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비알칼리성 실리카졸 차수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Non-Alkaline Silica Sol Grouting Method Considering the Eco-Friendlines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7 no.9, 2016년, pp.37 - 45  

장용구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김수겸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인준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차수 그라우팅공법에서 사용되는 규산질 물유리계(규산소다) 재료에 대해 환경성과 주입재 내구성 문제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대체한 실리카졸(Silica-Sol)의 성능효과와 실리카졸을 사용한 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분석함으로써 타공법 대비 효과를 비교 제시하였다. 환경성 내구성 평가와 관련 실내에서 주입재에 대한 어독성, 수중불분리 및 pH 농도 변화, 용출, 압축강도, 길이변화(수축량), 해수영향에 의한 약액 효능 분석 시험을 한 결과 실리카졸 공법은 물유리계인 LW 공법에 비해 압축강도는 약 1.3배 강하고 수축률은 3~8배 정도 적었으며, 토양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성분(Cd, Cu, Hg, $Cr^{+6}$, 유기인)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독성의 경우 수조 내 물의 pH 농도 변화가 거의 없이 공시어 또한 모두 장시간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수 염분에 의한 약액의 강도, 내구성 저하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시험에서는 주입실시공 후 표준관입시험, 공내재하(LLT), 전단시험(BST)을 통해 지반개량에 대한 강도 물성치 증가 및 현장투수시험을 통해 풍화토(토사)층의 투수계수$1{\times}10^{-5{\sim}-6}cm/sec$로 저하됨으로써 현장적용에 대한 공법 시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nvironmental and durability problems of traditional (LW) grou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to the others effects by analyzing the in-situ applicability and effect of performance of the method using the silica sol. This study analyzed the eco-friendly,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그라우팅 시공 중 규산소다와 같은 규산질 물유리계 재료 사용에 대해 환경성과 주입재 내구성 문제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보완한 실리카졸(Silica-Sol) 및 실리카졸 공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을 통한 실리카졸 약액재료의 성능과 차수공법의 적용성을 분석함으로써 타 공법 대비 효과를 비교・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요약・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앞서 실시한 굴착 가시설 흙막이 배면 지반 외 터널 갱내 차수그라우팅을 실시하고, 터널 굴착 시 터널 막장 내부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터널 막장 면에서의 갱내 차수그라우팅은 주입지층이 기존의 차수지반 대상인 모래질의 풍화토 지반이 아닌 풍화암 이상의 암반지층으로 주입이 지층 공극상이 아닌 암반 절리면을 따라 소정의 반경(m) 주입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졸 공법에 대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차수 등 지반개량 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 확인은 대상 지반에 주입시공 전/후로 대비하여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결과값을 비교・측정하였다.
  • 따라서 수년에 걸쳐 사용되어 온 약액 주입공법들에 대한 환경성에 대한 평가 기준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재료 및 시공법이 폭넓게 사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을 고려한 약액재료, 특히 실리카졸계 약액의 특성 및 실리카졸계 약액을 사용하는 차수공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차수공법에 대한 소개와 비교・분석을 통해 친환경 공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실내시험을 통한 비알칼리성 실리카졸 차수공법에 사용되는 약액에 대하여 환경성 검사를 통해 친환경적 재료에 대한 검증과 더불어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여 현장 토층에 대한 시추조사, 표준관입시험 및 현장 투수시험 등 시공 전/후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주입성능 및 효과를 분석・제시하였다.
  • , 2009)가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졸계 주입재에 대해 해수영향에 따른 강도, 내구성 저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앞서 실험한 압축강도, 길이변화 실험 방법으로 배합수를 일반수와 해안 인접지반의 현장채취수로 하였을 때 결과값을 비교・분석하였다.
  • 환경 영향성 평가를 위하여 어독성 시험(Jo et al., 2011)을 수행함으로써 실리카졸계 주입 약액이 어류의 생존성 및 활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LW 공법의 주입재에 대해서도 같은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유리계인 규산소다를 사용하는 이유는? 현재 국내에서 쓰이는 대다수의 시멘트 계열인 약액 주입재는 높은 물-시멘트비(W/C, 200% 이상)에서도 겔의 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만으로 물유리계인 규산소다를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규산소다와 같은 물유리를 사용한 지반 주입재는 지하수가 존재하는 토질에 유입되어 경화재와 접하는 경우, 물유리의 용탈현상이 일어나면서 점차적으로 경화체가 수축하거나 이에 따른 강도저하로 인하여 시공된 지반 주입재로서의 차수 및 보강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우려가 있다.
일본은 환경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안을 발표했는가? 무엇보다 물유리는 pH가 11 이상인 강알칼리성 물질이 대부분으로 알칼리용탈에 의한 토질 및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성 문제가 제기 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일본의 경우 1974년에 후쿠오카에서 발생한 아크릴아미드계 약액의 우물오염사고로 인해 약액 주입공법건설공사 시공에 관한 잠정 지침을 발표했는가 하면 유럽의각 나라들도 환경과 관련하여 주입공법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Chun & Kim(1998) 이후 지반 주입재의 공해성 평가와 관련하여 많은 활발한 연구가 이어져 오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규산소다 및 이를 대체하는 시공법 실사용자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시멘트 계열 약액 주입재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쓰이는 대다수의 시멘트 계열인 약액 주입재는 높은 물-시멘트비(W/C, 200% 이상)에서도 겔의 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만으로 물유리계인 규산소다를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규산소다와 같은 물유리를 사용한 지반 주입재는 지하수가 존재하는 토질에 유입되어 경화재와 접하는 경우, 물유리의 용탈현상이 일어나면서 점차적으로 경화체가 수축하거나 이에 따른 강도저하로 인하여 시공된 지반 주입재로서의 차수 및 보강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우려가 있다. 무엇보다 물유리는 pH가 11 이상인 강알칼리성 물질이 대부분으로 알칼리용탈에 의한 토질 및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성 문제가 제기 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일본의 경우 1974년에 후쿠오카에서 발생한 아크릴아미드계 약액의 우물오염사고로 인해 약액 주입공법건설공사 시공에 관한 잠정 지침을 발표했는가 하면 유럽의각 나라들도 환경과 관련하여 주입공법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hun, B. S., Choi, D. C., Jeong, H. S. and Kim, J. C. (2009),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eawater attack resistance of grouting quick-sett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pp. 351-352 (in Korean). 

  2. Chun, B. S., Kang, H. N., Do, J. N. and Im, J. H. (2006), A study on durability and impermeabi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inorganic ground injection material,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7, No. 6, pp. 116-117 (in Korean). 

  3. Chun, B. S. and Kim, J. C. (199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oxic effect of grout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pp. 322-325 (in Korean). 

  4. Chun, B. S., Lee, J. Y. and Seo, D. D. (2003), Injec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effects for grouting materials based on cement, 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9, No. 2, pp. 163, 165-166, 169 (in Korean). 

  5. Jo, Y. H., Kim, C. K. and Chun, B. S.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 silica sol grouting material,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2, No. 4, pp. 21-2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