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S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the NCS Vacational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y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7 no.4, 2016년, pp.243 - 255  

구양미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imecollege) ,  정미강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imecollege) ,  정영숙 (Korea Aerospace University,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중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대인관계능력 교육과정 및 내용은 표준화를 위해, NCS 개발 및 운영을 주관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NCS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였다. 표준화된 내용을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이러닝 사례 분석, 교수자 및 전문가 대상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의 타당성과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학생, 교수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이 적절하며, 개발한 이러닝 콘텐츠가 NCS 직업기초능력의 대인관계능력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of e-learning content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one of NCS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standardiz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this study has re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NCS 직업기초능력 중 원활한 직장생활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지만[9] 교육내용의 범위는 물론 전문가의 수준이 다양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의 보급이 시급한 대인관계능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간한 NCS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여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요소별 설계 전략을 수립하여 그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설계 전략을 수립하고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 평가를 통해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대인관계능력 이러닝 콘텐츠를 활용하여 이러닝 또는 플립러닝으로 구성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NCS 직업기초능력의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설계 전략을 수립한 후, 이를 적용하여 개발한 이러닝 콘텐츠를 평가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가 결과, 개발된 대인관계능력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요소들이 학습목표 달성, 학습주제와 학습내용의 이해, 직장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한 이해, 학습동기 부여,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학습한 내용의 적용 기회 제공, 난이도, 학습 분량의 측면에서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NCS 직업기초능력 중 원활한 직장생활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지만[9] 교육내용의 범위는 물론 전문가의 수준이 다양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의 보급이 시급한 대인관계능력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간한 NCS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여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요소별 설계 전략을 수립하여 그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기업교육 전문가3: 대인관계능력은 암묵지라고 할 수 있다. 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사례로부터 시작하여 그 맥락 속에서 강의를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제작된다면 흥미와 학습을 병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이상의 개념을 토대로 NC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로 분류된다. 이 중 대인관계능력은 업무수행에서 접촉하는 사람들과 문제없이 원만하게 지내는 능력이며[3][17],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대 및 대학의 학생과 직업인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직업기초능력이라 할 수 있다[9].
NCS란?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이다[1]. ‘스펙 초월 역량 중심 사회 구현’이 2015년도 기업 인사조직 관리 분야의 이슈[2]로 떠오름에 따라 NCS를 적용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인관계능력 중 리더십능력은 어떤 능력인가? 첫째, 팀워크능력은 팀 구성원으로서 조직구성원들과 목표를 공유하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둘째, 리더십능력은 팀 구성원의 업무향상에 도움을 주며 동기화시킬 수 있고, 팀의 목표 및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 갈등관리능력은 직장생활에서 팀 구성원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원만히 조절하는 능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T. Oh, D.-K. Kim, Y.-H. Park, "Case Stuty on Private Sector in Job Qualifications Gased on NCS," 2013-39, KERIVET, 2013. 

  2. B. S. Cho, "2015 Personnel Group Management Issues Korean Companies Should Be Attentive of," LG Business Insight, Jan 21, 2015. 

  3. J.-H. Park, J.-P. Lee, Y.-H. Park, "A Study on the Needs Assessment of Key Competencies from Industries for Graduates of Korea Polytechnic College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2, No. 1, pp. 83-105, Feb. 2013. 

  4. K. E. Lee, Y. S. Lee,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Basic Abilities," Dongmunsa, 2014. 

  5.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vailable: http://www.ncs.go.kr 

  6. HIFIVE. Available: http://www.hifive.go.kr 

  7.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e-koreatech. Available: http://portal.e-koreatech.ac.kr 

  8. Gyonggi Women's Development Center, Dream Wings: Available: http://www.dream.go.kr 

  9. S. Y. Byun, S. Lee, Y. S. Lee, "The Development of Job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Vol.34, No. 2, pp.42-61, Sep. 2009. 

  10. S. Y. Byun, S. Lee, Y. S. Lee, "The Development of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Self-development Capability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Digiral Contents Society, Vol.11, No. 3, pp.349-356, Sep. 2010. 

  11. D.-Y. Park, S.-D. Lee, J.-O. Kim, K.-H. Cho, K.-S. Kang, Y.-H. Park, D.-Y. Kim,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BL Method for Developing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38, No. 4, pp.63-87, Dec. 2016. 

  12. J.-B. Lee, C.-Y. Jung, J.-M. Kim, J.-K. Kim, I.-J. Ju, K.-B, Lim, "Development of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Vacational Core Competency," 2008-40-6, KERIVET, 2008. 

  13. C.-Y. Jyung, S.-I. Na, W.-S. Seo, B.-K. Song, J.-S. Lee, "Analysis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on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98-7, KERIVET, 1998. 

  14. S. Kim, Y. Kwon, J. Shin, "A Study for Promting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19, No. 2, pp. 55-77, Apr. 2012. 

  15. S.-I. Na, S.-M. Chang, W.-S. Seo, J.-M. Kim, S. Lee, K.-Y. Kim, S.-T. Jung, "Category Identification and Standards Development of Vocational Core Competenc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Dec. 2003. 

  16. J. J. Noh, "A Study on the Cogni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Student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Key Competencies of Korea Polytechnic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13, No. 2, pp.105-125, May 2011. 

  17. C.-Y. Jyung, W.-S. Seo, S.-I. Na, B.-K. Song, K.-J. Kang, "Strenghhening Strategies of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Ghroug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19, No. 2, pp.1-22, Apr. 2000. 

  18. K.-J. Kang, "Model of e-Learn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Basic of Specialixed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37, No. 4, pp.103-134, Dec. 2015. 

  19. Schnotz, W., Eckhardt, A., Molz, M., Niegemann, H., Hochscheid-Mauel, D., & Hessel, S. (2004). Deconstruct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owards an integrative conceptual framework for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In H. Niegemann, D. Leutner, & R. Brunken (Eds.), Instructional design for multimedia learning (pp. 71-90). Munster: Waxman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