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Relationship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4 no.1, 2016년, pp.532 - 541  

김은희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26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임파워먼트는 서로 밀접한 영향을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임파워먼트를 파악하고 동시에 그 관련성을 규명하여 효율적인 간호교육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의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에 따른 임파워먼트 정도 간의 서술적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서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찾고, 또한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알아보고, 긍정적인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파워먼트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조직발전에 있어 간호전문직관과셀프리더십은 구성원들을 임파워시켜 개인적 변화와 업무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8). 개인이 자신의 일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활동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임파워먼트는 개인의 무력감을 제거하고 신념을 부여하는 과정이다9)10).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간호전문직이 갖고 있는 자율성과 독립성은 간호사의 직업만족, 임상수행능력, 조직몰입의 정도를 높여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갖게 한다2)3)4).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간호전문직관의 형성은 병원현장에서 간호의 미래를 주도할 간호대학생에게 뚜렷하고 근본적인 간호이념과 목표를 가지게 하며2)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은 간호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직업에 대해 만족을 얻고, 간호실무의 발전에기여하며, 또한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역할변화에 직면했을 때 더 유연하게 대처한다5). 또한 건강관리체계 내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환자치료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간호관을 형성하게 되며 올바른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2).
최근 학생들이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자신의 적성보다는 취업의 보장이나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전공을 선택했으나, 엄격한 교육과정과 위계질서, 과중한 학습량과 취업에 대한 걱정으로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취업의 용이성과 직업의 안정성이 간호직에 대한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간호의 전문적 기술과 지식은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가치있고 보람있는 일로서 전문직에 대한 인식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J, Ha NS. The relationship among of nurses, self esteem and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1):54-63. 

  2. Moon YS, Han SJ. Impact of self-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72-79. 

  3. Hallin K, Danielson, E.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16(1):2-70. 

  4. Hwang JI, Lou SS, Han SS, et al. Professionalism: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56(3):313-318. 

  5. Cook TH, Gilmer MJ, BEss CJ. Beginning students' definitions of nursing: An inductive framework of professional identi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3;42(7):311-317. 

  6. Park HJ.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2): 227-236. 

  7. Choi YH, Jung CS.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7):4604-4613. 

  8. Kanter RM.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1977. 

  9. Conger J, Kanungo R.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471-482. 

  10. Yoo SO, Lee SY, Han SO, et al. Empowerment,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406-414. 

  11. Shin YK. Management respecting man's dignity: approach of organizational behaior. Seoul :Dasan Publishng, 1997. 

  12. Park HH, Park KS, Yom YH, et al. Impact of clinical nurses' power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36(2):244-254. 

  13. Joo MK, Shin GY. Nursing image and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3):510-521. 

  14. Seong JA, Yeom EY, Do YD.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1):798-809. 

  15. Cho HH, Kim NH.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and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at nursing students perceiv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 20(4):548-557. 

  16. Lim SY, Kim SY, Choi HM. The relationships of major satisfaction, self 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f Culture Technology, 2015;1(2):2348-0366. 

  17. Yang NY, Moon SY.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216-225. 

  18. Park JS, Park B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task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2):150-158. 

  19. Jun SY, Rho HJ, Lee JH.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empowerment on the nursing task performance of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2):55-66. 

  20. Choi SH, Jan IS, Park SM, et al.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2014;20(2):206-214. 

  21. Kim YM, Lee YJ. Influence of job stress and empowerment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58-265. 

  22. Song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sion of long-term are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5):2304-2314. 

  23. Oh EH, Chung BY.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391-401. 

  24. Yeun EJ, Kwon YM, Ahn OH. De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25. Kim MH.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8. 

  26. Manz CC. The art of self 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perntice-Hall, Englewood Cloffs, N, J, 1983. 

  27. Kim HS. Middle school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sil University, 2002. 

  28. Thomas KW, Velthouse BA.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0;15:666-681. 

  29. Spreitzer GM. Psychological empowerment at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5;39:483-504. 

  30. Choe MH, Kim JH, Nam ES, et al.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5;24(2):122-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