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K-CSE)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여대생을 중심으로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Focused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3, 2016년, pp.151 - 161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조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K-CSE) scale. Methods: The K-CSE scale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hods.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evinson[1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K-CSE)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피임 자기효능감(CSE) 도구[12]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추후 우리나라 여대생들의 피임 자기효능감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한국어판 CSE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검증결과, 본 도구가 국내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임 자기효능감 측정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도구와의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성적 자율성(SAM) 도구[9]와의 상관관계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 두 척도 간 상관관계는 .
  • 본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다른 문화인 우리나라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30]에서 동일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은 오류임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 피임 자기효능감(CSE) 도구[12]는 성적활동이 활발한 10대부터 4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임사용에 대한 효능감을 사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적용이 적절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K-CSE)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원도구의 18문항 중 5문항이 문항-총점의 상관계 수가 .
  • 본 연구의 목적은 피임 자기효능감 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활동이 활발해지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CSE 도구[12]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맞추어 적용할수 있도록 한국어판 피임 자기효능감(Korean version of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K-CSE)에 대한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돔사용 자기효능감 도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콘돔사용 자기효능감 도구[14]는 성적 상황에서 콘돔사용을 가능케 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한 도구이다. 그러나 이 도구는 콘돔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 제한되어 있어 콘돔이라는 특정 피임방법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피임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콘돔사용 자기효능감 도구를 변환한 도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했던 콘돔사용 자기효능감 도구[14]를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콘돔’이라는 단어를 ‘피임’이라는 단어로 바꾼 후 음주와 관련된 한 문항을 추가해서 만들었고, 타당도를 측정하지 않고 신뢰도만 측정한 도구이다[11].
개인의 성적 표현이나 성 행동이 자유로워지고 활발해진 배경은 무엇인가? 여성의 성에 대한 허용과 개방이 가속화되는 환경 속에서 이성교제의 증가, 성 가치관의 변화 등 개인의 성적 표현이나 성 행동은 보다 자유로워지고 활발해졌다[1]. 특히 입시제도의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스러운 상황을 맞이한 대학생들은 혼전 성행동에 대해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반면, 성지식은 낮고, 성관계 경험률이 증가하는 성 관련 문제가 야기되어왔다[2].
피임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피임 자기효능감은 성관계 상황에서 피임행위를 실제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의 능력과 신념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임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확신이다. 피임 자기효능감은 성교 상황에서 피임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피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력한 예측요인이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YH, Moon ST, Kang HS.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66-175. 

  2. Hur MH, Ahn HY, Kwak EA, Kim KM, Park JY, Lee JR. A study on sexual behavior, and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contraception and attitude of contra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 (3):267-275. 

  3. Jaung AH, Jung YJ, Kim MY. Affecting factors sexu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555-563. 

  4. Kim JA. Analysis of sexual related predicting factor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the Convert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5;1(1):15-26. 

  5. Park HM. Abortion in Korea.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1. 

  6. Shin KR, Park HJ, Bae KE, Cha C.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6):624-633. 

  7. Cho YH, Ra JS. Contraceptive practi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5):59-70. 

  8. Kim YJ.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and safer sexual behavior in the experienced university students of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356-366. 

  9. Chang SB. Development of sexual autonomy measurement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1):106-115. 

  10. Koh KS. Mediating effects of birth control knowledge in relation to effects of high schoolers' birth control self-efficacy on birth control attitude [master's thesis].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14. p. 50. 

  11. Hwang SW, Chung C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ontraception behavior of un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2):159-169. 

  12. Levinson RA. Contraceptive self efficacy: A perspective on teenage girl's contraceptive behavior. The Journal of Sex Research. 1986;22(3):347-369. 

  13. Alvarez C, Villarruel AM, Zhou Y, Gallegos E. Predictors of condom use among Mexican adolescen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10;24(3):187-196. 

  14. Kang HS. An explanatory model of condom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p. 130. 

  15. Lee IS, Cho JY.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areer trac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8;21(2):75-88. 

  16. Brien TM, Thombs DL, Mahoney CA, Wallnau L. Dimensions of self-efficacy among three distinct groups of condom user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1994;42(4):167-174. 

  17. Hale PJ, Trumbetta SL. Women's self-efficac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preventive behavio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6;19(2):101-110. 

  18. Levinson RA, Sadigursky C, Erchak GM. The impact of cultural context on Brazilian adolescents' sexual practices. Adolescence. 2004;39(154):203-227. 

  19. Ip WY, Sin LL, Chan DS. Contraceptive self-efficacy and contraceptive knowledge of Hong Kong Chinese women with unplanned pregnanc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7): 2416-2425. 

  20. Levinson RA, Wan CK, Beamer LJ.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scale: Analysis in four sampl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98;27(6):773-793. 

  21. Munro BH.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Williams & Wilkins; 2002. p. 1-480. 

  22. Kim HC. Statistical analysis alone to complete from analysis to reporting. Seoul: Hakjisa; 2013. p. 1-461.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orle Health Organozation; 2013[cited 2013 June 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4. Streiner DL, Norman GR.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4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 1-416. 

  25. Cho GY, Kim YH. Factors affecting sexual autonomy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1):6710-6718. 

  26. Kim MJ.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contraception behaviors of marrie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2):141-156. 

  27. Rickert VI, Sanghvi R, Wiemann CM. Is lack of sexual assertiveness among adolescent and young adult women a cause for concern?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2002;34(4):178-183. 

  28. Lee JY, Lee 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sexual self-assertiveness scale for fema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7(1):47-62. 

  29. Chang SB. Women's health: Research on women's health; Sexual autonomy of married wome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6;5(1):71-89. 

  30. Henson RK, Roberts JK.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ublished research: Common errors and some comment on improved practi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6;66(3):393-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