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및 부모 관련 요인: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4년) 활용
Factors Affecting Obesity and Overweigh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2014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4, 2016년, pp.237 - 246  

황인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preschooler obesity/overweight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Data for 591 preschoolers, 432 fathers and 538 mother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과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과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그리고 신체계측 자료에 측정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전국 규모로 계통적층화법을 이용해 대상자를 선정하여 시행된 조사이고, 가중치를 적용한 적절한 통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우리나라 전체 모집단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에서 편의 추출된 대상자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현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과 비만 영향 요인을 밝혀낸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겠다. 비만은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되어야 하며 전 생애에 걸쳐 관리되어야 하지만, 일생 중 이른 시기에 예방 중심의 효과적인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전국적 대단위 조사로 진행된 제6기(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과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표준 체질량지수에 근거해 분석한 결과, 학령전기 아동 중 9.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과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과체중을 포함하여 비만인 아동은 전체 아동의 1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시행된 제6기(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 현황을 확인하고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특성과 부모의 특성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만 예방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체질량지수는 어떤 변수인가?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은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체질량지수는 신체계측 자료 중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생성한 변수이다. 즉,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며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시하며 단위는 kg/m2이다.
학령전기가 비만 예방을 위한 중재 시기인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 예방을 위한 중재 시기는 아동기 후기나 성인기보다는 아동기 초기, 특히 학령전기가 적기라 할 수 있다[9]. 학령전기는 건강에 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지각, 신념, 행위가 형성되며, 비만예방과 관리에 중요한 식습관과 신체활동 등 건강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시기의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아동기 비만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아동기 비만은 유전적인 요인,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 신체활동 부족, 호르몬과 대사 이상, 그리고 가정의 양육 환경과 부모의 태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다.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기 영향 요인으로 부모의 비만[8,10], 출생 시 체중[8,11]과 모유수유 여부와 기간[12-14] 등이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바 있으며, 아동의 식습관과 신체활동[15],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11,16] 등이 주로 거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Lamb MM, Flegal KM. Prevalence of high body mass index in US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2008.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0;303(3):242-249. http://dx.doi.org/10.1001/jama.2009.2012. 

  2.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 (1st year).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3. Nader PR, O'Brien M, Houts R, Bradley R, Belsky J, Crosnoe R, et al. Identifying risk for obesity in early childhood. Pediatrics. 2006; 118(3):e594-e601. 

  4. Swallen KC, Reither EN, Haas SA, Meier AM. Overweight, obes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Pediatrics. 2005;115(2):340-347. 

  5. Kim HS, Park J, Ma Y, Ham OK.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3;29(5):361-369. http://dx.doi.org/10.1177/1059840513475363 

  6. Rolland-Cachera M, Deheeger M, Maillot M, Bellisle F. Early adiposity rebound: causes and consequences for obesity in children and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6;30:S11-S7. 

  7. Ra JS, Chae SM.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 20(1):30-38. http://dx.doi.org/10.4094/chnr.2014.20.1.30 

  8. Reilly JJ, Armstrong J, Dorosty AR, Emmett PM, Ness A, Rogers I, et al. Early life risk factors for obesity in childhood: Cohort study. BMJ. 2005;330(7504):1357. http://dx.doi.org/10.1136/bmj.38470.670903.E0 

  9. Reilly JJ.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ur and energy balance in the preschool child: Opportunities for early obesity prevention.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2008;67(03):317-325. http://dx.doi. org/10.1017/S0029665108008604 

  10. Park SJ, Moon JW, Kim HJ, Cho MJ. Infantile risk factors for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8):804-811. http://dx.doi.org/10.3345/kjp.2008.51.8.804 

  11. Yoon JY, Park HS, Chang NS. Risk Factors of Obesity by Body Mass Index in Preschool Boy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4;37(2): 123-131. 

  12. Yon MY, Lee HS, Kim DH, Lee JY, Nam JW, Moon GI, et al. Breastfeeding and Obesity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KNHANES 2008 through 2011-.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 18(6):644-651. 

  13. Ju HO, Park CG. Estimation for the time of adiposity rebound in Korean children and the effects of breast feeding on BMI before adiposity reboun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1; 20(1):8-15. http://dx.doi.org/10.7570/kjo.2011.20.1.8 

  14. Park J, Kim HS, Chu SH, Jekal YS, Lee Jy. The effect of predominant breast-feeding on the risk of obesity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Nursing & Health Sciences. 2015;17(1):77-83. http://dx.doi.org/10.1111/ nhs.12165 

  15. Cho IS, Kim MW, Park IH, Ryu HS, Kang SY. Health promotion life profile of normal-weight and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9;15(1):61-70. http://dx.doi. org/10.4094/jkachn.2009.15.1.61 

  16. Kim HA. Comparison of normal weight vs obese children in terms of family factors, eating habits and sociocognitive facto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4;10(3):300-310. 

  17.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et al.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1):1-25. http:// dx.doi.org/10.3345/kjp.2008.51.1.1 

  18. Hong SJ, Ahn KM, Lee SY, Kim KE. The prevalence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4):343-350. http://dx.doi.org/10.3345/kjp.2008.51.4.343 

  19. Papoutsakis C, Priftis KN, Drakouli M, Prifti S, Konstantaki E, Chondronikola M, et al. Childhood overweight/obesity and asthma: Is there a link?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 evidence.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13;113(1):77-105. http:// dx.doi.org/10.1016/j.jand.2012.08.025 

  20. Permaul P, Kanchongkittiphon W, Phipatanakul W. Childhood asthma and obesity-what is the true link?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2014;113(3):244. http://dx.doi.org/10.1016/ j.anai.2014.07.001 

  21. Visness CM, London SJ, Daniels JL, Kaufman JS, Yeatts KB, Siega-Riz AM, et al. Association of childhood obesity wit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6. Journal of Asthma. 2010;47(7):822-829. http:// dx.doi.org/10.3109/02770903.2010.489388 

  22. Yao TC, Ou LS, Yeh KW, Lee WI, Chen LC, Huang JL. Associations of age, gender, and BMI with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PATCH study. Journal of Asthma. 2011;48(5):503-510. http://dx.doi.or g/10.3109/02770903.2011.576743 

  23. Tanaka K, Miyake Y, Arakawa M, Sasaki S, Ohya Y. U-shaped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prevalence of wheeze and asthma, but not eczema or rhinoconjunctivitis: The Ryukyus child health study. Journal of Asthma. 2011;48(8):804-810. http://dx.doi.org/10.3109/02770903.2011.611956 

  24. Nam YM, Kim JT, Kim KW, Kim ES, Song TW, Sohn MH, et al. Effect of obesity on atop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Pediatric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006;16(3): 225-232. 

  25. Lee G, Ham OK. Factors affecting underweight and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outh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5;9(4):298-304. http://dx.doi.org/10.1016/j.anr.2015.07.004 

  26. Jouret B, Ahluwalia N, Cristini C, Dupuy M, Negre-Pages L, Grandjean H,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overweight in preschool-age children in southwestern Franc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5(6):1643-1649. 

  27. Pan JY, Choi MJ. The effects of nutrient intake and screen time (television viewing and computer and/or video games) on preschool children obesity. The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2011;21(2):185-193. 

  28.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i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2015 KDRIs).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9. Jee YJ, Kim YH.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3;22(1):39-49. http://dx.doi.org/10.7570/ kjo.2013.22.1.39 

  30. Benton, Pree, Helen Skouteris, and Melissa Hayden. Maternal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self-esteem, body dissatisfaction and preschooler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6.5 (2016):799-8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