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사실습 교육방법이 간호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jection Practice Education Methods on Anxiet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19 no.1, 2016년, pp.17 - 24  

최성녀 (강원관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students' anxiety depending on the injection type, education methods, and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Methods: 209 first year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by three factors -injection methods, video watching, and number of pract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사술의 종류와 교육방법 그리고 간호학생 개인의 사전 경험이 학생들이 주사실습을 할 때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학생들이 혈관주사실습에서 느끼는 불안은 근육주사실습에서 느끼는 불안보다 클 것이다.
  • 가설 2: 유사기관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불안은 근무경험이 없는 학생의 불안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3: 모형 연습 후 충분성이 높은 학생의 불안은 연습의 충분성이 낮은 집단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4: 비디오를 시청한 학생의 불안은 시청하지 않은 학생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5: 모형연습 횟수가 많은 학생의 불안은 모형연습 횟수가 적은 학생보다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사술은 간호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기본간호실습 중 주사술은 기본간호학 영역에서 핵심적인 부분으로 실습과정에서 간호학생들에게 불안 수준을 높이는 대표적인 영역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사술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불안을 저하시키고 그들의 기술성취도나 지식수준 등을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교육의 효율적인 수행과 간호학생들의 자신감 및 만족감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간호학생들의 기술성취도는 무엇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가? 간호학생들의 기술성취도는 간호학 선택에 대한 동기, 자신감, 간호실습에 대한 태도 등(Kim, 2002; Kim, 2005; Kwon & Kim, 2002)과 같은 학생들의 내적인 요인의 이해를 통한 교육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 간호학생들의 기술성취도는 또한 교수의 교육방법, 교육과정, 그리고 실습지도내용 등(Kang, 1996; Kim, 2005; Paik, 2004; Song et al.
기본간호실습이 간호학생이 전문적인 간호사가 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대 학생들은 실습실에서 기본간호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여 자기효능감과 만족감을 얻으며, 이는 임상실습교육으로 이어져 실제현장에서 간호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직접 체험하여 고도의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간호기술의 습득은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의 축적으로 이어져 간호사로서의 임상수행능력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간호실습은 간호학생이 전문적 능력을 갖춘 간호사로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기초가 되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된다(Yoo, Yoo, Park, & S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Y. G., & Chun, Y. M. (2014). Effect of simulation-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program -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1), 35-44. 

  2. Gasper, M., & Dillon, P. (2012). Clinical simulations for nursing education. Philadelphia: The F. A. Davis Company. 

  3. Kang, K. S. (1996). Effectiveness of video-record method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education -focused on enema.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3(2), 273-284. 

  4. Kang, K. S., Won, J. S., Kang, H. S., Kim, K. S., Kim, W. O., Kim, M. J., et al. (1998). Effectiveness of medication video as educational instruments in the education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5(1), 81-93. 

  5. Kim, H. S. (2014). Effects of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1), 45-53. 

  6.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ical Journal, 21(11), 65-75. 

  7. Kim, Y. H. (2002).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confidence in basic nursing skill after the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8. Kim, Y. H. (2005). Evaluation of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ocused on measuring blood pressure on the upper arm and sterilized gloving (ope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8-306. 

  9. Kwon, Y. S., & Kim, Y. H. (2002). A study on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of basic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setting. Keimyung Nursing Science, 6(1), 79-90. 

  10. Nam, M. R. (2005).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asepsis technique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0-297. 

  11. Paik, H. J. (2004).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1(1), 13-20. 

  12. Song, K. A., Park, H. J., Yeom, H. A., Lee, J. E., Joo, G. E., & Kim, H. J. (2012).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educational program,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for third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9(3), 322-333. 

  13. Spielberger, C. D., Gorsh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4. Suk, M. H., Kil, S. Y., & Park, H. J. (2002).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nursing students performing intramuscular injec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784-791. 

  15. Won, J. S., Kang, H. S., Kim, K. S., Kim, W. O., Kang, K. S., Kim, M. J., et al. (1998). Effectiveness of medication videos as educational instruments in the education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5(1), 81-94. 

  16. Yeun, E. J. (1999). Effectiveness of video record method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education - focused on intramuscular injection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1), 86-96. 

  17. Yoo, M. S., & Yoo, I. Y. (2003). Effects of OSCE method on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of studen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2), 228-235. 

  18.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27-33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