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철도는 고속도로에 비하여 저탄소 친환경적인가?
Does High-Speed Rail Have Superiority over Motorway in Terms of CO2 Emission?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8 no.5 = no.79, 2016년, pp.83 - 93  

강태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장현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identify eco-friendly competitiveness between (regional) motorway and high-speed rail(HSR) from the perspective of $CO_2$ emission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 In order for an analysis of low-carbon competitiveness between the 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양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어느 수단이 저탄소 친환경적인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친환경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발전소의 발전 현황 및 고속철도 운영 현황을 반영하여 국내 고속철도의 CO2 배출량을 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송실적을 이용하여 인·km당 CO2 배출량을 계산하고 이를 수단 간 비교를 위한 CO2 배출 원단위 지표로 사용한다.
  • 본 연구는 고속철도가 고속도로에 비해 친환경적이라는 인식이 사실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고속철도 운영실적을 바탕으로 CO2 배출 원단위를 산정하여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친환경경쟁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친환경경쟁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두 수단 간 비교를 위해서 동일한 조건의 지표를 산정해야 한다. 비교를 위한 지표는 승객수송 인·m당 CO2 배출량으로 설정하였으며 단위는 gCO2e/인·m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발전소 운영현황 하에서 고속철도와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발생되는 CO2의 양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어느 수단이 저탄소 친환경적인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친환경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속 300km의 고속철도가 시속 100km의 고속도로보다 저탄소 친환경적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저탄소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다수의 국내외 연구들이 고속철도가 고속도로보다 저탄소 친환경적이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수단의 친환경 경쟁력을 검토한 연구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공정한 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2:The engine displacement is less than 1,000CC.
  • 시나리오 A-1은 본 연구에서 적용한 CO2 배출계수와 재차인원이며, 타 시나리오들은 이 값을 기준으로 배출계수가 증가하거나 재차인원이 감소한 상황을 나타낸다. 그리고 시나리오 C-3은 승용차의 CO2 배출계수가 기준 대비 20% 증가(199.3gCO2e/km)하고 재차인원은 20% 감소(1.24인/대)한 가장 열악한 조건을 가정한 것이다.
  •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할 때 발생되는 CO2 배출량은 발전소 유형별로 사용되는 주요 에너지원의 CO2 배출계수에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가 운행되는 시간대에 발생되는 CO2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5시에서 익일 2시까지의 발전소별 발전량과 CO2 배출계수를 Table 2와 같이 구하였다.
  • 시나리오 분석은 제조사의 배출계수보다 실제 고속도로의 배출계수가 높고, 재차인원은 감소할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서 보수적인 관점에서 고속철도와 비교분석하기 위한 과정이다. 그러나 가장 열악한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 C-3의 경우에도 최종적인 CO2 배출 원단위는 160.
  • 배출계수를 이용한다. 이때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유형별 비율은 2013년 연평균 비율이 유지된다고 가정하여 전력 1kWh를 생산할 때 0.555g의 CO2가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한다. 그리고 고속철도의 연간 전력 소비량과 고속철도의 연간 수송실적은 2013년도 철도 통계연보에서 제시한 경부고속선의 연간 전력 소비량 및 연간 인·거리 수송실적 자료를 적용한다.
  • 본 연구에서 고속철도가 친환경경쟁력이 낮다는 결론이 도출된 근거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는 화력발전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전력기반 수단의 친환경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화력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발전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기술 도입 초기에 필요한 에너지와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는 철도보다 도로가 더 효율적인 이유는?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각 산업 부문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도로부문은 국토교통부의 계획을 기반으로 친환경자동차 도입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기존에 설치된 도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능동적인 방안이다. 그러나 철도의 경우 분진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기부상열차와 같은 친환경열차를 도입하려면 새로운 철도노선을 건설하거나 개조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수반되는 수동적인 방안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각 수단의 친환경기술 도입 초기에 필요한 에너지와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는 철도보다 도로가 더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속철도는 무슨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가? 고속철도는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필연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국내의 경우 화력발전 비율이 66.
철도사업의 장점은? 고속철도(KTX)는 2004년 국내에 도입된 이후 운행지역과 차량편성이 증가하고 있다. 철도사업의 장점으로 경제성과 소요통행시간 절감 외에도 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도로에 비해 친환경적일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고속철도와 고속도로의 친환경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연구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다(김병관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kerman J., 2011. The role of high-speed rail in mitigating climate change - The Swedish case Europabanan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6, 208-217. 

  2. Campos J. and G. de Rus, 2009. Some stylized facts about high speed rail: A review of HSR experiences around the world, Transport Policy, 16(1), 19-28. 

  3. Chang B. and A. Kendall, 2011. Life cycle greenhouse gas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California's highspeed rail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6, 429-434. 

  4. Davies R. and L. Thompson, 2009. Energy consumption and $CO_2$ impacts of high speed rail: ATOC analysis for Greengauge 21. April. 

  5. IAEA, 2006. A Guide of life-cycle GHG emissions from electric supply technologies. 

  6. Janic M., 2003. High-speed rail and air passenger transport: a comparison of the operat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Journal of Rail and Rapid Transit Part F, 217(4), 259-269. 

  7. John P., 2009. The case for high speed rail: A review of recent evidence, Royal Automobile Club Foundation for Motoring. 

  8. Kim, Byungkwan, J. Lee, H. Kim, J. Lee, 2014. An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and GHG emission per unit of rail and road transpor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7(3). 216-222. (김병관, 이진선, 김현구, 이재영, 2014.철도와 도로 수송부문 의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분석, 한국철도 학회 논문집, 17(3), 216-222) 

  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8. Study 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tandard Guideline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for Roadway and Railway Projects. 5th ed., 278. (한국개발연구원, 2008. 도로.철도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278) 

  10. Lee, Jaeyoung, Y. Kim, C. Lee, Y. Rhee, 2012.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GHG emission for domestic railroad transport based on IPCC guide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5(4), 408-412. (이재영, 김용기, 이철규, 이영호, 2014. IPCC 가이드라인을 이 용한 국내 철도수송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15(4), 408-412) 

  11. Miyoshi C. and M. Givoni, 2014. The environmental case for the high-speed train in the UK: Examining the London-Manchester route,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8, 107-126. 

  12. O'Toole R., 2008. High-speed rail: The wrong road for America, Policy Analysis No.625, The CATO Institute, Washington, D.C., October 31, 2008. 

  13. Randall P. D., F. John, J. M. William, 2009. High speed rail(HSR) in the United States, CRC Report for Congress. 

  14.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2. 

  15. Todorovich P. and E. Burgess, 2013. High-speed rail and reducing oil dependence, Transport Beyond Oil, Island Press/Center for Resource Economics, 14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