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604 - 4613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정창숙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임파워먼트의 관계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3월 2일부터 3월 29일까지 D시 소재 4년제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AMOS 19.0을 이용하였고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셀프리더십은 3.36점, 자기효능감은 3.02점, 임파워먼트는 3.28점이었고,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r=.306, p<.001),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r=.291, p<.001),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r=.559, p<.001)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beta}=.53$(C.R.=2.885,p=.004),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은 ${\beta}=.42$ (C.R.=1.999, p=.046), 자기효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은 ${\beta}=.45$ (C.R.=3.412, p<.001)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셀프리더십 향상과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Self-leadership and Impowerment in the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02nd March to 29th March.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al questionnaire from 166 nursing students in 2 Nursing department in D cit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파악하고, 매개변인으로서 자기효능감 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현장실습전의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 알파 계수를 산출하여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도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매개효과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더라도, 그 효과 크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해하여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보았다. 이는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전에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향상 및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란? 그 결과 간호대상자들은 간호학생들을 신뢰하지 못해 간호학생들이 자신에게 간호술기를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4].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간호대학생에게 셀프리더십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데,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성장 뿐 아니라, 사회로의 진입에도 도움을 주는 요소로서 ‘자기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기를 통제하는 자율성이 강조된 자기관리와 내적동기부여’로서[5], 셀프리더십이 높아지면 스스로 책임지고 행동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에 대한 보상을 정하여 틀에 맞추어 제공하며, 목표달성을 위하여 끊임없이 연습하는 등 자율성과 열정을 수반하게 된다[6].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의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를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파악한다. 4)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개인의 임파워먼트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 중 개인의 임파워먼트는 자기 신뢰와 역량, 영향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동기부여, 자율성, 자기통제감 등의 증진, 역할이나 조직에의 몰입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정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다는 정적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J. Park,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16(1), 14-23, 2010. 

  2. S. L. Kim., J. E. Le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2005 

  3. S. J. Hwa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205-213, 2006 

  4. K. S. Kang, Effectiveness of Video-Record Method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Education -Focused on Enema,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3(2), 273-283, 1996. 

  5. G, A, Seomun.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utcome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1(1), 45-48, 2005. 

  6.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Prentice-Hall, Englewood Cloffs, N, J, 1983. 

  7. Y. S. Lee, S. H. Park, J. K. Km.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6), 229- 240, 2014. 

  8. Christyn, L. D. Mike, S. & A. S. Mar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5), 469-485, 2001. DOI: http://dx.doi.org/10.1080/00223980109603713 

  9. Kanter, R. M..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2nd ed). New York, NY: Basic Books, Inc, 1971. 

  10. S. J. Han.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132-146, 2000. 

  1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iffs, NJ ; Prentice-Hall 1986. 

  12. J. Hyun, J. E. Cha, T. E. Kim. Predic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by a School Grade,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0(2), 443-465, 2006. 

  13. H. S. Kim. Middle school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2002. 

  14. A. Y. Kim, I. Y.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2001. 

  15. Bolton, B., & Brooking, J.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Rehabilitation Psychology, 43(2), 131-142,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90-5550.43.2.131 

  16. A. R. Joo The Effect of the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Internet Game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17. J. Y. Lee, M. H. Cho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3(3,4), 241-253, 2012. 

  18.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216-225, 2011. 

  19. Y. S. Lee, S. H. Park.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6), 229-240, 2014. 

  20. S. K. Chung.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7160-716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7160 

  21. K. M. Cha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self-efficecy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6(10), 185-196, 2005. 

  22. J. A. Lee, & W. Y. Choi. Comparision between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and career aspiration. Disability & Employment, 20(2), 55-76, 2010. DOI: http://dx.doi.org/10.15707/disem.2010.20.2.003 

  23. J. A. Lee. Medic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to majo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5), 2329-2344, 2012. DOI: http://dx.doi.org/10.15703/kjc.13.5.201210.2329 

  24. C.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2(2), 196-20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