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The Related Factors to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4, 2016년, pp.399 - 414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이민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identify factors relevant to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Methods: Twenty-three studies that m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a sample of twenty-six studies. These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a central literature databases (N=13,241). Th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메타분석은 개별연구들이 행해진 후의 사후 적 분석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관계에 대한 결정적인 결론을 주기보다는 그 분야의 연구에서 어떤 연구들이 더 필요하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안해 준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색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들을 메타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추후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전략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은 자아존중감, 긍정심리자본, 결혼상태이었고, 조직적 요인은 조직의 용인, 관리자의 무례함, 직무 스트레스, 동료의 지지, 조직의 도덕성, 관리자의 리더십, 조직의 정체성, 구조적 임파워먼트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기 위하여 핵심질문을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은 무엇인가?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간 직장 내 괴롭힘 관련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전략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발표된 직장 내 괴롭힘의 관련변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조직적인 요인의 효과크기가 개인적 요인에 비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추후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한 정책 및 중재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즉, 간호사 개인에 대한 교육적 접근보다는 조기중재,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 공정하고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 형성과 같은 조직적 차원의 중재가 필요하다.

가설 설정

  • 사례수가 많은 연구에서 측정된 효과크기가 사례수가 적은 연구보다 더 정확하다고 가정하여 사례수가 많은 연구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 내 괴롭힘이란 무엇인가? 최근 국내 · 외에서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직장 내 괴롭힘은 직장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를 무시하고, 위해하고, 통제하기 위한 일련의 언어적, 정신적, 신체적 행동을 의미한다[1]. 간호사는 학교 교육 외에도 취업 후 현장에서 선임 동료로부터 실무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간호조직의 문화는 위계적이 되기 쉽고, 그 과정에서 동료들 간의 괴롭힘이 흔히 발생한다[2].
간호사에게 괴롭힘이 흔히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직장 내 괴롭힘은 직장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를 무시하고, 위해하고, 통제하기 위한 일련의 언어적, 정신적, 신체적 행동을 의미한다[1]. 간호사는 학교 교육 외에도 취업 후 현장에서 선임 동료로부터 실무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간호조직의 문화는 위계적이 되기 쉽고, 그 과정에서 동료들 간의 괴롭힘이 흔히 발생한다[2].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종별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 비율 보고에 의하면 간호사 직군이 41.
간호사가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였을때 환자와 의료기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간호사가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면 피로, 불면, 우울, 불안 등의 신체 · 심리적 증상이 증가하고,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가 낮아지는 한편 소진 및 이직의도는 높아진다[4,5].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운영은 물론 환자의 안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urpora C, Blegen MA. Horizontal violence and the quality and safety of patient care: a conceptual model.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2;27(7):1-5. http://dx.doi.org/10.1155/2012/306948 

  2. Kang J, Yun S.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es. 2016;46(2):226-37. http://dx.doi.org/10.4040/jkan.2016.46.2.226 

  3. Gu MY, Cheon JY, Seo TJ, Jung SG. Prevention of workplace bullying among women workers: survey analysis and policy suggestion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5. p. 51-96. 

  4. Johnson SL, Rea RE. Workplace bullying: concerns for nurse leader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39(2):84-90.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95a5fc 

  5.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Vickers MH.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2):173-8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35.x 

  6. Roche M, Dier D, Duffield C, Catling-Paull C.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0;42(1):13-2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9.01321.x 

  7. Lee YO, Kang JY, Yun SY, Lee YH, Kim BJ.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rizontal violenc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3;6(2):37-50. 

  8. Park KO, Kim SY, Kim JK.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69-80. 

  9. Yun SY, Kang JY.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in Korea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5):553-62. http://dx.doi.org/10.7475/kjan.2014.26.5.553. 

  10. Vogelpohl DA, Rice SK, Edwards ML, Bork CE.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5;29(6):414-22.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12.10.008 

  11. McKenna BG, Smith NA, Poole SJ, Coverdale JH. Horizontal violence: experiences of registered nurses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2(1):90-6.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583.x 

  12. Laschinger HK, Wong CA, Grau AL.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newly graduated nurses'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burnout and retention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10):1266-7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2.05.012 

  13. Topa G, Moriano JA. Stress and nurses' horizontal mobbing: moderating effects of group identity and group support. Nursing Outlook. 2013;61(3):e25-e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3.03.002 

  14.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Wiley; 2009. 

  15.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The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2009;6(7):1-6.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16. Vandenbroucke JP, von Elm E, Altman DG, Gotzsche PC, Mulrow CD, Pocock SJ, et al.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explanation and elab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2014;12(2):1500-24. http://dx.doi.org/10.1016/j.ijsu.2014.07.014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York, NY: Academic press; 1988. 

  18. Sotton AJ, Duval SJ, Tweedie RL, Abrams KR, Jones DR. Empirical assessment of effect of publication bias on metaanalysi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0;320(7249):1574-7. 

  19. Embree JL, White AH. Concept analysis: nurse-to-nurse lateral violence. Nursing Forum. 2010;45(3);166-73.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10.00185.x 

  20. Smith LM, Andrusyszyn MA, Laschnger HK.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and empowerment on newly-graduate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8):1004-1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65.x 

  21. Woelfle CY, McCaffrey R. Nurse on nurse. Nursing Forum. 2007;42(3):123-31.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07.00076.x 

  22. Moayed FA, Daraishen N, Shell R, Salem S. Workplace bullying: a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and outcomes.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2006;7(3):311-27. http://dx.doi.org/10.1080/14639220500090604 

  23. Chipps EM, Mcrury M.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address workplace bullying: a pilot study.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12;28(3):94-8. http://dx.doi.org/10.1097/NND.0b013e31825514bb 

  24. Kirk BA, Schutte NS, Hine DW. The effect of an expressivewriting intervention for employees on emotional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and workplace incivil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11;41(1):179-95. http://doi.org/10.1111/j.1559-1816.2010.00708.x 

  25. Yi HH, Yi YJ. Influence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of head nurses and clinical nurs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95-205.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195 

  26. Jeong HS, Choi SE, Kim SD. Relationship between nurse manag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nurses'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175-83.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175 

  27. Johnson SL. An ecological model of workplace bullying: a guide for intervention and research. Nursing Forum. 2011;46(2):55-63.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11.00213.x 

  28. Levine RM, Thompson K. Identity, place, and bystander intervention: social categories and helping after natural disaste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004;144(3):229-45. 

  29. Leiter MP, Maslach C. Areas of worklife: a structured approach to organizational predictors of job burnout. In Perrewe CP, Ganster DC, eds.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ing. Emotional and Physiological Processes and Pos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Vol. 3. Oxford, UK: JAI Press/Elsevier; 2004. p. 91-134. 

  30. Cassidy T, McLaughlin M, McDowell E. Bullying and health at work: the mediating roles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Work & Stress. 2014;28(3):255-69. http://dx.doi.org/10.1080/02678373.2014.927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