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9, 2016년, pp.31 - 42  

이재철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효련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치과위생사 156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urnout of dental hygienists on their job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156 dental hygienists.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Maslash Burnout Inventory scale and the tool developed by Kang was used. The burnout and job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직무 몰입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서 치과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몰입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서 치과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직무소진은 각종 스트레스성 질환을 초래하는 등 심리적, 육체적으로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1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숙달성이 요구되는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직무 몰입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고도의 디지털, 빅데이터 시대에 맞는 치과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숙달성이 요구되는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직무 몰입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고도의 디지털, 빅데이터 시대에 맞는 치과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치과위생사 156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하여 나온 조사결과는?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소진이란 어떤 용어인가? 직무소진(job burnout)이란 만성적인 스트레스의 산물로서 스트레스의 독특한 유형으로 여겨지며[4], 개인에 대한 강한 정서적 요구가 장기화되어 발생하는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고갈상태를 의미한다[7]. 소진은 직업상 스트레스에 대한 장기적이고 복합적 반응이자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간호사, 교사 등 사람을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다양한 휴먼서비스 전문직에서 발생하는 업무관련 증후군이다[4]. 직무소진의 주요증상은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성취감 감소이다[8].
직무소진이란 무엇인가? 직무소진(job burnout)이란 만성적인 스트레스의 산물로서 스트레스의 독특한 유형으로 여겨지며[4], 개인에 대한 강한 정서적 요구가 장기화되어 발생하는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고갈상태를 의미한다[7]. 소진은 직업상 스트레스에 대한 장기적이고 복합적 반응이자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간호사, 교사 등 사람을 대상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다양한 휴먼서비스 전문직에서 발생하는 업무관련 증후군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Y. Kim, J. O. Choi, M. G. Seo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 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12, No. 1, pp. 213-223, 2012. 

  2. B. Poland, M. Dooris, "A green health future: The settings approach to building health, equity and sustainability." Critical Public Health, Vol. 20, Issue. 3, pp. 281-298, 2010. 

  3. S. H. Jeong, Y. K. Seo, E. Y. Son, Y. H. Choi, K. B. Song,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auxil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 29, No. 3, pp. 281-292, 2005. 

  4. S. H. Kim, Y. S. Yang, "A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burnout of nurse in Korea."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8, pp. 387-400, 2015. 

  5. A. P. Brief, "Turnover among hospital nurses-a suggested mode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6, No. 8, pp. 5-58, 1976. 

  6. Y. J. Oh, Y. H. Choi,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on somatization in nurses: In convergence area."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10, pp. 415-424, 2015. 

  7. W. B. Schaufeli,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5, No. 3, pp. 293-315, 2004. 

  8. Maslach. C, Jackson. S. 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 2, pp. 99-113, 1981. 

  9. Cordes. C. L, Dougherty. T. W,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8, pp. 621-656, 1993. 

  10. Y. M. Cho, "The influence of autonomy, competency, relatedness on burnout among nurse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2, No. 6, pp.491-500, 2014. 

  11. Y. S. Kim, E. Y. Chung, J. Na. Kim, Y. J. Seo.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0, No. 4, pp. 75-88, 2014. 

  12. Y. S. Kim, H. S. Yoon, "Burnout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coping behavior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7, No. 4 pp. 225-233, 2007. 

  13. S. B. Jeong, E. M. Choi, J. S. Choi.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 38, No, 1, pp. 50-58, 2014.. 

  14. Y. S. Kim, H. S. Yoon, "A study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8, No. 4 pp. 291-297. 2008. 

  15. I. H. Park, J. H. Yoon, H. E. Kim, B. I. Kim, H. K. Kwon,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 employee work in for dental instit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 32, No, 3, pp. 339-349, 2008. 

  16. J. S. Kang, "A study of interrelationships, and effects on withdrawal intention of social workers' commitment for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7, pp. 267-294, 2008. 

  17. S. J. Lee, H. Y. Cho, "Work reality of dental assista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53-159, 2015. 

  18. Y. G. Kim, M. S. Choe, G. T. Jeong, Y. H. Kim, "A study on relation to empowerment of dental hygienist and immersion of duty and devotion of organiza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8, No. 4, pp. 76-110, 2003. 

  19. O. J. Ju, K. S. Kim, H. O. Le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among dental hygienists in the region of J".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7, No. 4, pp. 251-256, 2007. 

  20. G. W. Jang, G. R. Lee,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6, No. 1, pp. 35-39, 2006. 

  21. I. S. Lee, M. S. Park, M. G. Jeong,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burnout - based on the professions working in financial compani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20, No. 6, pp. 2879-2900, 2007. 

  22. J. Y. Han, E. M. Choi, K. Y. Ji, "A study on the strategy to develop human resources in the green health industr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4, pp. 297-306, 2012. 

  23. S. J. Oh, H. S. Yang, "A study on related to test and evaluation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9, pp. 45-54, 2013. 

  24. S. J. Lee, G. Y. Cho, S. H. Song, J. S. Jang, K. I. Lee, T. R. Lee, "Solution for efficient vital data transmission and storing in m-health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5, pp. 227-235, 2015. 

  25. G. Y. Cho, "Research on a method for efficient u-healthcare data transmission in M2M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2, No. 4, pp. 251-257, 2014. 

  26. K. A. Jang, H. S. Lee, "Factors Affecting the Self Esteem of a Convergence Dental Hygienis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77-18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