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시대에 대학생 배경변인별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 차이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areer Barrier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Competencies based on Gender, Grade, and Fields of Maj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age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8, 2016년, pp.69 - 80  

박성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안재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 등 배경변인별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진로장벽, 진로직업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2015학년 2학기에 A대학에 개설된 '자기개발과 진로탐색'과 '취업성공전략'등 진로관련 교양수업에 참가한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자기명확성 부족과 대인관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 중 독립성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았다. 또한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진로직업역량에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진로탐색 역량이 높았으며 진로 직업탐색과 직업 수행에서는 공통적으로 2학년이 가장 낮았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높아졌다. 진로 직업탐색과 진로설계에서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통적으로 사회계열 전공이 제일 높았으며, 인문과 공학계열이 낮게 나타났다. 이에 제도적 차원에서 대학은 이러한 집단 간 차이를 고려하여 진로지도의 방향 설정 및 취업지원서비스를 기획 운영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reer barrier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competency based on gender, grade, and major fields of university students. 320 students responded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학자들마다 사용하는 용어는 다르지만 구직과정에서 필요한 역량은 구직 준비 단계뿐만 아니라 구직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종합적 역량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를 설계, 탐색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취업 그 자체뿐만 아니라 취업 이후의 고용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종합적 역량으로 진로직업역량이라는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 계열별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의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제도적 차원에서 대학이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할 때 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우선순위를 두고 계발해야 하는 진로직업역량과 이를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이 무엇인지를 제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따른 대학생들의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으로 대학생들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중심으로 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2015학년 2학기에 A대학에 개설된 ‘자기개발과 진로탐색’과 ‘취업성공전략’ 등 진로관련 교양수업에 참가한 전 학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 특성에 따라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 계열별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 진로직업역량의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제도적 차원에서 대학이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할 때 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우선순위를 두고 계발해야 하는 진로직업역량과 이를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이 무엇인지를 제언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란 무엇인가? 진로란 개인의 전 생애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한 개인이 일생동안 일과 관련해 경험하고 거처 가는 모든 체험을 말한다[20]. 대학생의 주 연령대인 15-24세까지의 시기는 진로탐색기로서 인생에 있어서 진로에 대한 설계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진로장벽은 무엇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이러한 진로장벽은 개인에게 자신의 진로목표와 타협하게 함으로써 진로결정 과정에서 불안, 걱정, 자신감 부족을 유발해 진로계획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24]. 그러므로 진로장벽은 일종의 스트레스 사건으로 개인에게 우울, 공포,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해 진로태도나 진로직업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학생들의 구직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 진로장벽에 대한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의 하나로 진로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요인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이유는 진로발달이 환경적 요인이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구직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진로장벽에 대한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의 하나로 진로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yearbook for employment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in 2014," http://kess.kedi.re.kr/publ/view?survSeq2015&pub lSeq58&menuSeq3645&itemCode02&languageen(March 6, 2016). 

  2.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5, OECD," 2015. https://www.oecd.org/edu/EAG-Interim-report.pdf( March 6, 2016). 

  3. Korea Employers Federation, "The actual conditions of new employee recruitment in 2015," http://ebook kef.or.kr/ecatalog.php?Dir46(June 1, 2016). 

  4. K. R. Roh, S. J. Hur, “An analysis on effects of achieving an employment goal of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4, No. 3, pp. 1-22, 2015. 

  5. S. H. Kim, M. J. Kim,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program on self-esteem, self-efficacy 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407-418, 2016. 

  6. J. H. Ah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on female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The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 16 No. 2. pp. 85-110. 2006. 

  7. Y. H. Seoung, S. S.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2, pp. 355-363, 2013. 

  8. J. H. Youn, Y. L. You, "The study of colleg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2, No. 8. pp. 479-504. 2015. 

  9. A. G. Watts, "Career development learning and employability", https://www.heacademy.ac.uk/sites/ default/files/esect_career_development_learning_and_employability.pdf(March 3, 2016). 

  10. P.Sewell, P, L. Darce, “Moving from conceptual ambiguity to operational clarity: Employability, enterprise and enterpreneurship,” Higher Education. Education Training, Vol. 52, No. 1, pp. 89-94, 2010. 

  11. C. H. Kim, B. Y. Kim, J. H. Park, H. J. Park, G. H. Lee, J. E. Chae, "A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 Competency Index.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12. B. S. Lee, H. J. Gong., H. L. Kim, "Investigating differential influences of institutional features on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A multilevel approach,"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1, No. 4, pp. 213-247, 2013. 

  13. J. Y. Kim, “Qualitative case analysis : Meaning of the internship program experience in the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7, No. 4, pp. 41-70, 2014. 

  14. J. W. Lee,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2015. 

  15. K. H. Lim,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2, No. 3, pp. 101-119, 2009. 

  16. Y. H. Kim,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bonding and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3. 

  17. B. L. Seung, "The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2. 

  18. Y. R. Yoo, "Identifying core predicting variabl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4. 

  19. S. L. D. Restubag, A. R. Florentino, P. R. J. M. Garcia, "The mediating roles of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d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ual support and persist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7, No. 2, pp. 186-195, 2010. 

  20. E. Y. Kim,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 inventory,"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1. 

  21. D. E. Super, "A life-span, life 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6, pp. 282-298, 1980. 

  22. S. H. Choi,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university stud ent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2007. 

  23. M. London,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 24, No. 1, pp. 25-38, 1997. 

  24. N. Ladany, R. Love, D. S. Melincoff, M. Remshard, "Urban high school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occupational interests," Paper presented at the 103rd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ew York, 1995. 

  25. S. J. Kim,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hop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2005. 

  26. E. R. Sohn., K. H. Kim,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4, No. 1, pp. 121-139, 2002. 

  27. E. H. McWhirter,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50, pp. 124-140. 1997. 

  28. R. W. Lent, S. D. Brown, G. Hacker,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47, pp. 36-49. 2000. 

  29. D. S. Rychen, L. H. Salganik,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Gottingen, Germany: Hogrefe & Huber, 2003. 

  30. G. Y. Park,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competencies of career development in the undergraduat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2, No. 2, pp. 181-198, 2009. 

  31. P. Knight, M. Yorke, “Employability and goo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Vol. 8, No. 1, pp. 3-16, 2003. 

  32. G. N. Lee,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ing employ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1 No. 3, pp. 199-225, 2012. 

  33. K. H. Lee, "The relation betwee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sychological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Ph.D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1997. 

  34. Y. G. Lee, S. I. Jang, “A study on the employment mismatch between companies and universities: Focused o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14, No. 1, pp. 31-48, 2011. 

  35. R. Bridgstock, “The graduate attributes we've overlooked: enhancing graduate employability through career management skills,”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Vol. 28, No. 1, pp. 31-44, 2009. 

  36. E. K. Kyeun,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compet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2013. 

  37. J. P. Hong, H. S. Yang,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141-157, 2014. 

  38. S. J. Lee, Y. J. Le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3, No. 2, pp. 27-32, 2012. 

  39. J. S. Kim, K. H. Kim, T. W. Kyung,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of an employment support management system for college students: A case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1, pp. 329-338, 2014. 

  40. I. O. Jeon, "Established business start-up support Impact on The youth of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1, pp. 103-114, 2012. 

  41. E. Y. Yoo, Y. J. Yang, "A study on the dif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the influence on career str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