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소비자 이용 실태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uming Status and Consumer Awareness for Natural Carbonated Drink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5, 2016년, pp.637 - 647  

최희령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onsumer awareness and consumption of natural carbonated drinks in Ko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enrolling adults over the age of 20, resid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and who consumed natural carbonated drinks. Data analysis of 544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탄산수, 다양한 천연 향과 색소, 천연 감미료를 사용한 천연 탄산음료, 천연과즙을 넣은 천연 탄산과즙음료와 같은 비알콜성 천연 탄산음료 제품과 알콜을 함유한 천연 탄산 알콜류 제품의 소비자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천연 탄산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를 분석하여 새로 개발 될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미국의 음료 업계의 하나인 Fruit66사의 경우 100% 과즙에 탄산을 주입한 100% 탄산주스 (sparkling juice)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인공착향료, 인공 색소, 카페인, 보존제, 과당시럽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만들어 천연 탄산음료(natural soft drink) 제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인공착향료, 인공색소, 카페인, 보존제, 과당시럽을 사용하지 않은 탄산음료 제품을 천연 탄산음료 제품이라 규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미국, 유럽의 음료업계는 천연 재료를 활용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탄산수와 탄산수에 향을 가미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다양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 개발은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천연 탄산음료 제품 시장에 관한 기초적인 소비자 이용실태 및 소비자 인식도도 거의 파악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소비자 이용 실태 및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설문이 이루어졌다. 서울, 수도권 지역에 사는 20대에서 50대 성인 중 조건에 맞는 패널을 자동 추출하여 무작위 추출 방법으로 조사 참여 요청 메일을 발송한 후 이들 중 610명이 응답 완료하여 불성실 데이터 66명을 제외한 유효표본 544명을 최종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어떤 재료가 사용되는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에 따르면 ‘탄산음료는 먹는 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탄산수에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한 것이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탄산수는 천연적으로 탄산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물이거나 먹는 물에 탄산가스를 가한 것을 말하며 레몬, 자몽 등 향이 첨가된 탄산수는 탄산음료로 분류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로 물, 탄산가스, 과당시럽과 같은 감미료, 구연산과 인산과 같은 산미료, 카페인, 인공착향료, 인공색소, 화학적 보존제 등의 다양한 첨가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첨가물을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면 건강상 문제가 될 수 있다(Kregiel D 2015).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에 따르면 탄산음료를 어떻게 규정하는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에 따르면 ‘탄산음료는 먹는 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탄산수에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한 것이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탄산수는 천연적으로 탄산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물이거나 먹는 물에 탄산가스를 가한 것을 말하며 레몬, 자몽 등 향이 첨가된 탄산수는 탄산음료로 분류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로 물, 탄산가스, 과당시럽과 같은 감미료, 구연산과 인산과 같은 산미료, 카페인, 인공착향료, 인공색소, 화학적 보존제 등의 다양한 첨가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첨가물을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면 건강상 문제가 될 수 있다(Kregiel D 2015).
음료 업계에서는 다이어트 탄산음료에 들어가는 인공감미료 대신 무엇을 첨가하여 만들려는 시도를 하는가? 음료 업계에서는 인공감미료 대신 스테비아, 타마틴 (thaumatin) 같은 천연감미료를 첨가하여 열량을 낮춘 탄산음료를 만들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천연향료와 천연색소 등을 첨가한 탄산음료제품, 카페인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 과즙, 허브류 등을 첨가한 제품 등 다양한 탄산음료 제품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탄산음료 제품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미국의 음료 업계의 하나인 Fruit66사의 경우 100% 과즙에 탄산을 주입한 100% 탄산주스 (sparkling juice)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인공착향료, 인공 색소, 카페인, 보존제, 과당시럽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만들어 천연 탄산음료(natural soft drink) 제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J, Chun BY, Park PS, Choi BY, Kim MK, Shin MH, Lee YH, Shin DH, Kim SK. 2014. Higher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soft drinks increases the risk of hyperuricemia in Korean population: The Korean Multi-Rural Communities Cohort Study. Semin Arthritis Rheum 43(5):654-661. 

  2. Basu S, McKee M, Galea G, Stuckler D. 2013. Relationship of soft drink consumption to global overweight, obesity, and diabetes: A cross-national analysis of 75 countries. Am J Public Health 103(11):2071-2077. 

  3. Bleich SN, Herring BJ, Flagg DD, Garry-Webb TL. 2012. Reduction in purchases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mong low-income black adolescents after exposure to calorie information. Am J Public Health 102(2):329-335. 

  4. Cerjak M, Tomic M, Focic, N, Brkic R. 2016. The importa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sparkling win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sparkling wine consumers in Croatia. J Int Food Agribus Mark 28(2):191-201. 

  5. Cheungpasitoporn W, Thongprayoon C, O'Corragain OA, Edmonds PJ, Kittanamongkolchai W, Erickson SB. 2014. Associations of sugar-sweetened and artificially sweetened soda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ephrol 19(12):791-797. 

  6. Choi HK, Willet W, Curhan G. 2010. Fructose-rich beverages and risk of gout in women. JAMA 304(20):2270-2278. 

  7. Chung SW, Ha KH, Lee HS, Kim CI, Joung HJ, Paik HY, Song YJ. 2015. Soft drink consump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nly in Korean women: Data from the 2007-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ab Clin Exp 64(11):1477-1484. 

  8. Crichton G, Alkerwi A, Elias M. 2015. Diet soft drink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 two sample comparison. Nutr 7(5):3569-3586. 

  9. DeChristopher LR, Uribarri J, Tucker KL. 2015. Intake of high fructose corn syrup sweetened soft drinks is associated with prevalent chronic bronchitis in U.S. adults, ages 20-55 y. Nutr J 14:107. 

  10. Eshak ES, Iso H, Mizoue T, Inoue M, Noda M, Tasugane S. 2013. Soft drink, 100% fruit juice, and vegetable juice intakes and risk of diabetes mellitus. Clin Nutr 32(2):300-308. 

  11. Food Industries Statistical Information. 2015. The market trend of abroad food industries-soft drink market.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10000/view.do?articleId1902&page7&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Accessed March 30, 2016. 

  12. Funtikova AN, Subirana I, Gomez SF, Fito M, Elosua R, Benitez-Arciniega AA, Schroder H. 2015. Soft drink consump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and 10-year incidence of abdominal obesity in Spanish adults. J Nutr 145(2):328-334. 

  13.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5. The market trend of processed food segmentation-beverages market.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1949&page2&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Accessed March 30, 2016. 

  14.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6. The market report of processed food-Fruit juice.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10000/view.do?articleId2176&page2&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Accessed March 30, 2016. 

  15. Kregiel D. 2015. Health safety of soft drinks: Contents, containers, and microorganism. BioMed Res Int 2015:1-15. 

  16. Kwon SH. 2012.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5):567-575. 

  17. Lee HS, Kwon SO, Yon MY, Kim DH, Lee JY, Nam JW,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47(4):268-276. 

  18. Lim DS, Ban YH, Min YE, Park JJ, Yu YJ, In SR, Ju HJ, Jung SY, Hwang YS. 2015. The effect of carbonated water on bovine enamel erosion and plaque adhesion. J Dent Hyg Sci 15(4):437-444. 

  19. MarketLine. 2014. Global carbonated soft drinks. Available from: http://www.marketline.com. Accessed March 30, 2016.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regulation.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 Accessed March 30, 2016. 

  21. Moon SJ, Jung SH. 2008.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s of well-being tea drinks. J Korean Home Manag Assoc 26(6):71-82. 

  22. Park JY, Ryu K, Jang HL, Yoon KY. 2010.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t Life 20(2):201-208. 

  23. Sakurai M, Nakamura K, Miura K, Takamura T, Yoshita K, Nagasawa SY, Morikawa Y, Ishizaki M, Kido T, Naruse Y, Suwazono Y, Sasaki S, Nakagawa H. 2014. Sugar-sweetened beverage and diet soda consumption and the 7-year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n middle-aged Japanese men. Eur J Nutr 53(1):251-258. 

  24. Shi Z, Ruel G, Grande ED, Pilkington R, Taylor AW. 2015. Soft drink consumption and multimorbidity among adults. Clin Nutr ESPEN 10(2):e71-e76. 

  25. Tucker LA, Tucker JM, Baily BW, LeCheminant JD. 2015. A 4-year prospective study of soft drink consumption and weight gain: The role of calorie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Amer J Health Promot 29(4):262-265. 

  26. Wang YL, Chang CC, Chi CW, Chang HH, Chiang YC, Chuang YC, Chang HH, Huang GF, Liao YS, Lin CP. 2014. Erosive potential of soft drinks on human enamel: An in vitro study. J Formos Med Assoc 113(11):850-8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