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gX (Ag-함침 X 제올라이트)에 의한 고방사성해수폐액으로부터 요오드(I)의 흡착 제거
Removal of I by Adsorption with AgX (Ag-impregnated X Zeolite) from High-Radioactive Seawater Waste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4 no.3, 2016년, pp.223 - 234  

이일희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근영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광욱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형주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익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동용 (한국원자력연구원) ,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종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AgX (Ag-함침 X zeolite)에 의해 고방사성해수폐액 (HSW)의 발생초기에 함유되어 있는 고방사성 요오드($^{131}I$)의 흡착, 제거를 목표로 수행하였다. AgX에 의한 I의 흡착 (AgX-I 흡착)은 AgX 내 Ag-함침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함침농도 30wt% 정도가 적당하였다. AgX (Ag-함침 약 30~35wt%)로부터 Ag의 침출농도는 해수폐액에 함유되어 있는 chloride 이온에 의한 AgCl 침전 등으로 증류수보다 덜 침출 (<1 mg/L) 되었다. AgX-I 흡착은 초기 I 농도 0.01~10 mg/L의 경우 m/V(흡착제량/용액부피의 비)=2.5 g/L에서 99% 이상 흡착제거 되어 I의 효율적 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AgX-I 흡착제거는 해수폐액 보다는 증류수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온도의 영향은 미미한 것 같으며, 흡착평형등온선은 Languir 보다는 Freundlich 등온선으로 표현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한편 AgX-I 흡착속도는 유사 2차 속도식을 만족하고 있으며, 속도상수 ($k_2$)는 $C_i$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있지만, m/V 비 및 온도 증가에 따라서는 증가하고 있다. 이때 흡착 활성화에너지는 약 6.3 kJ/mol 로 AgX-I 흡착은 약한 결합형태의 물리적흡착이 지배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열역학적 매개변수를 평가(음수 값의 Gibbs 자유에너지 및 양수 값의 엔탈피)에 의해 AgX-I 흡착이 자발반응(정반응)의 흡열반응이며, 고온에서 반응이 양호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the adsorption-removal of high- radioactive iodide (I) contained in the initially generated high-radioactive seawater waste (HSW), with the use of AgX (Ag-impregnated X zeolite). Adsorption of I by AgX (hereafter denoted as AgX-I adsorptio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g-imp...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SW의 초기 발생량 감소 및 작업자 보호차원에서 HSW의 발생 초기에 함유되어 있는 고방사성핵종 중의 하나인 요오드 (131I)를 HSW로부터 흡착 제거하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수행하였다. 우선 Ag-함침 X zeolite (Ag-impregnated X zeolite, 이후 AgX로 표기)를 제조하여 Ag-함침농도에 따른 I의 흡착능과 AgX 로부터 Ag의 침출률 등을 검토한다.
  • 본 연구는 AgX (Ag-함침 13X zeolite)에 의해 고방사성해수폐액 (HSW)의 발생 초기 고방사성핵종인 요오드 (131I)의 흡착/제거를 목표로 수행하였다. 우선 I의 흡착 제거능은 Ag-함침 zeolite가 Ag-함침 활성탄이나 활성알루미나 보다 우수하며, AgX의 경우 Ag-함침농도 (wt%)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함침 30wt% 정도가 효과적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방사성해수폐액이란? 고방사성해수폐액 (High-radioactive Seawater Waste, HSW)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이 비정상 중대사고시 원자로 냉각계통의 고장으로 해수를 원자로냉각수로 다량 주입하여 발생한 것으로 [1-10], 원자로의 정상 조업상태에서는 전혀 발생되지 않아 HSW를 대상으로 한 처리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조사핵연료에서 I의 존재량은 무엇에 의하여 좌우되는가? 원자로 내 장전된 조사핵연료 (irradiated nuclear fuel) 에서 I의 존재량은 핵연료의 조사시간, 연소도 및 핵연료 형태 등에 좌우된다. 그러나 HSW 내 I의 함유량은 조사핵연료내 존재하고 있는 I의 존재량 중 냉각수에 의해 용해되는 정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비정상 중대사고 시 핵연료피복관의 파손 정도, 용해 접촉시간, 용해온도 및 용해매질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
고방사성해수폐액 내 함유되어 있는 핵종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HSW 내 함유되어 있는 고방사성핵종으로는 주로 134Cs (반감기=약 2.06년, 비방사능=4.79×1013 Bq/g), 137Cs (약 30년, 3.22×1015 Bq/g) 및 131I (약 8일, 4.81×1015 Bq/g) 등이 있으며 [1-4], 이중 131I은 Cs 보다 비록 존재량도 적고, 반감기도 매우 짧아 수개월 정도의 방치로 방사능이 대부분 감쇄한다. 실제 일본의 경우 사고 약 8개월이 경과된 후에 131I의 방사능세기는 초기 106~107 Bq/mL에서 ~103 Bq/mL 정도로 대폭 감소하였으나 [1,2], HSW의 발생 초기에는 Cs 보다 비방사능 (specific radioactivity, Bq/g)이 큰 고방사성핵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Report of Japanese government to the IAEA Ministerial Conference on nuclear safety, "The accident at TEPCO's Fukushima nuclear power stations", June (2011). 

  2. Side event by government of Japan at 56th IAEA General Conference. September 17 (2012). "Current status of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Available from: http://www.nsr.go.jp/archive/nisa/english/files/P-3-1.pdf 

  3. S. Koyama, "Generation and treatment of radioactive contained wastewater in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CRIEPI, July 22 (2013). 

  4.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Supplementary materials related equipment for the multi-nuclide removal", A specific nuclear facility assessment review meeting (The 2nd meeting), Note 4, January 24 (2013). 

  5.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March 26 2013. "Nuclide analysis results of water at water treatment facility", Available from: http://www.tepco.co.jp/en/nu/fukushima-np/images/handouts_120326_08-e.pdf. 

  6. H. Rindo,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Fukushima accident remediation", The 10th Anniversary of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Jeju, Korea, October 17 (2013). 

  7. Y. Kani, M. Kamosida, and D. Watanabe, "Removal of radionuclides from wastewater at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 Desalination and adsorption methods", Hitachi Ltd. (2013). 

  8. Wikipedia. January (2014). "Fukushima disaster cleanup",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org/wiki/Fukushima_disaster_cleanup. 

  9.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April 22 2014. "Status of contaminated water treatment and tritium at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Available from: http://www.meti.go.jp/earthquake/nuclear/pdf/140424/140424_02_008.pdf. 

  10. "The Fukushima Daiichi Accident" Report by the Director General, Printed by the IAEA, STI/PUB/1710, August (2015). 

  11. T.M. Besmann and T.B. Lindemer, "Chemical thermodynamics of the system Cs-U-Zr-H-I-O in Light Water Reactor fuel cladding gap", Nucl. Tech., 40(3), 297-305 (1978). 

  12. B. Clement, L. Carntrel, G. Ducros, F. Funke, L. Herranz, A. Rydl, G. Weber, and C. Wren, "State of the ART report on iodine chemistry", Nuclear Energy Agency Committee on The Safety of Nuclear Installations, NEA/CSNI/R(2007)1 (2007). 

  13. S. Dicknson, H.E. Sims, E.B. Haltier, D. Jacquemain, C. Poletiko, F. Funke, Y. Drossinos, E. Krausmann, B. Herrero, T. Routamo, and B.J. Handy, "Iodine chemistry", The CEC 4th framework programme on nuclear fission safety, (1998). 

  14. J.A. Dean, "Lange's Handbook of Chemistry", 12th Edition, 4-40,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79). 

  15. WIKIPEDIA Solubility Table. 2015. Available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olubility _table. 

  16. A. Mayoral, T. Carey, P.A. Anderson, and I. Diaz, "Atomic resolution analysis of porous solids : A detailed study of silver ion exchanged zeolite A", Microporous & Mesoporous Mat., 166, 117-122 (2013). 

  17. A.M. Fonseca and I.C. Neves, "Study of silver species stabilized in different microporous zeolites", Microporous & Mesoporous Mat., 181, 83-87 (2013). 

  18. Q.Z. Zhai, S. Qiu, F.S. Xiao, Z.T. Zhang, C.L.Shao, and Y. Han,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host-guest nanocomposite material zeolite-silver iodide", Mater. Research Bulletin, 35, 59-73 (2000). 

  19. B. Riebe, S. Dultz, and C. Bunnenberg, "Temperature effects on iodine adsorption on organo-clay minerals", Applied Clay Sci., 28, 9-16 (2005). 

  20. H.S. Lim and S.G. Lee, "Removal of $I^-$ and $IO_3{^-}$ from aqueous solution", Anal. Sci. and Tech., 22(6), 519-523 (2009) 

  21. H.S. Lim and S.G. Lee, "Removal of $I^-$ and $IO_3{^-}$ from aqueous solution", Korean Pat. No. 10-1046433 (2011). 

  22. Y. Wang, H. Gap, A. Miller, and P. Pohl, "A new generation of adsorbent materials for entrapping and immobilizing highly mobile radionuclides",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 Disposal, 99-118, Sandia National Lab, USA (2014). 

  23. T. Nagata, K. Fukushi, and Y. Takahashi, "Prediction of iodide adsorption on oxides by surface complexation modeling with spectroscopic confirmation", J. Colloid & Interface Sci., 332, 309-316 (2009). 

  24. K.O. Mito and Y.F. Yokohama,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radioactive iodine compounds by precipitation", US Pat. No. 5,352,367 (1994). 

  25. M.S. Palo, J.R. Utrilla, E. Salhi, and U. Gunten, "Agdoped carbon aerogels for removing halide ions in water treatment", Water Res., 41, 1031-1037 (2007). 

  26. J.S. Hoskins, T. Karanfil, and S.M. Serkiz, "Removal and sequestration of iodide using silver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Environ Sci. Tech., 36, 784-789 (2002). 

  27. A. Qayoom and S. A. Kazmi, "Effect of temperature on equilibrium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of Cd(II) adsorption onto turmeric powder", J. Chem, Soc., Pak., 34(5) 1084-1090 (2012). 

  28. S. M. Yakout and E. Elsherif, "Batch kinetics, isotherm and thermodynamic studies of adsorption of strontium from aqueous solutions onto low cost straw based carbons", Carbon-Sci. Tech., 1, 144-153 (2010). 

  29. N. Karkhanei, H. Sepehrian, and R. Cheraghali,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odide sorption performance of silver-loaded mesoporous MCM-41", Desalination and Water Treat., 56(11), 3096-3105 (2015). 

  30. W. Hao, W. Yan, C. Zi, and W.Y. Zhou, "Adsorption behaviors of iodide anion on silver loaded macroporous silicas", Nucl. Sci. Tech., 26, 030301-1-030301-7 (2015). 

  31. H. Zhang, X. Gao, T. Guo, Q. Li, H. Liu, X. Ye, M. Guo, and Z. Wu, "Adsorption of iodide ions on a calcium alginate-silver chloride composite adsorbent", Colloids and Surfaces A : Physicochem. and Eng. Aspects, 386, 166-171 (2011). 

  32. M. Arshadi, M.J. Amiri, and S. Mousavil, "Kinetic, equilibrium and thermo- dynamic investigations of Ni, Cd, Cu and Co adsorption on barley straw ash", Water Resources and Ind., 6, 1-17 (2014). 

  33. A. Bouzidi, F. Souahi, and S. Hanini, "Sorption behavior of cesium on Ain Oussera soil under different physicochemical conditions", J. Hazard Mater., 184, 640-646 (2010). 

  34. K. Volchek, M.Y. Miah, W. Kuang, Z. Demaleki, and F.H. Tezel, "Adsorption of cesium on cement mortar from aqueous solutions", J. Hazard Mater., 194, 331-33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