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상의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urt Dress Coat in the Daehan Empir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6, 2016년, pp.17 - 31  

이경미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court dress coat in the Daehan Empire in order to make replicas of the artifacts. Following steps were undertaken in the study : literature research of the laws of the era, drawing of the design, embroidering gold work, and ta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관대례복의 도식은 어디에 실렸었는가? 대한제국기에 착용된 문관대례복은 1900(광무 4)년 4월 17일에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과 칙령 제15호 <문관대례복 제식>을 통해 제정 발표되었고1), 도식은 다음해인 1901(광무5)년 9월 3일 관보(官報)의 부록에 실렸다2)(Lee, 2010). 1904년과 1905년에는 관보(官報)의 정오(正誤)를 통해 상의 전면에 자수된 무궁화 개수의 조정이 있었고3), 1906년에는 칙령 제75호 <문관대례복 제식 개정건>을 통해 형태의 변화와 함께 흉부(胸部)의 자수가 모두 없어졌다(Lee, 2011a; Choi, 2011).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은 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가? 대례복 일습은 대례모, 대례의, 조끼, 바지, 검, 검대와 장갑으로 구성되었다.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은 문관이 착용한 최초의 서구식 예복이라는 점, 대한제국이 근대 주권 국가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 문양을 도입하였다는 점과 함께 당시에 제정된 무궁화가 현재 대한민국의 국화(國花)로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Lee, 2012).
문관대례복은 주로 어떤 상황에서 착용하였는가? 착용 대상은 문관 칙임관과 주임관이었고 후에는 친임관이 추가되었다. 대표적인 착용 상황은 내외국 황제에 대해 접견례를 행할 때였다(Lee, 2011b). 착용기간은 처음 제정된 1900년부터 1910년 한일 합방 때까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K. (2008). A Study on Court Dress in Gungnaebu of Daehan Empire. Korean Studies Quarterly, 31(2), pp. 3-39. 

  2. Choi, K. (2011). Preparation of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ppeared in the changed system of the western-style full dress uniform in 1905-1906.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39, pp. 5-45.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Report on a list of cultural inheritance cloth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 Republic of Korea: Copyworks. 

  4. Kim, Y. (2015). A Study of the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Western Man's Coat in the Early of the 19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1), pp. 136-149. 

  5. Kyungwoon museum (2012). Men's formal wear of Daehan Empire. Seoul, Republic of Korea: Designiz 

  6. Lee, K. (2010). The Institution of Court Costume in the Year 1900(the 4th Year of Korean Empire Gwangmu) and the Symbolism of Mugunghwa, the Rose of Sharon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3), pp. 123-137. 

  7. Lee, K. (2011a). A Study on the Revision and the Loss of National Identity of Western-styled Court Costume in the Daehan Emp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4), 103-116. 

  8. Lee, K. (2011b).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Costume at the Reenactment of Diplomatic Ministers' Reception Ceremony in the Korean Empire. Han'guk Munhwa, 56, pp. 139-184. 

  9. Lee, K. (2012). Uniform begins :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Western-style Court Costume in Korean Empire.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10. Lee, K.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urt Dresses in the Daehan Empire-focused on the coat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6), pp. 56-68. 

  11. Lee, K. (2015). A Study on the Embroidery of the Chevron of Western-style Court Dress in the Daehan Empir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4), pp. 35-48. 

  12. National folk museum (2011). Special exhibition of Hats and shoes. Seoul, Republic of Korea: Hong Design. 

  13. National folk museum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04). Embroidery Design-Korean embroidery design II. Seoul, Republic of Korea: Daewonsa. 

  14. KOSCO Costume Exhibition-The Origin of Style (2014). 

  15. Official Gazette of Daehan Empire[Guanbo; 官報] (1900-1910). 

  16. Scott, A. (2008). A-Z of Goldwork with Silk Embroidery, South Australia, Australia: County Bumpkin Publications. 

  17. Sherwood, J. (2010). Savile Row : The Master Tailors of British Bespoke. London, United Kingdom: Thames & Hudson Ltd. 

  18. Shinozaki, F. [篠崎文子]. (1997). A study on the shape of men's wear-an investigation on tailoring of western coat of early Meiji era[紳士服の形態硏究-明治初期の洋服仕立てに關する一考察-],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Costume, 16, pp. 139-148. 

  19. Shinozaki, F. [篠崎文子]. (1999). A study on the shape of men's wear-an investigation on the tailoring of court dress[紳士服の形態硏究-文官大?服の仕立てに關する一考察-],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Costume, 18, pp. 144-150. 

  20. Sketches of officials' Western style costume[Guanbokjandoan;官服章圖案]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