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분석을 통한 STEAM 교육의 효과검증
Effectiveness of STEAM Education applying a meta-analysi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5 = no.83, 2016년, pp.1517 - 1527  

김지원 (부경대학교) ,  원효헌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in Korea and to propose a meaningful discussion for further research. Among the studies conducted for last five years, the relevant 69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nd 211 effect size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STEAM 교육을 통해 세계적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목적으로 모든 학교 급을 포함하는 교육 정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STEAM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STEAM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의미 있는 일반적 결과를 도출하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0년 이후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우리나라에 STEAM 교육이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또한 관련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한 시점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출간 오류 분석과 함께 메타분석에서 데이터 오류에 대한 분석 방법으로 민감성 분석이 있다. 어떤 특정 연구를 제외 또는 포함시켰을 때 전체 평균 효과 크기가 어떻게 달라져서 연구 결과에 얼마나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민감성 분석의 목적이다. 여기에는 누적메타분석(cumulative meta-analysis)도 함께 포함된다(Borenstein M.
  • 또한 최근 몇 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한 많은 양의 STEAM 교육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온 현 시점에서 개별적 연구 단위로 보고된 STEAM 교육의 효과에 대해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과 필요성에 대한 해답을 통계적 기법으로 제공하려는 시도로 메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향후 보다 효과적인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도 선행 연구들의 총합을 통해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고, 분류하여 함축성 있고 의미 있는 일반적인 결론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 코딩 매뉴얼과 코딩표 및 자료코딩 과정의 모든 과정은 연구자를 포함하여 교육학 박사 1명(상담전공)과 STEAM 교육 현장 연구자 3명(교육학 석사), 통계 및 평가 전문가 1명(교육학 박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시하였으며, 코딩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코딩에 참여한 연구자간에 충분한 코딩 전후에 범주의 분류 및 입력 방식에 대한 사전·사후 협의를 통하여 코딩의 불일치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과 필요성에 대한 해답을 통계적 기법으로 제공하려는 시도로 메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향후 보다 효과적인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도 선행 연구들의 총합을 통해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고, 분류하여 함축성 있고 의미 있는 일반적인 결론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크기란? 효과크기란 실험집단의 평균값에서 비교집단의 평균값을 뺀 값을 두 집단의 통합 표준편차 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Borenstein M. et al.
STEAM 교육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4년 8월말까지 발표한 STEAM 관련 약 38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STEAM 교육의 효과성 검증 논문은 크게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 관한 연구로 나타나고 있다(An, hae-ran, 2015). 한편, 최근에는 교육학 전반에 걸쳐 증거에 기반한 교육 효과의 검증이 보편화되면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STEAM 교육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STEAM 교육 연구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2013). STEAM 교육 연구의 유형은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분석, 효과, 사례, 인식, 동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 특히 개발과 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가장 많다(Oh, hyun-sook, 2012; Lee, ji-hae, 2014; An, hae-ran, 2015). 이와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4년 8월말까지 발표한 STEAM 관련 약 38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STEAM 교육의 효과성 검증 논문은 크게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 관한 연구로 나타나고 있다(An, hae-ra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 hae-ran(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ajou university. 

  2.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Wiley. 

  3. Duval, S. & Tweedie, R.(2000).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on, 95, 89-98. 

  4. Guzzo, R. A..Jackson, S. E. & Katzell, R. A. (1987). Meta analyis. In L. L. Cummings, &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Stanford: Elevier Ltd. 

  5. Higgins, J. P. & Green, S.(Eds.)(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Retrieved from www. cochrane-handbook.org. 

  6.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Creativity(2012). STEAM education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running. 

  7. Lee, gyeong-eon.Lee, gwang-woo.Kim, hyeon-mi.Lim, soe-ha(2010). Reorganization Study courses for enhancing creativity. (research report RRC).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8. Lee, ji-hae(2014).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TEAM education of Mathematics. ajou university. 

  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Republic of Korea driven by creative person and advanced technology. 2011 business report. 

  10. Oh, hyun-sook(2012). STEA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trategies for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study of convergence and integrated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11. Oh, soon-moon(2011).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12. Oh, Sung-Sam(2009). Theory and practice of meta-analysis. Konkuk University Press. 

  13. Park, do-soon(2010). Educational Evaluation- Understand and apply. Education and Science Press. 

  14. Park, jee-hyeon(2014).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on the attitude, interest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6th graders with regards to science. 

  15. SHIN, jin-kung.CHOI, Dong-Kyu.KIM Ji-Won.HEO, Gyun.PARK, Jong-Un.JU, Dong-Beom.WON, Hyo-Heon(2013).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e and core element on the STEAM program in the research report of school, JFMSE, 25(4), 898-914. 

  16. Torrance, P.(1992).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