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성 요인, 임금수준 만족 그리고 임금제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ustice, Pay Level Satisfaction and Pay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39 no.3, 2016년, pp.118 - 128  

이정길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광희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moderating effect of pay system on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s pay level satisfaction. By default, it would be a justice find out a positive impact on pay levels satisfaction members feel. It will examine the media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정성의 초기 연구[1]가 분배공정성을 개념화 시켰다면, 이후 연구들은 분배공정성과 구성원의 태도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혀 기업에 관리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분배공정성은 임금만족과 임금인상의 만족, 이직의도, 직무만족과 같은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태도변수에 영향을 미친다[2, 5, 6, 7, 8, 20].
  • 따라서 본 연구는 공정성 요소인 절차공정성 및 분배 공정성과 구성원들의 임금수준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임금제도별로 구성원들이 느끼는 임금수준 만족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기준에서 살펴본 임금 만족 모형에서 임금수준 만족을 따로 분류하여 각 공정성 차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임금만족 차원 중 임금수준 만족에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새로운 임금수준 만족 영향요인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 본 연구는 조직의 임금공정성과 구성원들이 느끼는 임금수준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과 더불어 임금제도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임금 만족의 개념은 통합적으로 공정성과 같이 연구되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임금만족의 개념 중 하나인 임금수준과의 임금공정성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요인과 임금만족 요인의 하나인 임금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사이에 임금제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앞서 본 연구는 과거 어떠한 선행연구들이 연구되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기본적으로 공정성 요인들과 임금만족 요인간의 관계에는 기본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 조절역할을 추정하기 위한 모형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곱셈 형태인 상호작용항을 새롭게 만들어 회귀식에 투입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과 임금제도의 상호작용항을 만들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임금제도의 큰 두 가지 분류인 호봉제(pay step system)와 연봉제(annual pay system)를 비교하여 구성원들이 느끼는 공정성에 따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연봉제의 경우 구성원들은 자신의 연봉이 책정되어지는 과정과 업무성과평가의 절차공정성과 연관이 될 것이라 예측이 되어 지며, 호봉제의 경우 다른 구성원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호봉에 따른 임금의 분배에 있어서의 분배공정성과 연관이 되어질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 이론에서 임금수준을 구성원과 기업 모두 가장 중시하는 요인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금만족의 요소 중에 하나인 임금수준 만족도를 분석에 사용하여 공정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임금제도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실증연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기준에서 살펴본 임금 만족 모형에서 임금수준 만족을 따로 분류하여 각 공정성 차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임금만족 차원 중 임금수준 만족에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새로운 임금수준 만족 영향요인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H1 : 공정성요인은 임금수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1-a : 분배공정성은 임금수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1-b : 절차공정성은 임금수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2 : 공정성요인이 임금수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임금제도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venthal는 형평성 이론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Leventhal[17]은 형평성 이론은 보상을 수여 받은 사람들의 공헌에 따라 분배되어지는 단일 기준을 사용하는 공식이라 하였고, 이러한 형평성 이론은 다음에 논의될 절차공정성과 구분되어져 분배공정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Jasso[13]는 실제로 받은 보상과 공정한 보상이라고 생각되는 것의 비교를 통해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이지각될 수 있다고 하여 분배공정성이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는 것임을 주장하였으며, Folger and Konovsky[5] 는 구성원들이 받은 보상의 양에 대해서 지각된 공정성이라 정의하면서 분배공정성을 절차공정성과 구분하였다.
임금제도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금제도의 유형에는 연공급, 성과급, 직능급 및 직무급 등이 있다. 첫 번째, 연공급은 흔히 각 구성원에게 지급되는 기본급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개인의 근속연수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제도이다.
호봉제(pay step system)와 연봉제(annual pay system) 각각의 임금제도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는 공정성은? 본 연구에서는 임금제도의 큰 두 가지 분류인 호봉제(pay step system)와 연봉제(annual pay system)를 비교하여 구성원들이 느끼는 공정성에 따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연봉제의 경우 구성원들은 자신의 연봉이 책정되어지는 과정과 업무성과평가의 절차공정성과 연관이 될 것이라 예측이 되어 지며, 호봉제의 경우 다른 구성원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호봉에 따른 임금의 분배에 있어서의 분배공정성과 연관이 되어질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J.S.,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L. Berkowitz (Ed.), Advance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 Academic Press, 1965, Vol. 2, pp. 267-299. 

  2. Alexander, S. and Ruderman, M.,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Social Justice Research, 1987, Vol. 1, No. 2, pp. 177-198. 

  3. Dyer, L.D. and Theriault, R., The determinants of pay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6, Vol. 61, No. 5, pp. 596-604. 

  4. Folger, R. and Konovsky, M.A.,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9, Vol. 32, No. 1, pp. 115-130. 

  5. Folger, R., Taking rights seriousl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6. Greenberg, J., Determinants of perceived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6, Vol. 71, No. 2, pp. 340-342. 

  7. Greenberg, J.,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1990, Vol. 16, No. 2, pp. 399-432. 

  8. Greenberg, J., Overcoming egocentric bias in perceived fairness through self-awarenes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1983, Vol. 46, No. 2, pp. 152-156. 

  9. Greenberg, J., Reactions to procedural injustice in payment distributions : Do the means justify the en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7a, Vol. 72, No. 1, pp. 55-71. 

  10. Heneman, H.G. and Schwab, D.P., Work and rewards theory, In D. Yoder and H.G. Heneman, Hr.(Eds.), ASPA Handbook of personnel and industrial Relations, Washington, DC: Bureau of National Affairs, 6(1)-6(22), 1979. 

  11. Heneman, H.G., III. and Schwab, D.P., Pay satisfaction : Its multi-dimensional natrue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1985, Vol. 20, No. 2, pp. 129-141. 

  12. Heneman, H.G., III., Pay satisfaction,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985, Vol. 3, JAI, pp. 115-139. 

  13. Jasso, G., A new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American Socilogical Review, 1980, Vol. 45, No. 1, pp. 3-32. 

  14. Konovsky, M.A., Folger, R., and Cropanzano, R., Relative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employee attitudes, Representative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1987, Vol. 17, No. 1, pp. 15-24. 

  15. Kwon, Y.M., On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kill of Organization on Their Job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10. 

  16. Lawler, E.E., III., Pa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w York : McGraw-Hill, 1971. 

  17. Leventhal, G.S., Fairness in social relationships, In Thibaut, J.W., Spence, J.T., and Carson, R.C.(eds.), Contemporary Topics in Social Psychology, Morristown, NJ : General Learning Press, 1976, pp. 211-240. 

  18. Leventhal, G.S., Karuza J., and Fry, W.R., Beyond fairness : A theory of allocation preferences, In Miikula, G. (ed.), Justice and Social Interaction, NY : Springer-Verlag, 1980, pp. 167-218. 

  19. Lind, E.A. and Tyler, T.R.,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Y : Plenum, 1988. 

  20. McFarin, D.B. and Sweeney, P.D.,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2, Vol. 35, No. 3, pp. 626-637. 

  21. Milkovich, T.G. and Newman, M.J., Compensation(3rd ed), Chicago: Irwin., 1987. 

  22. Moorman, R.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1, Vol. 76, No. 6, pp. 845-855. 

  23. Park, D.-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2, Vol. 35, No. 3, pp. 87-94. 

  24. Price, J.L. and Mueller, C.W.,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6, Vol. 24, No. 3, pp. 543-565. 

  25. Thibaut, J. and Walker, L., Procedural justice : A psychology analysis, Hillsdale, NJ : Erlbaum, 1975. 

  26. Wallace, M.J., JR. and Fay, C.H., Compensation theory and practice, Belmont, CA : Wadsworth, 1983. 

  27. Weiner, N., Determinants and behavioral consequences of pay satisfaction : A comparison of two models, Personnel Psychology, 1980, Vol. 33, No. 4, pp. 741-757. 

  28. Wi, K.T., A Study on the Justice Perception on Pay Satisfaction Dimensions, Kumoh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