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아동 돌봄을 위한 가족중심 순회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Family-Centered Rounds for Hospitalized Children Caring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07 - 116  

임미해 (인제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부산백병원)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volvement of families in rounds is one strategy to implement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to help families get clear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 and be actively involved in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major concepts of family-centered round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에서 이루어진 가족중심 순회에 관한 연구를 고찰한 결과 가족중심 순회의 개념을 기술하거나 관련된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과 관찰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한 실험 연구는그 수가 제한적이었다[9].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문헌고찰 방법인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을 사용하여 가족중심 순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고찰은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Whittemore와 Knafl [9]이 제시한 문헌고찰방법인데, 연구의 타당성, 엄밀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의 순서와 정형화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아동병원에서의 가족중심 순회의 속성으로서 주요 주제어가 도출이 되면 각각 속성에 대해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밝혀진 가족중심 순회의 속성의 개념 정의 외에도 장애물과 전략을 추가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향후 국내 아동병동에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 생성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은 정기적인 연구회의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모든 문서들은 원본을 확보한 후 인쇄하여 규격화된 양식에 맞게 정리하고 자료 분석 단계의 모든 과정은 문서화하였다.
  • 이는 가족중심 순회에 대한 관심과 인지가 증가했다는 반증이고, 각 연구의 결과가 가족중심 순회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시한 점을 볼 때 국내 의료기관에서도 적용을 고려할 만한 것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 밝혀진 가족중심 순회의 속성은 가족과 의료진의 인지,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족과 의료진의협력, 임상실습생의 교육이었고 그에 대한 장애물과 전략의 측면을 논의하기로 하겠다.
  • 본 연구는 통합적 고찰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아동병동에서의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한 국외 논문 24편을 분석하고그 주요 속성을 확인하고, 가족중심 순회의 장애물과 전략을 논의한 것이다. 각 연구논문의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한 결과 가족중심 순회는 가족과 의료진의 인지,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족과 의료진의 협력, 임상실습생 교육이라는 4개의 주요 속성이 밝혀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에서 보고된 아동병동에서의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가족중심 순회의 주요 속성을 파악하고, 가족중심 순회의 장애물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입원아동 돌봄을 위한 가족중심 순회 적용에 지침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자는 사각뿔 형태의 모형을 사용하여 아동병동에서의 가족 중심 순회의 속성을 가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가족중심 순회의 주요 속성의 깊이와 폭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중심 돌봄은 무엇인가? 가족의 구조와 기능은 아동의 성장발달에 가장 중요하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입원아동을 위한 간호는 아동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간호 대상자로 고려하는 가족중심 돌봄(family-centered care) 이 되어야한다[1]. 가족중심 돌봄은 환자중심 돌봄(patient-centered care)의 확대된 개념으로 간호수행에 아동과 가족을 포함시키고 아동과 가족을 존중하며 동감을 보여주는 것인데, 미국아동간호협회(Association for the Care of Children’s Health)는 가족중심 돌봄이 아동간호의 주요 철학이라고 하였다[2]. 즉, 돌봄의 과정에서 가족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존중하며 가족의 역할을 강화하고, 가족이 최선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우며 아동의 회복과 치료과정에서 정상적이고 편안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2].
국내 아동병동에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하기 위해서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국내에서 아동병동에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족중심 순회의 주요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국외에서 이루어진 가족중심 순회에 관한 연구를 고찰한 결과 가족중심 순회의 개념을 기술하거나 관련된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과 관찰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가족중심 순회를 적용한 실험 연구는그 수가 제한적이었다[9].
아동간호에서 가족중심 돌봄의 핵심은 무엇인가? 가족중심 돌봄은 환자중심 돌봄(patient-centered care)의 확대된 개념으로 간호수행에 아동과 가족을 포함시키고 아동과 가족을 존중하며 동감을 보여주는 것인데, 미국아동간호협회(Association for the Care of Children’s Health)는 가족중심 돌봄이 아동간호의 주요 철학이라고 하였다[2]. 즉, 돌봄의 과정에서 가족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존중하며 가족의 역할을 강화하고, 가족이 최선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우며 아동의 회복과 치료과정에서 정상적이고 편안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Family pediatrics: Report of the task force on the family. Pediatrics, 2003;111(Supplement 2):1541-1571. 

  2. Bowden VR, Greenber CS.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Continuum of Care. 2nd ed.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p.3-6. 

  3. Kuo DZ, Sisterhen LL, Sigrest TE, Biazo JM, Atiken ME, Smith CE. Family experiences and pediatric health services use associated with family-centered rounds. Pediatrics. 2012;130(2):289-305. http://dx.doi.org/10.1542/peds.2011-2623d 

  4. Bramewell R, Weindling M. Families' views on ward rounds in neonatal unit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Fetal and Neonatal Edition. 2005;90(5):429-431. http://dx.doi.org/10.1136/adc.2004.061168 

  5. Seltz LB, Zimmer L, Ochoa-Nunez L, Rustici M, Bryant L, Fox D. Latino families' experiences with family-centered rounds at an academic children's hospital. Academic Pediatrics. 2011;11(5):432-438. http://dx.doi.org/10.1016/j.acap.2011.06.002 

  6. Cameron MA, Schleien CL, Morris MC. Parental presence o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rounds. The Journal of Pediatrics. 2009;155(4):522-528. http://dx.doi.org/10.1016/j.jpeds.2009.03.035 

  7. Drago MJ, Aronson PL, Madrigal V, Yau J, Morrison W. Are famil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attendance at family-centered rounds in the PICU?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2013;14(2):93-97. http://dx.doi.org/10.1097/pcc.0b013e31827129cc 

  8. Cypress BS. Family presence on round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12;31(1):53-64. http://dx.doi.org/10.1097/DCC.0b013e31824246dd 

  9. Whitt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0. Latta LC, Dick R, Parry C, Tamura GS. Parental responses to involvement in rounds on pediatric inpatient unit at a teaching hospital: A qualitative study. Academic Medicine. 2008;83(3):292-297.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1637e21 

  11. Rosen P, Stenger E, Bochkoris M, Hannon MJ, Kwoh CK. Family-centered multidisciplinary rounds enhance the team approach in pediatrics. Pediatrics. 2009;123(4):603-608. http://dx.doi.org/10.1542/peds.2008-2238 

  12. McPherson G, Jefferson R, Kissoon N, Kwong L, Rasmussen K. Toward the inclusion of parents on pediatric critical care unit rounds.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2011;12(6):e255-e261. http://dx.doi.org/10.1097/pcc.0b013e3181fe4266 

  13. Subramony A, Hametz PA, Balmer D. Family-centered rounds in theory and practice: An ethnographic case study. Academic Pediatrics. 2014;14(2):200-206. http://dx.doi.org/10.1016/j.acap.2013.11.003 

  14. Carayon P, Li Y, Kelly MM, DuBenske LL, Xie A, McCabe B, et al. Stimulated recall methodology for assessing work system barriers and facilitators in family-centered rounds in a pediatric hospital. Applied Ergonomics. 2014;45(6):1540-1546. http://dx.doi.org/10.1016/j.apergo.2014.05.001 

  15. Walker-Vischer L, Hill C, Mendez SS. The experience of Latino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during family-centered round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45(3):152-157. http://dx.doi.org/10.1097/nna.0000000000000175 

  16. Stickey CA, Ziniel SI, Brett MS, Truog RD. Family participation during intensive care unit rounds: Attitudes and experiences of par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in a tertiary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4;164(2):402-406. http://dx.doi.org/10.1016/j.jpeds.2013.09.037 

  17. Ladak LA, Premji SS, Amanullah MM., Haque A, Ajani K, Siddiqui FJ. Family-centered rounds in pakistani pediatric intensive care settings:Non-randomized pre-and post-study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3;50(6):717-72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2.05.009 

  18. Grzyb MJ, Coo H, Ruhland L, Dow K. Views of par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regarding parental presence at bedside round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rinatology. 2014;34(2):143-148. http://dx.doi.org/10.1038/jp.2013.144 

  19. Subramony A, Schwartz T, Hametz P. Family-centered rounds and communication about discharge between families and inpatient medical teams. Clinical Pediatrics. 2012;51(8):730-738. http://dx.doi.org/10.1177/0009922812446012 

  20. Voos KC, Ross G, Ward MJ, Yohay A, Osorio SN, Perlman JM. Effects of implementing family-centered rounds (FCR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11;24(11):1403-1406. http://dx.doi.org/10.3109/14767058.2011.596960. 

  21. Beck J, Meyer R, Kind T, Bhansali P.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awareness:A qualitative study of family members' and nurses' perspectives on teaching during family-centered rounds. Academic Medicine. 2015;90(1):1401-1407. http://dx.doi.org/10.1097/acm.0000000000000810 

  22. Levin AB, Fisher KR, Cato KD, Zurca AD, October TW. An evaluation of family-centered rounds in the PICU: Room for improvement suggested by families and providers.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2015;16(9):801-807. http://dx.doi.org/10.1097/pcc.0000000000000486 

  23. Lion KC, Mangione-Smith R. Martyn M, Hencz P, Fernandez J, Tamura G. Comprehension on family-centered rounds for limited English proficient families. Academic Pediatrics. 2013;13(3):236-242. http://dx.doi.org/10.1016/j.acap.2012.12.002 

  24. Aragona E, Ponce-Rios J, Garg P, Aquino J, Winer JC, Schainker E.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to increase nurse attendance on pediatric family centered round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6;31(1):e3-e9. http://dx.doi.org/10.1016/j.pedn.2015.08.005 

  25. Xie A, Carayon P, Cartmill R, Li Y, Cox ED, Plotkin JA, et al. Multistakeholder collaboration in the redesign of family-centered rounds process. Applied Ergonomics. 2015;46:115-123. http://dx.doi.org/10.1016/j.apergo.2014.07.011 

  26. Palokas JM, Northington L, Wilkerson RR, Boss BJ. An interactive evalua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rounds on pediatric inpatient uni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5;30(4):e9-e15. http://dx.doi.org/10.1016/j.pedn.2014.11.005 

  27. Rappaport DI, Ketterer TA, Nilforoshan V, Sharif I. Family-centered rounds: Views of families, nurses, trainees, and attending physicians. Clinical Pediatrics. 2011;51(3):260-266. http://dx.doi.org/10.1177/0009922811421002 

  28. Lee BS, Oh IK, Lee EM.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2):226-23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26 

  29. Park SY, Kweon YR. The effect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1):79-88.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