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6년, pp.519 - 526  

윤정현 (서울대학교) ,  강석진 (전주교육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인식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133명)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 전략은 협력적 활동지 작성을 강조하였다. 수업 처치는 '산과 염기'와 '중화반응'에 대하여 6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업 성취도 검사, 학습 동기 검사,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에서 사전 화학 성취도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하위 수준 학생들이 상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도움을 받을 기회가 많아져서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을 수 있다.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서 처치 집단의 교정 평균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mall group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classes on students'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ttitude toward science lessons, and perception of small group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Four 11th-grade classes (N=133) at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라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혼자 하는 것보다 친구들과 협력해서 학습할 때 더 쉽게 느껴진다(상위 16.
  • 이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인식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133명) 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그러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도 지식을 각 개인의 두뇌에 저장하는 것 보다 협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과정에 초점을 두게 된 것에는 어떤 배경이 있어서인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지식의 양과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Cook, 2012). 따라서 학습도 지식을 각 개인의 두뇌에 저장하는 것 보다 협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과정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Gilbert, 2007).
소집단 학습이란? 소집단 학습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동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함께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형태이다(Jung, 2006). 소집단 학습은 학습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기존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고, 과제 설계가 정교하지 못할 경우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등 한계점도 나타냈다(Jung, 2006).
소집단 학습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소집단 학습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동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함께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형태이다(Jung, 2006). 소집단 학습은 학습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기존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고, 과제 설계가 정교하지 못할 경우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등 한계점도 나타냈다(Jung, 2006). 또한 우수한 학생이 다른 학생과 지식을 공유하지 않으려는 경향도 보고되었다(Thomchick,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lavi, M. (1994). Computer-mediated collaborative learning: An empirical evaluation. MIS Quarterly, 18(2), 159-174. 

  2. An, W-H. (2004). Education statistics for thesis. Goyang: Korean studies information. 

  3. Bae, J., Kim, J., Kim, E., & So, K. H. (2015).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4), 476-485. 

  4. Chang, B. Y. (2012). Smartphone-based chemistry instrumentation: Digitization of colorimetric measurements.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33(2), 549-552. 

  5. Cho, H-H., & Choi, K.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6. Cook, V. (2012). Learning everywhere, all the time. The Delta Kappa Gamma Bulletin, 78(3), 48-51. 

  7.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TOSRA) Handbook. Melbourn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8. Gilbert, J. (2007). Knowledge, the disciplines, and learning in the digital age. Educational Research of Policy and Practice, 6, 115-122. 

  9. Griffin, P., McGaw, B., & Care, E. (2011).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New York: Springer. 

  10. Hooper, S. (1992).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3), 21-38. 

  11. Hooper, S., & Hannafin, M. J. (1991). The effects of group composition on achievement, interaction, and learning efficiency during computerbased cooperative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39(3), 27-40. 

  12. Jarvela, S., Naykki, P., Laru, J., & Luokkanen, T. (2007). Structuring and regulating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ith wireless networks and mobile tool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4), 71-79. 

  13. Jung, H. M. (2006). Writing education & collaborative learning. Seoul: Sam-in. 

  14. Kang, S., & Noh, T. (2000). Effect of concept learning strategy emphasizing social consensus during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250-261. 

  15. Keller, J. M., & Subhiyah, R. (1993). Manual for the course interest survey (CIS). Tallahassee, FL. 

  16. Kirschner, P. A., Strijibos, J., Krejins, K., & Beers, P. J. (2004). Designing electronic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3), 47-66. 

  17. Kim, H. J., & Leem, J. H. (2013).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model based on smar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7(2), 67-72. 

  18. Kumar, N., Belhumeur, P. N., Biswas, A., Jacobs, D. W., Kress, W. J., Lopez, I. C., & Soares Joao V. B. (2012). Leafsnap: A computer vision system for automatic plant species identificat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7577, 502-516. 

  19. Kwak, Y., Kim, C. J., Lee, Y. R., & Jeong, D. S.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20. Lee, I., Leem, J., Sung, E., & Jin, S.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behavioral elem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9(2), 27-36. 

  21. Lee, J., Koo, Y. M., Shin, K., Kim, D., Kye, B., & Jung, S. W.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opera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M 2012-30. 

  22. Leem, J., & Kim, S. (2013).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social efficacy in smart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1), 1-24. 

  23. Lim, G. (2011).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2), 33-45. 

  24. Lim, H., Choi, K., & Noh, T. (1999).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1), 137-145. 

  25. Lin, Y-T., Chang, C-H., Hou, H-T., & Wu, K-C. (2015). Exploring the effects of employing Google Docs in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on achievement, concept representation, and attitude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3(3), 1-20. 

  26. Liu, T-C., Peng, H., Wu, W-H., & Lin, M-S. (2009). The effects of mobile natural-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5E learning cycle: A case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344-358. 

  27. Noh, T., Cha, J., Jeon, K., Jeong, T., Han, J., & Choi, Y. (1999). The effects of grouping method i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3), 400-408. 

  28. Noh, T., Lim, H., Cha, J., Noh, S-G., & Kwon, E-J. (1997).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pplying the LT model to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7(2), 139-148. 

  29.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The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report 2015-74.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trategy for driving SMART education. The report of strategy committee for national information (2011. 6. 29.). 

  31. Park, S-K. (2013).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7), 727-737. 

  32. Prinsen, F. R., Volman, M L. L., Terwel, J., & Eden, P. (2009). Effects on participation of an experimental CSCL programme to support elaboration: Do all students benefit? Computers & Education, 52(1), 113-125. 

  33. Reilly, M., & Shen, H. (2011). Shared note-taking: A smartphone-based approach to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in lectures. The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Collaborative Edit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34. Renzi, S., & Klobas, J. (2000). Steps toward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large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3(3), 317-328. 

  35. Rogers, Y., & Price, S. (2008). The role of mobile devices in facilitating collaborative inquiry in SITU.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3(3), 1-21. 

  36. Ross, J. A., & Smyth, E. (1995). Differentiating cooperative learning to meet the needs of gifted learners: A case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December, 19(1), 63-82. 

  37. Rummel, N., & Spada, H. (2005). Learning to collaborate: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promo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omputer-mediated setting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4(2), 201-224. 

  38. Shapiro, A., & Niederhauser, D. (2003). Learning from hypertext: Research issues and findings. In D. H. Jonassen & P. Harri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nd ed., pp. 605-620). Mahan: LEA. 

  39. Shih, J. L., Chuang, C. W., & Hwang, G. J. (2010). An inquiry-based mobile learning approach to enhancing social science learning effectivenes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4), 50-62. 

  40. Shon, M. (1999).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to CAI.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 159-178. 

  41. Singhanayok C., & Hooper, S. (1998).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er control on students' achievement, option selections, and attitud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6(2), 17-36. 

  42. Thomchick, E. (1997). The use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logistic classes,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18(2), 191-205. 

  43. Walsh, E., & Cho, I. (2012). Using evernote as an electronic lab notebook in a translational science laboratory. Journal of Laboratory Automation, 20(10), 1-6. 

  44. Williams, A. J., & Pence, H. E. (2011). Smart phones, a powerful tool in the chemistry classroom.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8(6), 683-686. 

  45. Yang, C., Jo, M., & Noh, T. (2015).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using smart technologies and science teachers' opinion on their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29-840. 

  46. Yun J., Ahn, I., & Noh, T. (2015).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dapted to students' conceptions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325-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