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잊힐 권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0년 이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search the Right to be Forgotten from 2010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6 no.4, 2016년, pp.1073 - 1084  

심미나 (성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잊힐 권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올바른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잊힐 권리는 개인정보삭제청구권, 망각권 또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같은 권리와 함께 사회과학분야에서 연구하거나 디지털소멸이나 정보삭제와 같은 기술(서비스)과 함께 공학분야에서도 연구된 바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의 연구논문을 검색하여 최종 8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7개 분석기준과 3개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EU 규칙(안)이 공표된 2012년을 기점으로 사회과학분야를 중심으로 한 연구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문제탐색을 중심으로 법학중심의 연구가 문헌조사나 법제연구방법을 통해 활발히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보호대상과 권리충돌 주제의 심화연구 또한 증가하였다. 잊힐 권리가 빅데이터, 디지털정보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 이슈임을 고려할 때 잊힐 권리의 구현을 지원하는 기술(서비스)이나 실현범위 및 방법과 함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상으로 한 한계가 있으나 향후 국외 비교분석과 함께 본 연구결과는 효율적인 잊힐 권리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rrect direction of research in related field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domestic study right to be forgotten. In this study, the final selection of 80 pieces of research papers in various disciplines to search for the study and were analyzed by sett...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잊힐 권리', '잊혀질 권리' 란 무엇인가? 소위 ‘잊힐 권리’ 또는 ‘잊혀질 권리’로 일컫는 권리의 개념은 통상 인터넷상 자신과 관련된 각종 자료의 삭제를 요구하는 권리를 의미한다. 2012년 EU ⌜개인정보의 처리와 관련한 개인의 보호 및 개인정보의 자유로운 이동에 관한 규정(안)⌟(이하 2012 EU규정(안))(제17조)에서는 이를 정보주체가 온라인상 자신과 관련된 모든 정보에 대한 삭제 및 확산방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규정한 바 있다.
잊힐 권리에 대한 연구의 초기단계에는 어떤 양상이 드러났는가? 그 결과, 연구 초기단계에는 인문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개인정보관점의 잊힐 권리 개념이 필요한지를 모색하는 연구가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사회심리학적 의미나 법심리학적 관계 등의 다양한 관점으로 한 잊힐 권리의 필요성 모색은 매우 흥미로운 초기 연구목적으로 보인다.
법학분야에서 잊힐 권리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이유는? 국내연구는 2012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법학분야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잊힐 권리가 아직 입법화 초기단계이기고 명확한 법리가 정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 외 사회과학분야는 언론방송학을 중심으로 세부주제 연구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youngjin Choi, "Right to be forgotten-A Personal Information Perspectiv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Law, 16(2), pp. 97-120, Aug. 2012. 

  2. NIA, "The 'right to be forgotten' Legal issues and improve direction", 10, pp.1-19, Jul. 2012. 

  3. Joo Chungmin and Hyungjin, "A Study of Research Trend about Internet of Things", Informatization Policy. 22(3), pp. 3-15. Fall 2015. 

  4. Yoojung Kim and Susan Joe, "A Meta-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Research in Communications", Informatization Policy, 19(4), pp. 3-26, Winter 2012. 

  5. Minsung Kim and Youngmin Yoon, "Analyzing News Coverag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5(3), pp. 33-66, Sep. 2015. 

  6. Sang-Ki Chung and Kyung-Yeol Kim, "Trend of Dispute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Acceptance Task of Internet Laws in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2(1), pp.131-141, Mar. 2013. 

  7. Jeongmin Choi and Kim Youseung,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13(3), pp. 173-197, 2013. 

  8. In-Sup Han, Jung-Yul Kim, Ja-Kyung Kwon and Yo-Sang Ham, "Research Trend Analysis for the Public Service Studies -Focused on Major Academic Journals Printed in Korea and USA(1995-2008)", Korean Governance Review, 16(1), pp. 179-205, Apr. 2009. 

  9. Yilang Choi,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Focused on Research Papers between 2004 and 2013",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3), pp. 147-177, Jan. 2015. 

  10. Ji, Seong-Woo, "A Exploatory Study on the So-called 'Right to be Forgotten'",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Law, 15(3), pp. 54-85, Dec. 2011.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