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가림치료 교육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s about Amblyopia Occlusion Therap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369 - 378  

한승희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시아동의 시력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림치료는 부모의 협조 하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림치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약시아동의 시력을 향상시키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본 연구는 2010년 3월 5일부터 10월 5일까지 G시 소재 일 대학병원 안과 외래에서 통원 치료하는 약시아동 어머니 60명(실험군 29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총 24주 동안 가림치료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면대면 상담, 전화 상담 등). 자료수집에서 시력측정은 유아용 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0.0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 및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력개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우측, F=40.64, p<.001, 좌측, F=10.28, p<.001), 양육 스트레스가 낮았고(F=9.85, p=.003), 부모 효능감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22.1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은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부모효능감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her's education about amblyopia occlusion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efficacy and the visual acuity improvement of the amblyopia child. The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이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약시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가림치료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과 전화 상담, 면담을 병합하여 만든 교육 프로그램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관련분야의 전문가 집단(간호학과 교수 3인, 안과의사 1인, 안과 수간호사 1인)과 약시아동 어머니 2인에게 자문을 구해 수정, 보완하여 총 24주 프로그램 구성으로 최종 완성하였다.
  • 본 연구는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이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이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가림치료 교육 프로그램이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약시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가림치료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가림치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약시아동의 시력, 약시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시를 치료하기 위한 가림치료의 실패원인은 무엇이 있으며, 가장 큰 원인은? 따라서 약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약시 치료의 목적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올바르게 교육하여 시력이 좋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동기부여 하고 처음 시작부터 가림치료를 철저히 실시하도록 하여야 한다[5]. 가림치료의 실패원인으로 무관심, 열악한 가정환경, 환자의 정서상태, 굴절이상에 대한 불완전 교정, 그리고 불충분한 가림치료 실시 등을 들 수 있는데 환자와 보호자가 가림치료의 중요성을 잘못 인지하여 불충분한 가림치료를 실시하였던 것 이 가장 큰 실패의 원인으로 나타났다[6].
약시를 치료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무엇인가? 5%로 추정된다[1] 약시는 출생 후 시자극이 조절되는 민감기에 적절한 자극이 주어지지 않아서 시력발달이 이우러지지 않은 경우이고, 정확한 상에 의한 시자극 결핍이나 비정상적인 두 눈 상호견제작용에 의하여 단안 또는 양안에 나타나는 시력저하로서 검사상 안저의 기질적 이상이 없으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하면 정상시력으로의 회복이 용이하다[2]. 약시가 확인된 시점에서 “바로”, “종일가림을”, “높은 순응도로”, “충분한 기간 동안 시행하는 것” 등이 시력개선을 위한 최적조건으로 볼 수 있다[3].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 군과 대조군의 부모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 것은 교육 실시 후 몇 주째인가? 가림치료 어머니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중재 후에 부모 효능감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선행연구를 찾아 볼 수 없었기에 이에 대한 비교 논의는 어렵지만 다른 관련 연구결과들과 비교해 보면,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어머니는 부모 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30], 내면 아이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이 증가하였고[31],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전반적으로 증진되었다는[31] 보고가 있어 본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효능감이 12주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4주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측, 좌측 시력개선 정도는 24주에서 시력개선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부모 효능감이 약시아동의 시력 향상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기에 단기간의 교육 프로그램보다는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추후 관리가 시력개선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blyopia[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cited 2015 August 28].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easeView.JspmenuId31&bbsSeq4&nttSeq20716&nPage1&searchKey&searchWork&sttsDataSeq. 

  2. von. Noorden, G. K. Gunter,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6th ed. USA, Mosby, pp.246-248, 2002. 

  3. H. C. Ku, S. Y. Lee, Y, C. Lee, "Clinical Features and Counterplans of Monocular Amblyopia Failed to Occlusion Therapy", The Journal of Opthalmological society, Vol.46 No.7 pp.1158-1166, 2005. 

  4. S. H. Park, I. N. Youn, S. H. La, "The Effect of Atropinization of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patients with Amblyopia", The Journal of Opthalmological society, Vol.44, No.10, pp.2292-2298, 2003. 

  5. J. K. Ahn, J. M. Hwang, "Efficacy of Occlusion Therapy in Amblyopia Patients Older than 9 Years of Age", The Journal of Opthalmological society, Vol.43, No.2, pp.1724-1729, 2002. 

  6. Y. H, Jin, Strabismology, Ulsan University Press, pp.208-230, 1993. 

  7. H. C. Ku, S. Y. Lee, Y. C. Lee, "Clinical Features and Counterplans of Monocular Amblyopia Failed to Occlusion Therapy", The Journal of Ophthalmological Society, Vol.46, No.7, pp.1158-1166, 2005. 

  8. S. S. Rho, H. S. Yang, Y. H. Chang, Y. J. Lew, J. B. Lee, "The Effect on Outcome of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The Journal of Ophthalmological Society, Vol.48, No.4, pp.535-540, 2007. 

  9. G. H. Roh, Y. A. Cho, "Compliance of Patching Therapy fo Amblyopia", The Journal of Ophthalmological Society, Vol.34, No.11, pp.1171-1177, 1993. 

  10. S. B. Park, H. N. Yoo, J. W. Jeon, S. H. Choi, H. R. Wang, K. W. Kim, J. Y. Kim, T. S. Ko,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Competence in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46, No.6, pp.596-602, 2007. 

  11. Y. W, Kwon, H. J. Choi,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o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Teacher Education Research, Vol,49, No.2, pp.151-170, 2002. 

  12. G. S. Lee, Y. H. Yom,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responses of children with burns and parental anxiety and depress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15, No.2, pp.155-163, 2009.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2.155 

  13. E. S. Ji, K. J. Cho, M. J. Wang, "An inquiry on the coping about anxie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0, No.2, pp.188-195, 2004. 

  14. S. J. Chung, S. H. Park, "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ir Children's to Elementary School on Parenting Stress and Ways of Copin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Vol.9, No.1, pp.135-160, 2009. 

  15. K. R. Choe, "The Effect of Stress-coping Training on Parenting Stress and Self Efficacy in mothers of disability children under integr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16. Y. J. Shin, H. S. Kim, "Parent Efficacy as an Applicable Concept of Andragogy: Implications for Disabled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6, No.1, pp.59-84, 2003. 

  17. M. H. song, Y. S. Song, Y. J. Kim,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elf-Efficacy in Early Childhood Mot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5, pp.165-183, 2007. 

  18. I. H. lee, J. E. Park, S. Y. Choi,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19, No.4, pp.81-91, 2010. 

  19. H. S. Choe, O. B. Chung, "The causal relations model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 Focusing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12, No.1, pp,51-67, 2005. 

  20. E. A. Lee, "Study on the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mpetence of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fluency disorders",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8, No.2, pp.203-218, 2009. DOI: http://dx.doi.org/10.18541/ser.2009.09.8.2.203 

  21. Abidin, R. R,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Charlottessiv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22.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 P,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1978. 

  23. S. J. Shin, M. J. Chung,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116, No.4, pp.27-42, 1998. 

  24. M. J. Greenwald, M. M. Parks, "Amblyopia in Tasman W & Jaeger EA, ed",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Philadelphia, JB Lippinco, Vol.1, pp.1-22, 1991. 

  25. L. K. Smith, J. R. Thompson, G. Woodruf, F. Hiscox, "Factors affecting treatment compliance in amblyopia", Journal of Ophthalmol Strabismus, Vol. 32, pp.98-101, 1995. 

  26. H. R. Chang, S. H. Hong, D. W. Huh, "The Clinical outcomes of Occlusion for Monocula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years", Journal of Ophthalmol Strabismus, Vol.44, No.5, pp.1146-1152, 2003. 

  27. S. J. Moon, S. G.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Vol.3, No.3, pp.1-16. 2013. 

  28. H. Y. Kwon, M. Y. Kwon,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13, No.1, pp.58-65, 2007. 

  29. J. H. Ahn, D. C. Lee, Y. R. Kwon, "Effects of a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Inner-Child Counseling on Satisfac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ing Efficacy for Par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pp.2919-2731, 2015. 

  30. K. M. Koh, S. K. Shim, "A Study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Young Child Communication in relation with there PSWS Program",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7, No.3, pp.83-10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