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삶의 만족도와 임종기 치료 선호도 관련성
Self-transc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212 - 220  

이정인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이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삶의 만족도, 임종기 치료선호도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의 노인 208명을 대상으로하고 자료수집은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초월 정도는 2.79점이며, 삶의 만족도 정도는 9.97점, 임종기 치료선호도 정도는 3.24점으로 나타났다. 자기초월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F=3.38, p=.011)에서와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 (F=13.88 p<.001)에서, 삶의 만족도는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F=24.42, p<.001)에서 유의하게 높게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자기초월은 삶의 만족도(r=.559, p<.001),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r=.182, p=.008), 영성요인( r=..324, p<.001), 가족요인(r=.224, p<.001)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삶의 만족도와 영성요인(r=.165, p=.017),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과 가족요인(r=.278, p<.001),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과 통증요인(r=.146, p=.035)이 유의한 순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자기초월이 임종기 치료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초월과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고 임종기 대상자 관리를 위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transc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end-of-life care in elderly patients. Method: This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tudy period was between August 2013 and October 2013 and included 208 elderly patients. Results: The 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임종기 치료선호도와 관련된 연구가 성인대상[16], 간호학생[17], 간호사와 입원환자[18]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임종기 치료선호도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자기초월과 삶의 만족도 정도, 임종기 동안의 치료의 선호도를 파악함으로서 노인의 삶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초월이란? 노인의 정신건강과 관련이 깊은 자기초월은 자신의 죽음에 집착하지 않고 자기의 인생을 관대하고 너그럽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포괄적인 의미의 사회 심리적인 평가지표로서, 노인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한 반성적인 적응은 물론 새롭게 자기를 확장하고 발전시켜 노화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루게 하는 노인의 안녕감과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2]. 노년기의 자기 초월 양상은 자신의 삶과 죽음, 그리고 자신을 내적으로 재정립할 수 있게 하며 자신의 생활 문화적인 패턴과 생애 위기에 따라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노인들은 어떤 과정에서 자기초월에 이르게 되는가? 노년기의 자기 초월 양상은 자신의 삶과 죽음, 그리고 자신을 내적으로 재정립할 수 있게 하며 자신의 생활 문화적인 패턴과 생애 위기에 따라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사람은 질병, 상실에 대한 반동적인 현상으로 자기 초월에 이르게 되는데, 특히 노인들은 노화과정 중에 자기 존재감과 자기정체성을 위해 더 노력하는 가운데 자기 초월에 이르게 되며 자기초월을 통해 현재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3]. 자기 초월 연구는 정서적 안녕[4], 삶의 회복 및 삶의 목적추구[5],영적인 안녕[6], 성공적인 노화의 중요 요인[7][8]과 노인의 자기초월의 질적연구[9], 죽음불안[10], 삶의 질과 고독감[11][12]과 연관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삶의 만족도의 본질이 되는 주관적인 요소는? 또 삶의 만족도에는 객관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주관적인 측면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문화와 가치체계의 구조에서 그들의 삶이 어떠한가에 대한 지각과 개인적인 만족감이 삶의 만족도의 본질이 된다[14]. 즉 현재 삶의 만족도에서는 안녕감 같은 주관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므로 노인들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인 자기초월과의 연관성, 그리고 노인의 임종과정 중에 경험하는 치료의 선호도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The autumn of future population. Retrived from http://www.nao.fo.kr, January, 12. 2011. 

  2. P. G. Reed, "Demystifying self-transcendense for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and research",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 23, no. 5, pp. 397-400,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pnu.2009.06.006 

  3. D. Baker, "Relationship of self-transcendence and death anxiety to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 9, no. 2, pp. 1-10, 2009. 

  4. J. Neill, "Transcendence and transformation in the life patterns of women living with rheumatoid arthriti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24, pp. 27-47.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200206000-00008 

  5. B. Nygren, L. Alex, E. Jonsen, Y. Gustafson, A. Norberg, B. Lundman, "Resilence, sense of coherence, purpose in life and self-transcendence in relation to perceiv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the oldest old", Aging & Mental Health, vol. 9, no. 4, pp. 354-362, 2005. DOI: http://dx.doi.org/10.1080/1360500114415 

  6. J. C. Thomas, M. Burton, M. T. Griffin, J. J. Fitzpatrick, self-transcendenc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practi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Holistic care. vol. 28, pp. 116-122, 2010. 

  7. E, J. Kim, Y. Kim,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women based on successful aging theory(SAT)",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378-387,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4.378 

  8. H. K. Kim, "Gender differenc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among rural community dwelling korean elde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3, pp. 819-834, 2012. 

  9. S. Y, Kim, "The lived experience of self-transcendence of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2, no. 4, pp. 595-605, 2000. 

  10. S. Y. Kim, J, I. Lee, "Self-transcendence, spiritu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3, pp. 480-489, 2013. 

  11. S. Y. Kim, "The effect of self-transcendence and loneliness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6679-668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6679 

  12. K. B. Bean, K. Wagner, "Self-transcendence, illness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vol. 10 no. 2, pp. 47-53, 2005. 

  13. K. H. Kim, H. K. Chung, M. H. Choi, H. J. Kwon, "A study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7, no. 2, pp. 332-344, 2000. 

  14. Z. K. Park,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 theoretical model and its empirical test", A doctoral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of Korea, 2009. 

  15. Chosun Il bo, 12. 8, 2015. 

  16. S. Kim, S. Y. Kim, K. Kim, "Death Anxiety and preferences regarding end-of-life medical car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4, no. 4, pp. 413-426, 2011. 

  17. Y. Lee, S. Kim,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PCEOL-K) scale", Korean Journal Medical Ethics, vol. 12, no. 1, pp. 29-42, 2009. 

  18. D. S. Kim, A. Y. So, K. S. Lee, J S. Choi, "Comparing the preference for terminal care in nurses and patients, Journal Muscle Joint Health, vol. 20, no. 3, pp. 214-224, 2013.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3.20.3.214 

  19. P. G. Reed, "Self-transcendence and mental health in oldest-old adults", Nursing Research, vol. 40, no. 1, pp. 5-11, 199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9101000-00002 

  20. P. G. Reed, "Religiousness among terminally ill and health adul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9, no. 1, pp. 35-41, 1986. DOI: http://dx.doi.org/10.1002/nur.4770090107 

  21.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31. pp. 114-117, 1981. 

  22. M. S. Lee, "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workers", A doctoral thesis of Yonsei University of Korea, 1998. 

  23. D. M Gauthier, R. D. Froman,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24. no. 4, pp. 298-306, 2001. DOI: http://dx.doi.org/10.1002/nur.1031 

  24. Y. K. Kim, J. W. Le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in female elderly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pain, activity of dailly living(ADL),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3. no. 6, pp. 3009-3020, 2011. 

  25. H. S.Kim, S. Kim, S. J. Yu, M. Kim, "The preference for care near end of life of Korean nurse", The Korea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13. no. 1, pp. 41-49, 2010. 

  26. S. M. Lee, "Patients and family determination in medical decision making", Korea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12. no. 4, pp. 323-334, 2009. 

  27. K.E. Streinhauser, N. A Christakis, E. C. Clipp, M. McNeilly, L. Mclntyre, J. A. Tulsky, "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at the end of life by patients, family, physicians, and other care providers", JAMA, vol. 284, pp. 2476-2482, 2000. DOI: http://dx.doi.org/10.1001/jama.284.19.2476 

  28. C. M. Cho,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elderly living an home : a literature review",. Journal fo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2, pp. 372-383, 2013. 

  29. U. Jackobson, I. R. Hallberg, "Qual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 l, no. 8, pp. 51-60, 2002. 

  30. K. O. Chang, M. J. Kim. I-J. Kim,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723-4733, 2015. 

  31. S. Kim, M. Lee, S. Y. Kim, "A survey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experienced by adults with deceased family member",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1. no. 3, pp. 15-27, 2002. 

  32. K H. Kim, H. J. Kwon, M. H. Choi, Y. J. Park, S. K. Kim, "psychological and spiritual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vol. 19, no. 1, pp. 96-10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