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아동 어머니의 피로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4, 2016년, pp.363 - 369  

송희승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atigue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her child's health.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57 mothers of hospit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피로 및 관련된 변수들 즉,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정도를 측정하고 피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 아동 돌봄과 관련하여 어머니가 경험하는 피로 정도를 파악하고 피로 관련 변수들 간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어머니와 아동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 수면시간, 나이가 피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중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 본 연구는 입원 아동 어머니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아동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전략 및 중재 개발을 위해 피로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과 추후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나이와 어머니 피로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입원 아동이 신생아인 경우 돌보는 어머니의 피로 정도가 가장 높고 학령기인 경우 가장 낮았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연구에서는 피로의 원인으로 발달 특성상 밤 동안에도 이루어지는 수유 및 기저귀 갈기, 우는 아기 달래기 등 지속적인 돌봄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2]. 또한 영유아 역시 연령과 관련된 제한 때문에 자율적인 행동을 못하고 주 양육자에게 의존적인 상태에 있으므로 큰 아동에 비해 주 양육자의 돌봄 비중이 큰 발달시기로 다른 발달 연령과 비교해 어머니의 피로에 차이를 나타낸다고 보았다[19].
  • 본 연구에서는 입원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는데 간호사가 피로를 문제로 인식하였을 때 예방 및 해결방안으로서 간호중재를 수행하기에 앞서 명확한 사정의 근거를 위해서도 요인 파악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어머니의 피로는 가족의 건강과도 부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듯이[27] 아동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대상자로서 입원 아동 어머니의 피로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며 아동 입원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피로에 대한 교육 및 정보를 어머니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한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피로에 대해 탐색하고 주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입원한 아동의 회복을 돕기 위해 아동 바로 옆에서 주요 환경으로서 작용하는 어머니의 돌봄 제공자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피로는 아동의 회복뿐 아니라 가족 건강과 관련하여 중요한 간호문제로 인식될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피로 관련한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질병과 관련한 입원이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인 면에서 아동과 가족 모두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동의 질병과 관련한 입원은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인 면에서 아동과 가족 모두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는 아동을 돌보기 위해 24시간 아동과 함께 병실에서 상주하며 돌봄을 제공하는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동이 입원하면 부모는 병실에서 아동을 먹이고 재우는 등 돌보는 행위, 증상관찰, 치료 보조 등 간호수행을 하면서 더불어 집에 있는 가족을 위한 역할들을 수행하는데[1]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아동의 입원과 관련하여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고 당황하게 되며 신체적으로 피로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로 인해 아동의 회복 및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또한 입원 아동의 부모 는 수면부족, 역할에 대한 부담감을 경험하며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삶의 질이 낮고, 피로수준이 높다고 보고되었다[1].
피로란 무엇인가? 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어지는 주관적인 상태이며 쉬고자 하는 바람이 증가되고 감소된 의욕을 동반한 복구 가능한 운동 및 인지 장애이다[3]. 아동이 입원하면 아픈 아동의 보챔과 투정 등으로 인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더욱 증가시키는데 피로는 양육스트레스와 양적인 상관관계를, 양육효능감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고 알려져 있으며[4,5],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다고 보고되었다[6].
피로한 엄마가 또 다른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Dunning과 Giallo[5]는 모아 상호작용 동안 어머니가 아동에게 다정하지 않고 화를 자주 내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 피로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피로한 엄마는 아동이 보내는 신호에 덜 민감할 뿐만 아니라 피로하지 않은 엄마에 비해 자신의 아이를 기질적으로 까다로운 아이라고 인지하며 공격적 양육을 하고 화난 감정이 아이에게 전달되어 원치 않은 또 다른 피로를 발생시킬 수 있다 [7]. 어머니는 아동과 주된 상호작용을 하는 대상자임을 고려했을 때 피로한 엄마의 부정적인 대응은 입원 아동의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eong E, Kwon IS. Role and role burden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2015;18(1):28-38. 

  2. Park IS, Kim SJ, Kang KA, Kim TH. Analysis of fatigue perceived by the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80-88. 

  3. Carmel PW, Sarah LB, Laura N, Laura S, Xochitl S. Does maternal fatigue influence maternal verbal control in a stressful parenting task with toddl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5;24(2):351-362. http://dx.doi.org/10.1007/s10826-013-9843-x 

  4. Cooklin AR, Giallo R, Rose N. Parental fatigue and parenting practices during early childhood: An Australian community surve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12;38(5):654-664.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11.01333.x 

  5. Dunning MJ, Giallo R. Fatigue, parenting stress, self efficacy and satisfaction in mother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012;30(2): 145-159. http://dx.doi.org/10.1080/02646838.2012.693910 

  6. Kim KS, Kam S, Lee WK.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postpartum fatigue and parenting stress on postpartum depressio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2;16(2):195-211. 

  7. Bell BG, Belsky J. Parents, parenting, and children's sleep problems: Exploring reciprocal effect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08;26(4):579-593. http://dx.doi.org/10.1348/026151008X285651 

  8. Kwon IS, Seo YM, Kim JY. Trends in research on caregivers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Focus on knowledge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3):101-10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1 

  9. Han KJ, Kim HA, Kim SY, Kim JS. An analysis of the concepts in child health nursing studies in Korea (1): From 1990 to 2000.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 (4):449-457. 

  10. Han KJ, Kim HA, Kim JS, Kim SY, Cho KM. An analysis of the concepts in child health nursing studies in Korea (2): The practice, the client- nurse, the environmental domai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2):165-172. 

  11. 日本産業疲勞硏究會. 産業疲勞の. 自覺症狀しらべ じつんて の報告. 勞動の科學. 1970;25(6): 12-62. 

  12. Yang KH, Han HR. Fatigue and the related factors in well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7;9(1):112-123. 

  13. Suh HY.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2. p. 1-76. 

  14.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p. 1-74. 

  15.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98;19(1):27-42. 

  16.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P.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8 August; Toronto, Canada. 

  17. Kim HS, Oh KS, Shin YH, Kim TI, Yoo HN, Sim MK, et al.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3):290-300. 

  18. Kim SJ, Park IS. Analysis of fatigue perceived by the mothers of infants & toddl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1):36-45. 

  19. Chung MR, Choi HJ, Kang SK.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nfants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15;15(4):179-199. 

  20. Park SJ, Kang KA, Kim SH, Kim SJ. Degree of parenting stress and fatigue perceived by primary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4):184-191. http:// dx.doi.org/10.4094/jkachn.2012.18.4.184 

  21. Grolnick WS, Seal K. Pressured parents, stressed-out kids: Dealing with competition while raising a successful child. Amherst, NY: Prometheus Press; 2008. 

  22. Lee JH, Han HS, Choi R. Mediated effect of positive emotion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2012;11 (2):89-109. 

  23. Clark AJ, Flowers J, Boots L, Shettar S. Sleep disturbance in mid-life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5;22(3):562-568. 10.1046/j.1365-2648.1995.22030562.x 

  24. Katz P, Margaretten M, Trupin L, Schmajuk G. Role of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obesity, and physical inactivity in fatigue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2016;68(1):81-90. http://dx.doi.org/10.1002/acr.22577 

  25. Kelmanson IA. Sleep disturbances in two-month-old infants sharing the bed with pare- nt(s). Minerva Pediatrica. 2010;62(2):161-169. 

  26. Kim RY, Park HJ.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2):188-197. http://dx.doi.org/10.7475/kjan.2015.27.2.188 

  27. Choi J, Ha NS.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atigue on family health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9;23(1):5-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