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염지제을 이용한 훈제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using natural curing ag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5, 2016년, pp.645 - 653  

박연옥 (송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의 품질 특성을 일반훈제오리와 비교하여 합성 염지제를 천연물로 대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으로 더 적합한 훈제오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잔류량, 저장기간 동안 훈제오리의 pH, 미생물량 및 색도변화, 관능평가, 항산화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에서는 아질산나트륨, 산화방지제, 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의 합성첨가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 동안 두 군 모두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발생하지 않았다. 훈제오리의 명도와 황색도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 동안 두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전 기간 동안 일반 훈제오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훈제오리에 대한 기호도 평가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관, 색, 맛, 후미, 질감, 전체적인 품질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맛이나, 질감, 전체적인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저장 기간 내내 유의적으로 천연훈제오리의 평가가 더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천연훈제오리가 일반훈제오리보다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배당침액, 셀러리파우더, 비타민 C를 포함한 천연염지제는 일반훈제오리 염지제를 대신할 수 있으며, 천연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는 식품첨가물이나 미생물 등이 검출되지 않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일반 소비자가 더 믿고 찾을 수 있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건강식품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smoked duck marinated in natural curing agents containing extracts of pear by sugar, celery powder, and vitamin C. We evaluated the composition food additives residue and total plate count, chromaticity, sensory properties,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의 품질 특성을 일반훈제오리와 비교하여 합성 염지제를 천연물로 대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으로 더 적합한 훈제오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잔류량, 저장기간 동안 훈제오리의 pH, 미생물량 및 색도변화, 관능평가, 항산화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훈제오리 제조 시 염지성분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 산화방지제, 글루타민산나트륨을 빼고 배당침액을 설탕 대신 사용하고 샐러리파우더를 천연발색제로, 비타민 C를 천연산화방지제로 사용하여 천연염지제가 일반 식품첨가물을 대체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천연훈제오리의 이화학적특성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믿고 소비할 수 있는 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의 품질 특성을 일반훈제오리와 비교하여 합성 염지제를 천연물로 대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으로 더 적합한 훈제오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훈제오리 제조 시 염지성분으로 사용되는 아질산염, 산화방지제, 글루타민산나트륨을 빼고 배당침액을 설탕 대신 사용하고 샐러리파우더를 천연발색제로, 비타민 C를 천연산화방지제로 사용하여 천연염지제가 일반 식품첨가물을 대체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천연훈제오리의 이화학적특성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믿고 소비할 수 있는 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with between the two samp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훈제오리의 소비가 증가한 까닭은? 오리고기는 양질의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을 고루 함유하여 다른 육제품에 비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1). 특히 훈제오리는 가정에서 취급이 용이하여 손쉽게 조리할 수 있으며, 국내 대형 오리고기 가공 업체에서 홈쇼핑을 통해 훈제오리고기의 판매를 증가시켜 그 소비가 증가 하였다(2,3). 그러나 2015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cancer, IARC)에서 “소시지나 햄 등 육가공식품이나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것이 직장암이나 대장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훈제식품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증가하게 된 이유는? 특히 훈제오리는 가정에서 취급이 용이하여 손쉽게 조리할 수 있으며, 국내 대형 오리고기 가공 업체에서 홈쇼핑을 통해 훈제오리고기의 판매를 증가시켜 그 소비가 증가 하였다(2,3). 그러나 2015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cancer, IARC)에서 “소시지나 햄 등 육가공식품이나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것이 직장암이나 대장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고 보고서를 발표(4) 함으로 인해 국민들의 훈제식품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되어 훈제오리의 소비가 감소하였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5), 우리 국민의 가공육 섭취량은 1일 평균 6.
오리고기가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까닭은? 오리고기는 양질의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을 고루 함유하여 다른 육제품에 비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1). 특히 훈제오리는 가정에서 취급이 용이하여 손쉽게 조리할 수 있으며, 국내 대형 오리고기 가공 업체에서 홈쇼핑을 통해 훈제오리고기의 판매를 증가시켜 그 소비가 증가 하였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DA (Korea Duck Association). Available from: http://www.koreaduck.org/ 

  2. Kang GH, Jeong TC, Yang HS, Kim SH, Jang BG, Kang HS, Lee DS, Lee SJ, Joo ST, Park GB (2006)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color and lipid oxidation of duck meat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Poult Sci, 1, 7-14 

  3. Kang GH, Cho SH, Seong PN, Park KM, Kang SM, Park BY (2013) Effect of curing additives on color property of smoked duck meat. Korean J Poult Sci, 3, 179-185 

  4. http://www.urinews.co.kr/sub_read.html?uid31349 

  5. http://www.korea.kr/policy/societyView.do?newsId148802665 

  6. Kim YO (2012) Manufacturing method for smoking of duck meat containing tangle extract liquid. Final Report of KOSEF, KOSEF 10-1139514 

  7. Shinchoun FD (2010) Method for manufacturing smoked duck containing curcuma longa L. ingredient. Final Report of KOSEF, KOSEF 10-0948262 

  8. Sim JH, Sim JL, Sim JH, Kim HJ, Kim CH (2010) Method for producing smoked sulfur duck using wild plants fermented broth and smoked sulfur duck produced by the same. Final Report of KOSEF, KOSEF 10-0988138 

  9. Hanseong Food (2010) Smoking of duck meat containing mulberry and that of manufacturing method. Final Report of KOSEF, KOSEF 10-1291242 

  10. Kim YJ, Kim MB, Moon YI, Kim YB (1991) Processing of brine soaked and smoked duck meat: I. Pan-broilling yield and sensory evaluation of brined or smoked duck meat. Korean J Sci Ani Resour, 12, 852-856 

  11. Kim YJ, Kim MB, Moon YY, Kim YB (1991) Processing of brine soaked and smoked duck meat: II. Properties of brined or smoked duck meat during storage. Korean J Sci Ani Resour, 12, 857-861 

  12. Joint FAO/WHO (2001)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9, 1021-1044 

  13. Food processing&preservation. Soohaksa, Seoul, Korea, p 324 

  14. Oh JW (2010) Allergic diseases in childhood and food additives. Pediatr Allergy Respir Dis, 10, 212-218 

  15.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 The livestock processing act. Cheongju, Korea, p 51 

  16. Natural dru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motion 1 of Article 2 

  17. Her J (2007) Donguibogam, Korea, p 1801 

  18. Kim JB (2003) Story of our pea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Horticulture research, Suwon, Korea, 18-22 

  19. Zhang YB,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Bae JH, Seong TS, An BJ, Kim HG, Choi C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59-967 

  20. Escarpa A, Gonzalez MC (1999) Fast separation of (poly)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and pear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array detection. J Chromatog A, 830, 301-309 

  21. Oleszek W, Amot MJ, Aubert SY (1994) Identification of some phenolics in pear fruit. J Agric Food Chem, 42, 1261-1265 

  22. Sharma A, Sehgal S (1992) Effect of domestic processing, cooking and germination on the trypsin inhibitor activity and tannin content of faba bean (vicia faba). Plant Foods Hum Nutr, 42, 127-133 

  23. Yang MH, Park CH, Kim DJ, Jeong HS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gnic effects of Korean pears. J Cancer Prevention, 10, 124-127 

  24. http://academy.foodbank.co.kr/news/view.php?No2425&cat_namecat_name&secIndex22892&page28§ion001003&backH 

  25. Nation Korean medicine laboratory. Private oriental medicine. (2006) p 91-92 

  26. Gu JO, Lim HS, Yun JS, Lee YL, Ser JS, Lee JH, Son JM (2013) Advanced nutrition. Powerbook Co., Seoul, Korea, p 371-373 

  27. Pear Research Station (2010)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industrial condition and activation plan of pear. p 3 

  2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p 777-784 

  29. Tanimura A, Fujii M, Yoshihira K, Ito Y, Shiro T (1992) Analytical methods for additives in foodstuff. Tokyo: Kodan Scientific Co., p 94-101 

  30.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01) Food Code. Cheaongju, Korea, p 539-564 

  31.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3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33. Lee NR, Jo YJ, Yook H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usages made from a mixture of purple sweet popato powder and purple sweet potato pig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317-1324 

  34. Park WY, Kim YJ (2009) Effect of galic and onion juice addition on the lipid oxidation,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29, 612-618 

  3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8) Right understand of food additives. Cheaongju, Korea, p 12 

  36. Kim HY, Nam HS, Jung YH, Lee JH, Ha SC (2008) Tar colors in foo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Gyeong-in region: monitoring favorite food item of children near elementary schoo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43-250 

  37. Shahidi F, Pegg RB (1992) Nitrite-free meat curing systems: update and review. Food Chem, 43, 185-191 

  38. Lee SM (2013)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supplemented with purple sweet potat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234-240 

  39. Kang JO, Lee GH (2003) Effects of pigment of red beet and chitosan on reduced nitrite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 23, 215-220 

  40. Kang JO, Lee SG (2008)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pigment and sodium lactate on nitrite-reduced sausages. J Anim Sci & Technol, 50, 551-560 

  41. Rhyu MR, Kim EY, Chung KS (2003) Effects of Monascus koji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lognatype saus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29-234 

  42. Park GB, Hur SJ, Lee JR, Lee JI, Kim YH, Ha YL, Joo ST (2000) Effects of onion peel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the changes of color in press ham. Korean J Food Sci An, 2, 93-100 

  43. Brown WD, Mebine LB (1969) Antioxidation of oxymyoglobins. J Biol Chem, 244, 6696-6701 

  44. Cassens RG (1990) Nitrite cured meat. A food safety issue in perspective. Food and Nutrition Press Inc. Trumbull conn, USA, p 172-177 

  45. Kang HK, Yoo YK, Lee SK (2003) Effects of prestorage heat treatment on changes of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incidence of skin blackening in 'Niitaka' pear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Korean Soc Hort Sci, 44, 197-200 

  46. Seo JH, Hwang YS, Chun JP, Lee JC (2001)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occurance of skin brow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cally purified polyphenol oxidase in oriental pear fruits. J Korean Soc Hort Sci, 42, 184-188 

  47. Ho CT, Lee CY, Huang MT (1992)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1. Maple press, NY, USA, p 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