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탄산수 효능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섭취 행태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wareness and Knowledge of Carbonated Water on Consumption Pattern and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702 - 709  

김현지 (가천대학교 헬스케어경영학과) ,  장재선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명선 (가천대학교 헬스케어경영학과) ,  서화정 (가천대학교 헬스케어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efficacy of carbonated water on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consumers of carbonated wa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2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탄산수 효능에 대한 인식과 지식, 섭취 행태와 만족도, 건강 관여도를 조사함으로써 탄산수의 섭취 시기 및 섭취 이유, 산수 효능에 대한 인식, 지식 및 만족도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탄산수 섭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탄산수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올바른 소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산수란? 탄산수(carbonated water)는 적당한 염류를 함유한 음료수에 탄산가스를 용해시킨 것으로 염류를 함유하는 물로는 천연광천수 또는 인공 광천수로도 쓰인다. 무기염류는 물에 녹기 쉬운 것이 아니면 안 되기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는 나트륨염이나 칼륨염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식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이 주성분이 되고 있다(Brown 등 2007; Dessirier 등 2001).
대학생의 식생활에 어떤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가? 특히 대학생의 건강은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학생들의 식생활은 매우 중요하다(Park 등 2006). 대학생의 식생활은 과거의 식생활을 반영할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식사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수업 시간표와 자유시간의 증가 및 아르바이트, 동성 및 이성 친구와의 교제 등의 영향으로 불규칙한 식사, 과다한 음주 및 흡연, 과식, 결식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행동이 지적되고 있다(Hong & Lee 2006).
소비자들은 탄산수의 효능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가? 그리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탄산수는 평활근에 작용하여 전체 위장관계의 운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포만감을 감소시키고, 소화 장애, 변비, 담낭을 비우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Pouderoux 등 1997; Cuomo 등 2002), 또한, 탄산수의 약산성 성분이 피부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근거를 기반으로 피부 개선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비와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미네랄워터 성분이 그대로 들어있기 때문에 소화불량에 호전되었음을 TV 매체 등을 통해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탄산수를 섭취하면 갈증 해소, 변비, 소화불량, 다이어트 및 피부 개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Dictionar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ttila S, Cakir B. 2011. Energy-drink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and associated factors. Nutrition 27:316-322 

  2. Brown CJ, Smith G, Shaw L, Parry J, Smith AJ. 2007. The erosive potential of flavoured sparkling water drinks. Int J Paediatr Dent 17:86-91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ccessed by August 4th, 2015] Internet Available at: http://www.cdc.gov/nchs/nhanes.htm 

  4. Collins S. 2015. About flavored sparkling water with no calories. Demand Media. [Accessed by July 28th, 2015] Internet Available at: http://healthyeating.sfgate.com/flavored-sparkling-water-calories-11000.html 

  5. Cuomo, R, Grasso R, Sarnelli G, Capuano G, Nicolai, E, Nardone G. 2002. Effect of carbonated water on functional dyspepsia and constipation. Europ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4:991-999 

  6. Dessirier JM., Simons CT, Mahony MO, Carstens E. 2001. The Oral Sensation of Carbonated Water: Cross-desensitization by Capsaicin and Potentiation by Amiloride. Chem Senses 26:639-643 

  7. Dictionar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arbonated water. [Accessed by July 27th, 2015] Internet Available a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7473&cid48181&categoryId48260 

  8. Han JA. 2014. A study on consumption and perception of energy drink according to health concern of consum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 Seoul, Korea 

  9. Hankookilbo. 2015. Sparkling beverages are very popular. Hankookilbo. [Accessed by August 4th, 2015] Internet Available at : http://www.hankookilbo.com/v/6f52914e45b3421f8d1c80f06ccc66bb 

  10. Hong HO, Kin JY,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Korean Nutr Soc 39:707-713 

  11. Kim HM. 2009. Lifestyle, dietary habits, tast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commercial drinks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Daejin Univ. Pocheon, Korea 

  12. Kim JH. 2015. The truth of the sparkling blasts in beverage market. Weekly Donga 990:50-51 

  13. Kim MH, Kim YJ, Chun JS, Yeon JY. 2015a. Fad diet status of male and female collegians. Korean J Food Nutr 28:258-268 

  14. Kim YJ, Jeon EM, Shim SB, Seo HJ. 2015b. Effects of awareness and knowledge of energy drinks on consumption pattern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romot 15:31-38 

  15. Lee JE, Huh W, Choi EJ. 2013. Pattern analysis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and adverse effects among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Yakhak Hoeji 57:110-118 

  16. Lee S. 2015. Rise in the sparkling water, sparkling Line 'hopping'. Newscj. [Accessed by August 4th, 2015] Internet Available at : http://www.hankookilbo.com/v/6f52914e45b3421f8d1c80f06ccc66bb 

  17. Moon HK. 2013.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unctional beverag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Yeungnam Univ. Daegu. Korea 

  18. Mun JH, Jun SS. 2011. Effects of carbonated water intake on constipation in elderly patients following a cerebrovascular accident. J Korean Acad Nurs 41:269-275 

  19. Nelson MC, Neumark-Sztainer D, Hannan PJ, Story M. 2009. Five-year longitudinal and secular shifts in adolescent beverage intake: Findings from project EAT (Eating Among Teens)-II. J Am Diet Assoc 109:308-312 

  20. Park JS, Lee YJ, Lee CY, Jung HS. 2015. Consumption status, risk awareness and experience of adverse effects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9:102-114 

  21. Park MH. 2006. Realities of nutrition habits and food intak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district. Master's thesis, Yeungnam Univ. Gyeungsan, Korea 

  22. Pouderoux P, Friedman N, Shirazi P, Ringeslstein JG, Keshavarzian A. 1997. Effect of carbonated water on gastric emptying and intragastric meal distribution.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42:34-39 

  23. Yoo HS, Sim KH. 2014. Survey on the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4:407-420 

  24. Yoo JO. 2010. A study on usage pattern of green tea and analysis for its expansion factor.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 Seoul, Korea 

  25. Yoon SJ. 2009.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haping management and drinking status of the diet beverage on the market of high schoolfil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 Gyeung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