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실습 안전실태 조사
A Survey on Safety of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in Korea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6 no.2, 2019년, pp.96 - 106  

정승교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신윤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수현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간호학과) ,  최동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정혜선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간호학과) ,  김현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지수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강영미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nursing students during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A total of 106 nursing instructors teaching fundamentals of nursing longer than one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의 간호(학과)대학에서 기본간호학 이론 및 실습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실습 안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활력 징후, 체위변경과 같은 비침습적 실습부터 혈당측정, 정맥주사, 근육주사와 같은 침습적 실습까지 학생의 신체에 다양한 실습을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습 항목별 기본간호학실습 안전은 9개 영역 즉, 투약, 배설, 영양, 활력징후, 산소요법, 활동과 운동, 냉온요법, 폐기물 관리, 위생으로 구분하였다. 실습 항목별로 교수자가 학생의 신체에 술기를 시연을 하는지와 학생들끼리 상대방의 신체에 실습을 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실습 항목별로 신체적 안전 사고 발생률과 신체 부작용, 정서적 안전사고 발생률, 사전동의서를 받는지 조사하였다.
  •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간호(학과)대학에서 기본간호학 이론과 실습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기본간 호학실습 안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기본간호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기본 간호학실습 안전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기본간호학 교과목 관련 특성과 기본간호학실습의 신체적, 정서적 안전, 기본간호학 실습 사전동의서를 받는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기본간호학 교과목 관련 특성에서 기본간호학실습시간은 주당 평균 10.
  • 환자안전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안전과 권리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신체에 침습적, 비침습적 실습을 할 때 그에 따른 위험성과 유익성의 균형을 깊게 숙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국의 기본간호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기본간호학실습 안전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기본간호학실습의 현황과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학계, 사회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위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더 나아가 기본간호학실습을 위한 법적, 제도적 안전장치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전국의 기본간호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기본간호학실습 안전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aslow A.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2nd ed. New York:Van Nostrand Reinhold Publishing Company; 1968. p. 1-240. 

  2. Lin HH.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student nurse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while learn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Technology and Health Care. 2016;S369-S375. https://doi.org/10.3233/THC-151094 

  3. Bensfiled L, Solari-Twadell PA, Sommer S. The use of peer leadership to teach fundamentals nursing skills. Nurse Educator. 2008;33(4):155-158. https://doi.org/10.1097/01.NNE.0000312193.59013.d4 

  4. Kim H, Kim Y.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4):265-276. https://doi.org/10.7739/jkafn.2017.24.4.265 

  5. Chaung S, Choi M, Park JH, Kim H, Song K.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needlestick and sharp injuries, faculty's stress and necessity of informed consent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4):277-285. https://doi.org/10.7739/jkafn.2017.24.4.277 

  6. Wellard SJ, Heggen KM. Are laboratories useful fiction? a comparison of Norwegian and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ing skills laboratories. Nursing and Health Science. 2010;12(1):39-44. https://doi.org/10.1111/j.1442?2018.2009.00481.x 

  7. Redford DS, Klein T. Informed consent in the nursing skills laboratory: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3;42(3):131-133. https://doi.org/10.1111/j.1442-2018.2009.00481.x 

  8. Wearn A, Bhoopatkar H. Evaluation of consent for peer examination:Students reflect on their clinical skills learning experience. Medical Education. 2006;40(10):957-964. https://doi.org/10.1111/j.1365-2929.2006.02557.x 

  9. Lee YW, Seo WS. A study on the conten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650-661. https://doi.org/10.4040/jkan.1998.28.3.650 

  10. Kim J, Kim K, Paik H, Sohng K, Eom M, Oh S, et al.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st for competency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3):362-370. 

  11. Shin S, Yang EB, Hwang E, Kim K, Kim Y, Jung D.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7;19(2):76-82. https://doi.org/10.17496/kmer.2017.19.2.76 

  12. Veronesi L, Giudice L, Agodi A, Arrigoni C, Baldovin T, Barchitta M, et al. A multicentre study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needle stick injuries among students of nursing schools. Annali di Igiene. 2018;30(5):99-110. https://doi.org/10.7416/ai.2018.2254 

  13. Redford DS, Klein T. Informed consent in the nursing skills laboratory: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3;42(3):131-133. https://doi.org/10.3928/0148-4834-20030301-09 

  14. Wason R, Thompson DR. Nursing for dummies or dummies for nurs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3069.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9.02817.x 

  15. Handiyani H, Kurniawidjaja LM, Irawaty D, Damayanti R. The effective needle stick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in the clinical settings: A literature review. Enfermeria Clinica. 2018;28(supp 1):167-171. https://doi.org/10.1016/S1130-8621(18)30060-3 

  16. Zhang X, Chen Y, Li Y, Hu J, Zhang C, Li Z, et al.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Nanjing, China. Workplace Health & Safety. 2017;66(6):276-284. https://doi.org/10.1177/2165079917732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