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국내 아시아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on Healthcare Utilization by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1, 2015년, pp.53 - 66  

소애영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듀크대학교 간호대학)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sider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care utilization by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Methods: From February to April 2011,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in a convenience sample of 250 Korean and Asian Indian immigrants aged betwe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미국이민 한인들의 경험에 대한 Bae (2009)의 질적 연구에서도 의사소통과 정보 등을 통한 지지의 부족으로 적극적인 건강관리나 의료기관 이용에 제한점을 가진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간호중재로 언어장벽이 있거나 미국 의료시스템과 정보채널에 익숙하지 않은 이민자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제공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유용하고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안 정보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며(Kim & Huh, 2012), 문화의 특성을 고려한 교회를 기반으로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소 그룹 프로그램, 건강박람회, 무료전화 상담 등도 중재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Shin, 2013).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문화권인 인도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요인, 촉진요인 및 필요요인들이 건강보험가입 및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여 미국내 아시아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이용 불평등을 해소하고 간호학생들과 간호사들의 다문화간호 역량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문화권인 인도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요인, 촉진요인 및 필요요인들이 건강보험가입 및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여 미국내 아시아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이용 불평등을 해소하고 간호학생들과 간호사들의 다문화간호 역량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건강보험 가입 영향요인으로 경제수준이 높고, 고용이 되어 있으면서, 인종적 차이를 보여 인도인의 경우 한인 이민자에 비해 4배 이상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건강보험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처방된 약을 먹어야 하는 경우 건강보험에 가입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민자들의 상황과 형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정보의 제공과 같은 중재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이민자들을 돕는 간호사들과 간호학생들에게도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민자들이 처한 유사한 상황과 형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 또한 의료서비스 이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건강보험 가입유무를 보면 건강보험 가입자가 건강보험에 가입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비해 평균 15배 정도 의료서비스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건강보험 가입을 앤더슨 의료서비스 이용 모형에서 촉진 요인으로 넣지 않고, 별도의 결과변수로 보고 관련 요인들을 분석한 것은 이민자들의 건강보험 가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의료서비스이용 영향요인들을 파악하고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데 데 큰 의의를 두었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이용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앤더슨의 의료서비스이용행동모형(Anderson, Harada, & Chiu, 1995)을 기초로 하여 의료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거주하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제 한국도 점차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이민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어 외국인 집단 간 특성을 고려한 의료서비스이용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본 연구는 미국 이민자들 중 한인이 소수민족으로 인식되는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거주하는 한인과 인도인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이용관련 요인들을 파악한 것이다. 이는 최근 문화간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간호사의 다문화 간호 역량개발을 위해 의료서비스이용양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앤더슨의 의료서비스이용모형의 기본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 2013) 앤더슨의 의료서비스이용모형을 이론적 기틀로 하였다. 이 모형의 기본 구조에서는 의료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요인(predisposing factors), 촉진요인(enabling factors), 필요요인(need factors)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관련 변수들을 적용한 개념 틀은 Figure 1과 같다(Andersen et al., 1995).
이민자들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이민은 개인과 가족에게 총체적인 생활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사건으로 많은 이민자들은 언어와 생활습관의 차이,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적인 지지체계의 부족 등을 경험하며(Bae, 2009),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Kim, Sangalang, & Kihl, 2012). 특히, 이민자들은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과 정보 부족 등으로 의료기관을 찾아가기가 쉽지 않고, 치료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건강관리에 더욱 부담을 느낀다(Roh-Kim, 2000; Saechao et al.
이민은 어떤 일이라 할 수 있는가? 이민은 개인과 가족에게 총체적인 생활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사건으로 많은 이민자들은 언어와 생활습관의 차이,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적인 지지체계의 부족 등을 경험하며(Bae, 2009),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Kim, Sangalang, & Kihl, 2012). 특히, 이민자들은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과 정보 부족 등으로 의료기관을 찾아가기가 쉽지 않고, 치료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건강관리에 더욱 부담을 느낀다(Roh-Kim, 2000; Saecha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2008). Development of testing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2), 200-210. 

  2. Ahn, Y. H., Kim, K. K., Kim, G. Y., & Song H-Y. (2010). Effects of an empowering program on health quality of life,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are competency, and reasonable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low income wome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237-248. 

  3. Alba, I. D., Hubbell, F. A., McMullin, J. M., Sweningson, J. M. & Saitz, R. (2005). Impact of U.S citizenship status on cancer screening among immigrant wome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3), 290-296. 

  4. Andersen R., Harada N., & Chiu, V. (1995) Application of the behavioral model to health studies of Asian and Pacific Islander Americans. Asian American Pacific Islander Journal of Health, 3, 128-141. 

  5. Andrulis, D. P., & Brach, C. (2007). Integrating literacy, culture, and language to improve health care quality for diverse population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1(Suppl 1):S122-S133. http://dx.doi.org/10.5555/ajhb.2007.31.supp.S122 

  6. Bae, J. Y. (2009). Experience of Korean immigrant population in the U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8(4), 449-462. 

  7. Cho, S. Y. & Kim, E. H. (2013). The factors leading to the use of Korean health services among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their future intention to 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o oth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5), 78-112. 

  8. De Gagne, J. C., Oh, J., So, A. Y., & Kim, S-S. (2014). The healthcare experiences of Koreans living in North Carolina: a mixed methods study,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2(4), 417-428. http://dx.doi.org/doi: 10.1111/hsc.12098 

  9. Garces, I. C., Scarinci I. C., & Harrison, L. (2006). An examination of sociocultural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and health care seeking among Latina immigrant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8, 377-385. 

  10. Jo, K. W., & Doorenbos, A. Z. (2009). Types of survival attitudes among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Q-methodological approach.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6), 603-616. 

  11. Kim, B. J., Sangalang, C. C., & Kihl, T. (2012).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network support on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Aging & Mental Health, 16(6), 787-794.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2.660622 

  12. Kim, J. A. & Huh, J. S. (2012). Perception and use of ethnic online communities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6(1), 43-91. 

  13. Kim, K. S., Ahn, J. W., Kim, J. A., & Kim, H. J. (2014). A comparison study using mixed methods on foreig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86-96. http://dx.doi.org/10.4040/jkan.2014.44.1.86 

  14. Kim, S., Oh, J., & Lee, Y. (2013). Health litear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58-570.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58 

  15. Kim, S-S. & De Gagne, J. C. (2012). Addressing health disparities in Korean immigrants through health education. Journal of Health Sciences and Practice, 3(9), 1-16. 

  16. Kim, Y. (2007). Diversification in Korea and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5, 117-144. 

  17. Koh, C. H., & Koh, C. H (2009).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89-99. 

  18. Lee, M. H., Lee, H. K, Kim, S., & Jang, Y., S. (2013). Acculturation, social Network,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Chinese immigrant.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4(4), 438-450. 

  19. Lee, S. L. (2011). Migration and health: a theoretical perspective (IOM MRTC Working Paper Series, No. 2011-03). Goyangcity: Author. 

  20. Park, J. K. (2014). A study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arriage immigrants & naturalized peopl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 491-500. http://dx.doi.org/10.14400/jdpm.2014.12.1.491 

  21. Roh-Kim, E. H. (2000).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accessibility among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4(1), 61-67. 

  22. Saechao, F., Sharrock, S., Reicherter, D., Livingston, J. D., Aylward, A., Whisnant, J., Whisnant, J., & Kohli, S. (2012). Stressors and barriers to using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diverse groups of first-generatio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8(1), 98-106. http://dx.doi.org/10.1007/s10597-011-9419-4 

  23. Shin, J. H. (2013). Culturally respons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Korean Americans with breast cancer in the United States. Nursing Science, 25(2), 1-9. 

  24. Shin J. K. (2002) Help-seeking behaviors by Korean Immigrants for depression.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3(5), 461-476. 

  25. Song H., Han H., Lee J., Kim J., Kim K. B., Ryu J. P. & Kim M. (2010). Does access to care still affect health care utilization by immigrants? Testing of an empirical explanatory model of health care utilization by Korean American immigrants with high blood pressure.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12(4), 513-519. http://dx.doi.org/10.1007/s10903-009-9276-1 

  26. Stuart, A. W. (2006). Recent population change in North Carolina. Tar Heel Junior Historian, 45(2), 1-4. 

  27. U.S. Census Bureau. (2012) 2010 census summary file 2: QT-P1-geography Triangle Township. Retrieved July 15, 2012, from http://census.gov/2010census. 

  28.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1). National healthcare disparities report. Retrieved November 12, 2014, from http://www.ahrq.gov/research/findings/nhqrdr/nhdr11/nhdr11.pdf 

  29. Willis, R., Glaser, K., & Price, D. (2013). Applying the Andersen behavioral model to informal support among Britain's ethnic minorities. Retrieved November, 11, 2014, from http://www.britishgerontology.org/DB/gr-editions-2/generations-review/applying-the-andersen-behavioural-model-to-informa.html. 

  30. Yang, S. J. (2010).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32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