the concept of properties of the light on learning progressions for 3-6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this study creates a construct map of the properties of the light.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were developed in view of the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고안하여 학습 발달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고안하여, 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고안하기 위해서 문항특성의 불변성과 피험자 능력 불변성을 유지하며,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을 지니고 있는 문항반응이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Briggs et al., 2006). 학습 발달과정의 수준을 판별하기 위해서 문항반응이론의 부분 점수 모형(Partial Credit Model, PCM)을 중심으로 하여 구인 모델링 방식(construct modeling approach)을 적용한 4단계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기 위한 한국/미국의 초중등 과학교육 체제의 차이점은? 한편, 빛의 성질은 빛의 직진, 반사, 굴절 등의 개념을 체계적인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선개념에서 과학적 개념으로 습득하게 된다. 미국의 K-12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학습 발달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빛의 성질 개념의 핵심 원리를 제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내용을 학년만 상향 조정하여 제시하고 있어 체계적인 발달 단계에 따른 ‘빛의 성질’에 대한 과학적 개념 체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항 특성 곡선이란? 문항 특성 곡선은 피험자 능력에 따른 문항의 답을 맞힐 확률을 나타내는 곡선(Seong, 2005)으로 x축은 응답자의 능력에 대한 로지트 값, y축은 문항 난이도를 고려하여 응답자들이 선택지를 응답할 확률을 나타낸다. 즉, p(0)는 1수준, p(1)은 2수준, p(2)는 3수준, p(3)은 4수준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 기술은 어떤 단계라 할 수 있는가? 평가 결과 기술은 각 평가 문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에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그 결과를 정리 및 서술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순위정렬 선다형 문항의 경우, 각 문항별 선택지가 구인에 대한 수준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결과를 기술하는 것이 용이하다(Maeng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iggs, D., Alonzo, A., Schwab, C. & Wilson, M. (2006). Diagnostic assessment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Educational Assessment, 11(1), 33-63. 

  2. Chi, E. & Chae, S. (2000). Theory and practice of Rasch model. Seoul: Seoul Science History. 

  3.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4. Duschl, R., Schweingruber, H. & Shouse, A.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Committee on science learning, kindergarten through eighth grade. Washingt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5. Kim, D. (2014). Development of individual matching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based on learning progression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Koo, S. (2003).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levels of "Light and Shadow", and the alternative concepts. Ms. D.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7. Lee, S. & Lim, C. (199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basic science concept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2), 325-339. 

  8. Maeng, S., Seong, Y. & Jang, S. (2013).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161-180. 

  9. Park, S., Park, J. & Back, N. (2014),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ion of the light and shadow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111-126. 

  10. Seong, Y. (2013).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cycle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with construct modeling approach.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Seong, Y., Maeng, S. & Jang, S. (2013).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cycle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39-158. 

  12. Seong, T. (2005). Understanding and applying item response theory. Seoul: Kyoyookbook. 

  13. Wilson, M. (2005). Constructing measures: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14. Wilson, M. (2009). Measuring progressions: Assessment structures underlying a learning progres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716-730. 

  15. Wilson, M. & Bertenthal, M. (2006). Systems for state science assessment. Washingt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6. Yang, S. (2016). A learning progression for geography with construct modeling approach. M.S. thesis, Korea University. 

  17. Yoo, E.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teaching co-operational generated analogies with teacher's guidanc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Light" and its application for six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