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ing factors of Ego-Resilience and Empowerment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292 - 300  

이하나 (한중대학교 간호학과) ,  김주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대학 3,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6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Duncan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변수들의 평균값은 간호전문직관 $3.84{\pm}.47$, 자아탄력성 $3.51{\pm}.58$, 임파워먼트 $2.79{\pm}.51$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관계는 자아탄력성(r=.455, p<.001), 임파워먼트(r=.325, p<.001) 변수 모두 간호전문직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와 자아탄력성 간에도 r=.696(p<.001)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 모두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이 임파워먼트보다 간호전문직관에 더 크게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23.0%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의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인 접근전략의 개발, 반복연구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ports a descriptive correla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ego-resilience, and e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of 195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four colleges.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st to 31th 2016.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 시와 C시 소재 4년제 간호학과 재학중인 3,4 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의 정도와 제 변수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의 정도를 조사하고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 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업연한 4년제 간호학과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자아탄력성, 임파워먼트의 정도와 제 변수와의 관계, 간호전문직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전문직관이란 무엇인가?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를 담당하는 자의 간호활동 과정에서나 그 직분 자체에 대한, 전문직으로써의 의식적인 견해이다[3].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중요한 개념인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통제를 바탕으로 융통성 있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다[10]. 자아가 탄력적인 사람은 새로운 상황에서 오는 긴장 및 인내의 수준을 조절하고 여러 상황에 유연 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이 가능해진다[10,11].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중요한 개념인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적절한 자아통제를 바탕으로 융통성 있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다[10]. 자아가 탄력적인 사람은 새로운 상황에서 오는 긴장 및 인내의 수준을 조절하고 여러 상황에 유연 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이 가능해진다[10,11]. 특히 자아가 탄력적인 간호대학생은 임상간호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 해결에 좋은 영향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Choi, N. S. Ha, "The Relationship Among Image of Nurses, Self Esteem and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2, pp. 54-63,2009. 

  2. H. J. Park,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1, no. 2, pp. 227-236,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2.227 

  3. E. J. Yeun, Y. M. Kwon, O. H. Ahn,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6, pp. 1091-1100, 2005. 

  4. H. S. Kang, K. J. Cho, N. H. Choe, W. O. Kim, "Re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2, no. 3, pp. 470-481, 2002. 

  5. K. B. Kim, H. S. Kim, K. H. Lee, "Clinical Nurses Professional Conflic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1, no. 3, pp. 492-505, 2001. 

  6. Y. M. Kwon, E. J. Yeun,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285-292, 2007. 

  7. J. I. Hwang, F. Lou, S. S. Han, F. Cao, W. O. Kim, and P. Li, "Professionalism: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 56, no. 3, pp. 313-318,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9.00710.x 

  8. S. S. Han, M. H. Kim, E. K. Yun,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4, no. 1, pp. 73-79, 2008.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8.14.1.073 

  9. J. A. Seong, E. Y. Yeom, Y. S. Do,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1, pp. 798-808,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798 

  10.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e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no. 2, pp. 1067-1079,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0.5.1067 

  11. H. J. Park, "Perceived stress, coping, depression and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97. 

  12. D. J. Kim, J. S.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244-254,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244 

  13. T, Velthouse. "Cognitive Element of Empowerment: An interpreta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5, 1990. 

  14. C. H. Gibson, "A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3, no. 2, pp. 354-361, 199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1.tb01660.x 

  15. T. C. DiLiello, J. D. Houghton,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1, no. 4, pp. 319-337, 2006.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114 

  16. Y. S. Kang, Y. J. Choi, D. L. Park, I. J. Kim,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2, pp. 143-151, 2010.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2.143 

  17. M. H.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8. 

  18. E. H. Kim, "Relationship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ol. 4, no. 1, pp. 532-541, 2016. DOI: http://dx.doi.org/10.15205/kschs.2016.4.1.532 

  19. H. J. Cho, J. U. Lee, "A Study on Self-Esteem,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498-8508,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498 

  20. B. Bolton, J. Brooking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ra personal empowerment",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43, no. 2, pp. 131-142,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90-5550.43.2.131 

  21. H. S. Kim, "Mediator Effect of Empowerment on Readiness for Self-sufficiency of Poor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6, no. 3, pp. 135-157, 2004. 

  22. J. E. Ko, M, H. Kim, E. J. Kim, J. H. Kim, J. E Eom, H. A. Lee.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vol. 45, no. 31, pp. 29-44, 2011. 

  23. S. H. Ko, B. Y. Chu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no. 3, pp. 335-344, 2004. 

  24. Y. S. Ham, H. S. Kim,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ticipating graduation according to nursing educational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3, pp. 363-373, 2012.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3.363 

  25. J. Block,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no. 2, pp. 349-361,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0.2.349 

  26. W. J. Park, J. Y. Han, "The effect of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365-375,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365 

  27. Y. S. Park, Y. H. Kwon, "Ego Resil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3, pp. 341-350,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41 

  28. C. S. Hy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Happiness", Unpublished do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010. 

  29. Y. H. Choi, C. S. Ju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04-461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04 

  30. M. J. Schank, D. Weis,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s' value development",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vol. 17, no. 5, pp. 226-233, 2013. DOI: http://dx.doi.org/10.1097/00124645-200109000-00002 

  31. Y. I. Han,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144-15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