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융복합을 위한 사찰음식 세분화 연구 - 인식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A Segmentation Study of Temple Food for the Global Convergence - Focusing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5 = no.80, 2016년, pp.134 - 150  

이용대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한국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한국인 134명과 외국인 86명을 대상으로 총 22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미국인(11.4%), 캐나다인(5.9%), 싱가포르인(5.5%), 프랑스인(5.0%), 네덜란드인(4.1%), 영국인(2.7%), 이탈리아인(2.7%), 독일인(1.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별로는 아시아인들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인>미주지역인>유럽인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은 약선식이라 생각한다.' 항목의 평균값(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58) > 한국인(4.43) > 미주지역인(4.13) > 유럽인(3.94)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 분류한 분석에서는 치유음식(p<.05), 성인병 예방 음식(p<.001), 절약정신 내포(p<.05), 약선식(p<.001) 등의 항목에서 외국인과 한국인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찰음식 선호도 분석결과, 글로벌 지역 외국인과 한국인 간의 선호도는 밥류(p<.001), 죽류(p<.001), 나물류(p<.01), 무침류(p<.001), 튀김류(p<.01), 찜류(p<.001), 김치류(p<.001), 떡류(p<.001), 면류(p<.01), 다과류(p<.05) 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사찰음식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필요하다.' 항목의 평균값(3.9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33) > 한국인(3.99), 미주지역인(3.97) 순으로 나타났다(p<.05). 사찰음식 홍보 추진전략으로 한국전통사찰을 배경으로 한 음식, 영화 등을 제작하여 TV, 스마트폰 등 매체를 통한 홍보를 강화시켜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emple food between Korea and foreign national temple-stay participa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20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Korean and foreig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a temple-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도 북부의 탁발걸식에는 어떤 관습이 있었는가? 초기불교 경전 율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조항은 탁발걸식 방법과 식행동, 금기 식품, 음식의 맛에 대한 집착을 경계 하는 내용들이다. 붓다는 제자들에게 1일 1식을 원칙으로 하고, 거친 음식을 먹게 하였으나, 병자에 대하여는 어떠한 규칙이나 금지제도 모두 풀고, 적당한 음식을 모두 써서 치료의 효과를 올리게 하였다. 이러한 관습과 율법에 따라 사찰음식은 세속과 달리 독특한 채식습관을 형성한 시기는 기원 1세기 전후이다(Lee JR 2013).
외국에서는 사찰음식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는 사찰음식의 정의를 ‘불교의 수행이 이루어지는 절에서 먹는 음식’이라고 한다. 중국 문화권에서는 사찰음식을 짜이차이(zhaca), 일본은 쇼진요리(精進料理)와 보차요리(普茶料理)를 구분하며, 서구에는 사찰음식을 젠푸드(zenfood)라고 하며, 이는 동양의 선불교에 대한 호칭으로 선(禪)에서 나온 말이다. 승가에서 식(食)이란 범어로 아하라(ahara)에 해당하는 것으로 ‘끌어당겨 보존해 간다.
공양이란? 한국사찰에서 수행자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밥을 ‘공양’이라고 부르며, 이는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과 수행자들의 발우공양, 사부대중에게 제공하는 식사까지도 내포된 용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절에서 조리된 음식과 가공식품까지도 ‘사찰음식’이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i HJ (2012). A Study on the Quality and Value of Temple Foo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8. 

  2. Bai YH (2015). A study of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Korean J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22:633-669. 

  3. Byun JO, Han JS, Oh OH(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Preferences and frequency. Korean J East Asian Soc Life (11):140-148. 

  4.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458-468. 

  5. Han BJ, Chung LN (2003). A study of royal dietary culture in Koryo Dynasty. Kor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2):73-82. 

  6. Hong GJ, Lee YS, Nam JS, An HK, Lee EJ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s of buddhist temple food. Korean J Food and Nutrition 20(4):384-391. 

  7. Jang BJ (2011). A exploratory study on the method for popul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temple food. Korean J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7(2):147-162. 

  8. Kim GD (2014).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favor in the Korean food among foreign people living in Daegu.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35-60. 

  9. Kim JA, Lee SY (2014). A study on temple food intake and health. Korean J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24(6):691-699. 

  10. Kim HS, Lyu ES(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89-96. 

  11. Kim MH (2010).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and ascetic practices in Buddhist. Maha Bodhi Thought 13:275-309. 

  12. Kim MS (2013). An analysis of the beverages of buddhist food in buddhist cannon of a Chinese version.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9:297-318. 

  13. Kong MS (2008). A study of the nature of Yakkha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Korean J Seon Studies 17:9-50. 

  14. Lee JR (2013). A study on buddhist monks' dietary life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culture of well-being. Korean J Indian Philosophy 38:57-79. 

  15. Lee YJ (2010).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 with Korean food. Korean J Soc Food Culture 25(5):487-498 

  16. Park HY, Ahn MW, Kim BW, Kim NY (2014). A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155-165. 

  17. Shin KY, Jeon HW, Rha YA (2014). The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emple food, motivation for temple-stay and revisit intention to temple-stay in temple-stay tourism.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238-252. 

  18. Shin KY, Rha YA, Hwang YJ (2015). An effect on experience satisfaction of temple foods,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ward temple stay.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1(1):210-224. 

  19. Song MJ, Kim H, Seo HY (2005). Medical and ethnical analysis of plants by using temple food. Korean J Society of Jungshin Science 9(2):1-16. 

  20. Yang DO (2015). An exploration of possible alternative solutions regard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rough government initiatives: A study based on interviews with non-Korean experts. Hankuk of University Foreign Studies, Seoul, Korea. 17 

  21.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15). 2015 사찰음식 학술 포럼: 행복한 치유로 이끄는 한국 사찰음식 관광자원화 방안 모색, 13-3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