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인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on Brand Loyalty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1 no.3, 2016년, pp.1 - 10  

윤서중 (백석예술대학교 경영행정학부 의료행정과) ,  김영훈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heck up weather a brand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recognized by the consumers as users of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has effects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brand trust, attitude, and loyalty. This study suggests the hypothesis that a brand valu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인증이라는 브랜드 가치가 의료 소비자의 입장에서 브랜드에 대한 신뢰,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친 영향을 규명해 보고,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신뢰, 태도, 충성도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실증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인증의 브랜드 가치가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 태도 및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와 브랜드 신뢰와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 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 이 연구는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의료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고객이 인식하는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가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한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의료기관 인증이 브랜드 가치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H1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0 :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사회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기능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사회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기능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사회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기능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가치와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인증 브랜드에 대한 가치 즉, 감정적·사회적 가치가 높을수록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환자의 안전과 신뢰 및 의료기관의 호감도를 향상시키고 의료기관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였다. 둘째,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능적 가치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환자의 안전과 신뢰, 호감도 및 인증 브랜드에 의한 사회적 위상, 자존감 향상 등은 의료기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의료서비스 가격의 적절성 및 효과성 등은 의료기관에 대한 호감, 만족감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앞선 결과에서 브랜드 가치 중 기능적 가치가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는데, 브랜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 느낌이나 감정의 변화, 또는 사회적 위상 향상 등 보다는 지불한 비용의 효용 가치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의료기관 인증 획득에 따른 마케팅 전략과는 별도의 가격차별화 전략 또는 지불한 비용대비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대한 전략 구상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의 감정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기능적 가치는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가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으로 아직까지 소비자들에게 의료기관 인증의 인지도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라 판단된다. 넷째,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한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태도는 의료기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의료기관 인증 브랜드에 의한 의료기관의 브랜드 신뢰와 태도가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됨으로 의료기관 인증 획득 이후에도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환자 안전 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 등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신뢰와 태도에 대한 기대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격적인 의료기관 인증제는 언제부터 시행되었는가? 정부는 2007년 6월부터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선진화 방안 일환으로 의료기관 인증제 도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2008년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과제로서 제도 개선을 위한 인증 전담기구의 설치 등이 정책방향으로 제시되었다. 이후, 2010년 7월, 의료법 등 관련 법규를 개정하여 2011년 1월부터 본격적인 의료기관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의료기관 인증제를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하여 Kim et al.[1]은 환자의 안전 보장과 의료의 질 향상을 목표로 의료소비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된 제도로서, 상대적으로 전문적인 의료 지식이 부족한 의료소비자들의 요구에 적극 부응하는 제도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Y, Kim K, Kim K, Kim H, Moon S, Yoon S, et al. The study on effects of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hospital management,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2. Sweeney JC, Soutar GN.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2001; 77: 203-270. 

  3. Wang Y, Lo HP, Chiand YY. An integrated framework for customer value and 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performance: A customerbased perspective from China, Managing Service Quality 2004; 14(2/3): 169-182. 

  4. Park E. A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evidence of customer in tourist hotel on brand verdict: mediating bran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brand attitude [dissertation]. Seoul: Dongguk University; 2008. 

  5. Kim N. Relations among airline service quality, value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dissertation].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9. 

  6. Elelna DB, Luis MA. Brand trust in the context of consumer loyal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001; 35(11/12): 1238-1258. 

  7. Erdem, Tulin, Joffre Swait. Brand credibility, brand consideration and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04; 31(1): 191-198. 

  8. Lee Y, Lee J. Relationships among brand identification, brand affect, and brand loyalty : utilitarian products vs. hedonic products, Adevertising Research 2004; 65: 23. 

  9. Kim D. The effects of coporate associations on brand loyal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0. Low GS, Lamb CW.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000; 12(4): 11-19. 

  11. Wilkie WL. Consumer behavior, New York: John Willey & Sons; 2004. 

  12. Keller KL Understanding brands, branding and brand equit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Direct Marketing 2003; 5(1): 7-20. 

  13. Kim J. A study on effects of parent brand equity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on extended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2010. 

  14. Chaudhuri A, Holbrook MB.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2001; 65(2): 81-93. 

  15. Lee H.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rand personality, identification, trust, and loyalty of the hotel enterprise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ersity; 2004. 

  16. Parasuraman A, Grewal D.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quality-value-loyalty chain :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000; 28(1): 168-174. 

  17. Holbrook MB.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06; 59(6): 714-725. 

  18. Rik R. Brand managemen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Pearson Education: FT Prentice Hall; 2003. 

  19. Yang, Zhilin, Peterson RT. Customer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ole of switching costs, Psychology and Marketing 2004; 21(10): 799-822. 

  20. Park K. The influence of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on purchase intention by consumer trust and attitude [dissertation]. Gyeonggi: Kyungwon University; 2009. 

  21. Yun J, Lee Y, Lee Y. The impact on recognized value, satisfaction, and royalty of customer by service quality of online shopping mall,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review 2010; 13(1): 5-28. 

  22. Noh M. An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value on the trust and use intention of smart phone banking : mediating effect of the trust.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 24(5): 2599-2615. 

  23. Jang B, Yoon T, Song S. The effect of brand value of boutique hotel on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 24(2): 817-835. 

  24. Reichheld FF, Schefter P. E-loyalty :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2000; Vol.78: 105-113. 

  25. Bowen JT, Shoemaker S. Loyalty : A strategic commitment, The Cornell HRA Quarterly 2003; 44(5/6): 32. 

  26. Kim M.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congrue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loyalty in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 [dissertation]. Seoul: Sejong University; 2004. 

  27. Park S, Hwang J. Effect of in-store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Ewha Management Review 2005; 23(2): 69-93. 

  28. Huh J. The impacts of in-store sensory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