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mpact on Job Enthusiasm: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117 - 125  

김종래 (대진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함현진 (대진대학교 미래평생학습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조직몰입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격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적 좌절감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것으로,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다귀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에는 개인-직무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조직몰입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개인 차원의 능력이나 목적, 요구 등이 직무와 부합하고 있고 직무열의를 보이고 있는 반면, 조직 차원의 조직적합성에서는 조직 가치나 구조 등에 있어서 일치정도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에서의 일치성과 친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과 일체감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wanted to look at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of social welfare officials on the job enthusiasm, but als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The study found that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enthusiasm of pub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초점으로 하여 개인 -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조직 적합성,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는 것이며, 이에 조직몰입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검증하는 것이다.
  •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전문성이 더 요구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직무와 조직에 얼마나 적합한지에 따라서 직무에 열의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개인 및 조직의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아울러,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조직에 보다 더 원활히 적응하며, 이직률을 낮추고, 직무에 대한 열의와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행정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표 8>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 그렇기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률을 낮추고,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업무만족, 이직률 등에는 다양한 요인(임금, 업무환경, 조직문화, 조직구조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의 직무와 조직에 대한 적합성이 조직몰입과 직무열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전문성이 더 요구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직무와 조직에 얼마나 적합한지에 따라서 직무에 열의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기도 P시와 U 시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조직에 보다 더 원활히 적응하며, 이직률을 낮추고, 직무에 대한 열의와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행정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업무만족, 이직률 등에는 다양한 요인(임금, 업무환경, 조직문화, 조직구조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의 직무와 조직에 대한 적합성이 조직몰입과 직무열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전문성이 더 요구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직무와 조직에 얼마나 적합한지에 따라서 직무에 열의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개인 및 조직의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5. 개인-조직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 가설2.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 가설3. 조직몰입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K. Lee. (2016). The Effects of Public Social Worker's Psychological Resour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Job Attitude. Grag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 J. H. Kim.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 Focused on the SSO(Stress-Strain-Outcome) Model -.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3.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12). Basic Statistical Yearbook of Korean Social Workers. 

  4. S. T. Park. (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of social workers : focusing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5. G. H. Kang. (2013). A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Grag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6. Edwards, J. R. (1991).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John Wiley & Sons. 

  7. M. O. Choi & T. Y. Yoo. (2005).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Person-Job, and Person-Supervisor Fit 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Focus on interaction Effects among Three Types of Fi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8(1): 139-162. 

  8. Rynes, S., & Gerhart, B. (1990). Interviewer assessments of applicant "fit":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Personnel psychology, 43(1): 13-35. 

  9. Kristof, A. L. (1996).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49(1): 1-49. 

  10. Lauver, K. J., & Kristof-Brown, A. (2001).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9(3): 454-470. 

  11. H. J. Hyun. (2002)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Person-Job, and Person-Person Fit on Member'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Job, and Other Person : Application of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12. J. Y. Park. (2004). Person-Organization, Person-job and Person-Leader Fit: Exploration of related variables and effects of different cultur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Cable, D. M., & Judge, T. A. (1996). Person-organization fit, job choice decisions, and organizational ent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7(3): 294-311. 

  14. Goodman, S. A., & Svyantek, D. J. (1999). Person-organization fit and contextual performance: Do shared values matte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2): 254-275. 

  15. Meyer, J. P. & Allen, N. J. (1997).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16. B. G. Yoo & Y. G. Lee. (2019). The Impact of Public Employees'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Job Engagement.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3(4): 59-77. 

  17. Angle, H. L., & Perry, J. L. (1981). An empirical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14. 

  18. W. A. Kahn.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19.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5(3): 293-315. 

  20. A. R. Oh. (2013). Empirical study on the job engagement :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1. Maslach, C. and M.P. Leiter.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Jossey Bass, San Francisco, CA) 

  22. M. Hu. & W. J. Kwak. (2016). Effects of Person-Job Fit, Job Engagement, and Co-Worker Exchange on Co-worker Job Engagement. Productivity Review, 30(3): 283-305. 

  23. Y. J. Kim & J. H. Bong. (2019). The Effects of Person-Environment(Organization, Job, Supervisor) Fit on the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by F&B and Kitchen. the Korean Food Service Association, 15(1): 167-180. 

  24. Geunea Yang, Seongmin Ryu, & Yoonhee Hon. (2018). Impacts of Airline Crews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and Team Satisfaction on Job Engagement and Service Behavior.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31(12): 2169-2190. 

  25. G. O. Lee.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iti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gagement on Food Service Employee.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6(5): 137-154. 

  26. S. M. Yun & S. J. Kwon. (2017). The Influence of GWP Organization Culture of Korean Public Enterprise on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19(1): 23-51.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