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항균제제를 첨가한 생면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Noodle with Natural Food Preservativ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5, 2016년, pp.435 - 444  

현정은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황진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최연선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한아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윤재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배영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호 ((주)비에스티) ,  김철 ((주)비에스티) ,  이명구 ((주)비에스티) ,  심명국 ((주)비에스티) ,  임경현 ((주)비에스티) ,  이선영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복합항균제제 첨가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무처리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복합항균제제를 첨가한 생면을 $12^{\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및 효모/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저장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F3 및 F3-1을 첨가한 생면의 총균수 등의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어 생면의 저장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3와 F3-1 첨가한 생면은 무처리구보다 pH가 약간 낮게 나타났고, 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생면의 관능검사에 있어서 저장기간 동안 0.200%의 F3 또는 F3-1을 첨가한 생면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높은 점수로 관찰되어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주)비에스티에서 개발된 복합항균제제인 0.200% 농도의 F3 또는 F3-1을 생면에 첨가하였을 때 생면의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preservatives (G3, G3-1, F3, and F3-1) using Cordyceps militaris on improvement of food quality and safety of noodle during storage. Wheat flour noodle were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tural preservatives (0.100, 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 외에도 녹차, 마늘 등은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식품의 천연 항균보존제로써 그 가능성이 연구되어 왔다(Senji S 등 1989; Park CS 1998; Kumar M & Berwal JS 1998; Yin MC & Cheng WS 1998; Moon WH & Yook KD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산균과 초산균을 활용한 동충하초 발효액을 중심으로 여러 천연항균소재를 첨가하여 개발된 천연 복합항균제제를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천연 복합항균제제의 첨가가 생면의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또는 관능적 품질에 대하여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현재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처리로 일반적으로 합성보존제를 첨가하거나, 진공포장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보존제는 낮은 농도로 사용될 경우, 미생물 저해 및 저장성 연장에 낮은 효과를 나타내고, 사용농도를 높일수록 효과가 높아지기는 하나, 안전성 문제의 우려가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돌연변이 및 만성독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한다(Branen AL 1975; Kim DH & Lee YC 2004, Lee JW 등 2000).
식품 저장 시 사용되는 합성보존제의 농도별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처리로 일반적으로 합성보존제를 첨가하거나, 진공포장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보존제는 낮은 농도로 사용될 경우, 미생물 저해 및 저장성 연장에 낮은 효과를 나타내고, 사용농도를 높일수록 효과가 높아지기는 하나, 안전성 문제의 우려가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돌연변이 및 만성독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한다(Branen AL 1975; Kim DH & Lee YC 2004, Lee JW 등 2000). 따라서 최근 이러한 인공 합성보존제의 안전성의 문제로 인공 합성보존제를 대체할 천연보존제의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양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식품보존제 및 항균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Beuchat LR & Golden DA 1989; Kim HY 등 1999; Lee YC 등 2002).
복합항균제제(G3, G3-1, F3 및 F3-1)를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에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미생물 생육에 나타나는 변화는? 00 log CFU/g에 도달하였음을 보고하여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저장 온도에 따라 미생물 생육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개발된 복합항균제제를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미생물 증식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n HY, Park KR, Kim YR, Cha JY, Cho YS (2013)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J Life Sci 23: 1032-1040. 

  2. Beuchat LR, Golden DA (1989)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 Food Technol 43: 134-139. 

  3.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PCS 52: 59-63. 

  4. Brul S, Coote P (1999) Preservative agents in foods: Mode of action and microbial resistance mechanisms. Int J Food Microbiol 50: 1-17. 

  5. Cabras P, Angioni A (2000) Pesticide residues in grapes, wine,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J Agric Food Chem 48: 967-973. 

  6. Cho HJ, Cho JY, Rhee MH, Kim HS, Lee HS, Park HJ (2007) Inhibitory effects of cordycepin (3'-deoxyadenosine), a component of Cordyceps militaris,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thapsigargin. J Microbiol Biotechnol 17: 1134-1138. 

  7. Cho NJ, Lee SK, Kim SK, Joo HK (1998) Effect of wheat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32-841. 

  8.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onia japonica extrac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 effects in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35-444. 

  9. Han MW, Park KJ, Jeong SW, Kim SJ, Youn KS (2007) Effects of pediocin treatment on the microbial quality of wet nood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328-331. 

  10. Jeon JR, Kim HH, Park G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685-692. 

  11.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12. Jung JY, Song EJ, Lee SY, Kim KBWR, Lee SJ, Yoon SY, Lee CJ, Park JH, Lee HD, Choi HD, Ahn DH (2010) Effect of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Eucommia ulmoide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wet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7-893. 

  13. Kang SW (2013) Effect of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on shelf-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pp 16-17. 

  14. Kim DH, Lee YC (2004) Quality changes in minced ginger prepared with frozen ging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43-951. 

  15. Kim HY, Lee YJ, Kim SH, Hong KH, Kwon YK, Lee JY, Ha SC, Cho HY, Chang IS, Lee CW, Kim KS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16. Kim JS, Son JY (2004) Effect of condensed phosphate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wet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33-137.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http://www.kfda.co.kr 

  18. Kumar M, Berwal JS (1998) Sensitivity of food pathogens to garlic (Allium sativum). J Appl Bacteriol 84: 213-215. 

  19. Lee HA, Nam ES, Park SI (2003)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shelf-life of wet noodle. Korean J Food Cult 18: 428-436. 

  20. Lee JW, Lee HH, Rhim JW (2000) Shelf-life extension of white rice cake and wet noodle by the treatment with chitos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28-833. 

  21. Lee MH, No HK (2002)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wet noodle. J Chitin Chitosan 7: 14-17. 

  22. Lee MJ, Ha SD (2008) Synergistic effect of vitamin B1 on sanitizer and disinfectant treatment for reduction of coliforms in rice. Food Control 19: 113-118. 

  23. Lee YC, Oh SW, Hong HD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24. Li SP, Zhang GH, Zeng Q, Huang ZG, Wang YT, Dong TT, Tsim KW (2006) Hypoglycem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with antioxidation, isolated from cultured Cordyceps mycelia. Phytomedicine 13: 428-433. 

  25. Moon WH, Yook KD (2014)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J Dig Conver 12: 477-484. 

  26.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86-291. 

  27.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yceps spp.,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9: 102-108. 

  28.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161-167. 

  29. Park HJ, Yu IS, Kim SK, Lee YS, Kim YB (1994) Prediction of shelf-life of noodle by bacterial cou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57-560. 

  30.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31. Park LY, Chae MH, Lee SH (2006) Effect of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ur manufac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61-1466. 

  32. Park SH, Ryu HK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roasted Liriopis tu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96-1102. 

  33. Senji S, Kim M, Taniguchi M, Yamamoto (1989) Antibacterial substances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ts, a cariogenic bacterium. Agric Biol Chem 53: 2307-2311. 

  34. Sung JH, Kim R, Moon JH, Park SY, Choi HD, Kim YS (2010) Effects of activated calcium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wet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73-1378. 

  35. Sung JM, Choi YS, Lee HK, Kim SH, Kim YO, Sung GH (1999) Production of fruiting body using cultures of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Korean J Mycol 27: 15-19. 

  36. Sung JM, Han YS (2003) Effect of Bakjakyak (Paeonia japonica)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and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37. Trinh HT, Han SJ, Kim SW, Lee YC, Kim DH (2007) Bifidus fermentation increase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J Microbiol Biotechnol 17: 1127-1133. 

  38. Yin MC, Cheng WS (1998) Inhibition of Aspergillus niger and Aspergillus flavus by some herbs and spices. J Food Prot 61: 123-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