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풋고추 농약다성분분석 정도관리용 분석표준물질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Reference Material for Proficiency Test of Pesticide Multi-residue Analysis in Green-pepper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3, 2016년, pp.211 - 220  

김종환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연구센터) ,  최성길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연구센터) ,  오영곤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연구센터) ,  권영상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연구센터) ,  홍수명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화학물질안전과) ,  성문현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  이세자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황선영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서종수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독성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풋고추 시료를 이용하여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10종의 농약성분을 풋고추 시료에 처리하여 균질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조제하였으며, 국제적인 지침서인 'ISO Guide 35', 'ISO Guide 13528' 그리고 'EURL-PT'에서 요구하는 균질성, 안정성, 인증값 및 표준불확도가 확립된 농약다성분 풋고추 분석표준물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석표준물질의 병간 표준편차와 병내 표준편차는 인증값의 1.7~3.7%로 매우 우수한 균질성을 나타냈으며, 불균질성에 의한 표준불확도는 인증값의 0.8~1.15% 매우 낮아 분석표준물질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실온 $20{\sim}30^{\circ}C$)에서는 7일, 냉동($-20^{\circ}C$)에서는 30일 동안 안정하였으며, 초저온 상태($-80^{\circ}C$)에서는 bifenthrin, Fenpropathrin을 제외한 8종이 245일 동안 안정하였다. 개발된 농약다성분 풋고추 분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는 8기관의 시험소를 평가한 결과, 일부기관에서는 6성분을 검출하지 못하였으며 일부 농약성분에 대해서는 의심스러운(questionable) 또는 부적합(unacceptable)의 평가를 받았다. 동일한 분석표준물질에 대해서 각 기관마다 분석결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런 결과를 통해서 잔류농약의 분석결과 신뢰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풋고추 분석표물질을 활용한 정도관리 또는 숙련도 평가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alytical reference material of green-pepper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According to the ISO Guide 35, ISO Guide 13528 and EURL-PT protocol, the homogeneity, stability, assigned value and uncertainty were calculated to assess if it was suitable to be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풋고추 시료를 사용하여 10종의 농약이 함유된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국제적으로 공인된 지침서(ISO Guide 35, 2006; KS A ISO Guide 35, 2005; ISO Guide 13528, 2005; KS Q ISO 13528, 2009)와 EURL-PT (European Union Reference Laboratories-Proficiency Test) 및 IUPAC, AOAC International Harmonized Protocol (Amadeo et al., 2014; Thomp son et al., 2006)에 근거하여 균질성, 안정성, 인증값 및 측정불확도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잔류농약 분석기관 중 8곳의 기관을 선정한 후, 정도관리 평가시험을 수행하여 농약다성분 분석표준물질에 대한 분석결과 값을 z-value 통계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풋고추 시료를 이용한 다성분 농약 분석용 표준물질이 농약시험 분석기관간 비교실험에 활용되는 정도관리용 시료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a)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란? 농약은 각종 병해충 및 잡초의 효율적인 방제와 농작물의 증산과 품질향상을 위하여 현대 농업에 있어 필수적인 농자재이다. 하지만 농약 성분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독성과 잔류성으로 인하여 안전성 문제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약 성분의 위험성은? 농약은 각종 병해충 및 잡초의 효율적인 방제와 농작물의 증산과 품질향상을 위하여 현대 농업에 있어 필수적인 농자재이다. 하지만 농약 성분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독성과 잔류성으로 인하여 안전성 문제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잔류농약에 대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잔류수준 평가를 위한 잔류농약검사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국은 시험분석결과 신뢰성이 떨어지는데, 어떤 부분에서 개선해야하는가?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시험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잔류농약분석 표준물질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잔류농약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정도관리용 농약다성분 표준물질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환경화학분야의 분석측정방법이 더욱 정밀하게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정도관리(quality control, QC)에 대한 중요성은 상당히 증가되고 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측정농도와 불확실성을 검정하는 정도관리는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Baek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madeo, R. and F. Alba (2014) EURL-Proficiency Test-FV-16, Pesticide Residue in Sweet Pepper Homogenate. 

  2. Baek, S. O., K. H. Kim and G. S Heo (2004) Air Quality Measurements and QC/QA(I)-Principles and Methodology. J. KOSAE, 20(2):237-249. 

  3. Chang, H. R., J. Y. Lee, Y. J. Lee, H. R. Kang, C. S. Kim and K. Kim (2011) Quality control system for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of pesticide produc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4):529-544. 

  4. Grimalt, G., S. Harbeck, P. Shegunova, J. Seghers, B. Sejerqoe-Olsen, H. Emteborg and M. Dabrio (2015) Develoment of a new cucumber reference material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feasibility study for material processing homogeneity and stability assessment. Anal Bioanal Chem, 407(11):3083-3091. 

  5. International database for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OMAR), http://www.comar.bam.de. Accessed 3 mar 2014. 

  6. ISO Guide 13528. Statistical methods for use in proficiency testing by interlaboratory comparisons. 200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 ISO Guide 35. Reference materials-Genaral and statistical principles for certification. 200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8. Kandler, W., R. Schuhmacher, S. Roch, P. Schubert-Ullrich and R. Krska (2004) Evaluation of the long-term performance of water-analyzing laboratories. Accred. Qual. Assur, 9(1): 82-99. 

  9. Kim, Y. H., K. B. Song, S. K. Shin, J. S. Lee, G. T. Jeong, E. J. Hong, J. J. Park and S. M. Yu (2010) Preparation of wastewater-based reference materials for heavy metal analysis and interlaboratory study.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3(3):295-303. 

  10. KS A ISO Guide 35. Certification of reference materials-General and statistical principles. 200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 

  11. KS Q ISO 13528. Statistical methods for use in proficiency testing by interlaboratory comparisons. 200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 

  12.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Results of safety and manage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2015. http://www.naqs.go.kr. 

  13. Otake, T., N. Itoh, Y. Aoyagi, M. Matsuo, N. Hanari, S. Otsuka and T. Yarita (2009) Development of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quantification of two pesticides in brown rice. J. Agric. Food Chem, 57:8208-8212. 

  14. Otake, T., T. Yarita, Y. Aoyagi, Y. Kurida, M. Numata, H. Iwata, M. Watai, H. Mitsuda, T. Fujikawa and H. Ota (2013) Development of appl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quantification of organophosphorus and pyrethroid pesticides, Food Chemistry, 138:1243-1249. 

  15. Thompson, M., S. L. R. Ellision and R. Wood (2006) The International Harmonized Protocol for the Proficiency Testing of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ies. Pure Appl. Chem, 78(1):146-196. 

  16. Yarita, T., T. Otake, Y. Aoyagi, Y. Kuroda, M. Numata, H. Iwata, M. Watai, H. Mitsuda, T. Fujikawa and H. Ota (2014) Development of soybean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Talanta, 119:255-2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